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의 꽃 김별아 조선 여인 3부작
김별아 지음 / 해냄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별아 님의 <불의 꽃>입니다.

 

<불의 꽃>은 2011년 12월 <채홍> 이후 1년 5개월여만의 선보이는 장편소설로 <채홍>에 이은

 

조선 여성 3부작의 두 번째 이야기입니다.

 

<채홍>의 경우 세종의 며느리이자 문종의 두 번째 빈이었던 순빈 봉씨의 동성애 스캔들을 다룬 반면

 

<불의 꽃>의 경우엔 세종 시절 벌어졌던 전 관찰사 이귀산의 아내 유(柳)씨와 지신사 조서로와의 간통 사건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렇게 큰 줄거리만 보면 <불의 꽃>은 조선 최초의 간통사건을 다룬 소설로 보이지만

 

사실 <불의 꽃>은 이뤄질 수 없었던 오랜 연인의 비극적 순애보를 다룬 슬픈 로맨스 소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조선의 개국공신 2등에 오른 조반의 아들로 태어나 조서로. 어린 시절 부모를 잃고 조서로 집 외할머니의 도움으로 집에 들어와

 

서로와 함께 자라게 된 녹주. 어린 시절의 인연으로 인해 서로와 녹주는 서로의 연인이 되지만 서로 어머니의 반대로 인해

 

서로의 집안이 한양으로 옮겨 갈때 따로 나오게 되는 녹주.

 

이후 끊어질 수 없던 인연은 두 사람을 재회하게 만들면서 이야기는 시작됩니다.

 

대체로 역사소설들이 픽션에 작가의 상상력이 가미된 팩션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불의 꽃>의 경우엔 <세종실록> 21권, 세종 5년 8월 25일 첫 번째 기사로 인해 탄생한 작품입니다.

 

오직 단 한 줄에서 시작된 이야기로 기록이 따로 남아 있는 것이 없어서 이귀산의 아내 유씨와 지신사 조서로의 간통 사건이

 

벌어졌고 이에 따라 조서로는 유배를 가고 유씨는 참형을 당했다는 단 한 줄의 역사로..

 

사실 <불의 꽃>은 역사사건을 배경으로 한 작품이긴 하지만 역사소설이라고 정의하기도 힘든 작품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간 김별아님의 소설들을 보면 대표적으로 <미실>, <논개>, <열애> 등 각 시대의 여성들이 주인공으로 등장하고

 

미실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시대적으로 여성들이 받아야했던 억압과 고통, 그리고 그 속에서의 아름답지만 가슴 아픈 사랑들을

 

이야기하고 있는데요. <불의 꽃>도 그런 작품들 중의 하나입니다.

 

어떤 면에서는 김별아님의 작품에서 볼 수 있는 매력이라고도 할 수 있겠지만 다른 측면으로 보자면

 

김별아 작가에게 기대한 정도의 내용의 작품이긴 하지만 특별할 것이 느껴지지 않는다고도 볼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단 한 줄의 기사에 작가의 끝없는 상상력은 놀랍지만 조금은 현대적인 글들과 작위적인 느낌이 물씬 풍기는스토리는

 

개인적으로 아쉬움이 남는데요. 그래도 그간 김별아님이 보여줬던 시대의 여인들과 그녀들의 삶, 사랑을 읽고 감동을 받으셨던 분들이라면

 

이번 작품, <불의 꽃>도 그 감동을 이어나갈수 있을 작품이 아닐까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