감정대화 - 말은 스킬보다 감정이 먼저다
장차오 지음, 하은지 옮김 / 토마토출판사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에는 다양한 감정들을 적절한 상황에 맞게 내용을 사례와 함께 담겨져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근데 그건 아니었습니다. 주로 회사 사람들과 상사와 영업사원들이 주로 예시로 많이 나와서 백수인 제게는 도무지 이해가 안 갔습니다. 차라리 스킬이라도 다루면 뭐라도 얻어갈 수 있었을텐데 이 책은 그런 책이 아닌 지라 아쉬웠죠. 그리고 사례엔 색깔을 입히고 본문엔 일반서체로 구분되어 좋겠단 생각이 들었죠. 그러면 예시와 본문이 확연히 구분되어 보이면 눈에 확 띄어서 보기 편하지 않나싶습니다.

우선 이 책에서 기본적으로 말하는 토대는 '스토리'를 잘 구성하고 말하는 걸 중점해뒀습니다. 좋은 스토리는 자신의 품격을 드러내고 다른 사람들에게 '내가 누구인지'를 똑똑히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고 했습니다. 내가 어떤 사람인지 스토리를 통해 드러낼 수 있다고하니까요. 스토리로 다른 사람을 설득하면 좋은 점이 두 가지나 있대요. 첫째는 가볍게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둘째는 그 스토리를 곱씹어보면서 생각할 여유를 갖게 되어 설득당했다는 느낌이 들지 않게 해주는 것 같아요. 뭣보다 설득당했다는 느낌이 들지 않게 하는 게 중요하대요.

스토리를 구성할 때 너무 이야기를 만들기에만 자기를 몰아붙이지 말라네요. 모든 사실을 있는 그대로 알려줄 필요도 없거니와 그렇다고해서 허풍을 떨거나 마음에 없는 말을 할요는 없다고 알려줍니다. 그리고 유머 감각은 협상하는 데도 이로움을 준다고 하지만, 특히 셀프 디스를 가급적이면 자제하며 하는 게 좋다고합니다.

가령, 어떤 언니한테서 자기를 디스하는 소리를 매번 만날 때마다 하니까 아무리 유머라지만 기분이 나쁘더라구요. 유머에도 정도를 지켜야 서로 기분좋게 살아갈 수 있지않나싶습니다. 여기서는 자신의 능력은 다소 낮춰 말할 수 있어도 자신의 가치관이나 소신을 비하해서는 안된다고합니다. 한마디로 정도를 지키는 게 중요함을 다시 한번 깨닫게되었습니다.

스토리의 장점은 상대를 공격하거나 가르칠 필요 없고 자신을 낮추거나 애써 해명할 필요도 없다는 점이에요. 그 뿐만 아니라 오히려 상대의 체면을 깎아내리지 않으면서 문제와 불만을 깨끗하게 해결해 줄 수 있대요. 스토리로 자신 상황을 설명하게 된다면 대화는 원만하게 흘러가게 되지 않을까싶습니다.




"거짓을 말하지 않는 것은 인간이 지켜야 할 도덕적 한계선이며 진실을 전부 말하지 않는 것은 품격있는 말하기의 기술이다."

-<감정대화>중-



#자기계발 #감정대화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