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곱 명의 술래잡기 스토리콜렉터 14
미쓰다 신조 지음, 현정수 옮김 / 북로드 / 2013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미쓰다 신조 님의 <일곱 명의 술래잡기>입니다.


호러 미스터리인 도조 겐야 시리즈로 국내에도 많은 팬층을 두고 있는 미쓰다 신조.


<일곱 명의 술래잡기>도 호러 미스터리 작품으로 도조 겐야 시리즈와는 또다른 재미를 선사하고 있는 작품입니다.


<일곱 명의 술래잡기>은 일단 표지에서부터 강렬함이 엿보이는데요.


"생명의 전화"에서 상담원으로 자원봉사를 하던 누마타 야에는 어느 날 이상한 전화를 받게 되고


전화를 건 남자는 어린 시절의 추억이 남아 있는 벚나무에 밧줄을 묶어놓고 매일 소꿉친구들에게 전화를 걸고 있다고 합니다.


한 명이라도 전화를 받지 않으면 바로 목을 매달고 자살하기 위해서..


이 전화 한 통을 계기로 소꿉친구들에게 연이어 발생하게 되는 연쇄살인사건.


그 연쇄살인사건의 당사자이자 호러 미스터리 작가인 고이치가 사건을 해결해나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는 작품입니다.


<일곱 명의 술래잡기>의 가장 흥미로운 점이라고 할 수 있는 주인공인 하야마 고이치라는 캐릭터인데요.


마치 이 작품의 저자 미쓰다 신조가 작품 속에서 살아 숨쉬는 듯한 착각을 불러 일으킵니다.


<일곱 명의 술래잡기>, 이 작품도 미쓰다 신조의 작품답게 호러적인 요소와 미스터리적인 요소가 절묘한 조합을 이루고 있는데요.


미쓰다 신조의 작품인 점을 고려한다면 전체적으로 아쉬움이 많이 남는 작품이네요.


일단 국내 제목으로는 "술래잡기"라는 표현을 썼지만 정확하게 말하면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와 같은


"다루마가 굴렀다."라는 어린 시절 소꿉친구들과 했던 놀이를 통해서 이야기가 진행된다는 점에서는 무척 흥미롭지만..


원어가 주는 이질감때문에 뭔가 입에 착 달라붙지 못하는 느낌이 강하네요.


물론 동양, 특히나 한국와 일본이라는 동아시아의 호러적인 부분이 잘 녹아져 있어서


원어의 이질감에도 불구하고 나름 재미도 있고 가독성도 좋아서 읽는데 크게 문제가 될 부분은 없지만


결말 부분은 상당히 아쉬운 작품입니다.


거기에 6명의 친구들이 어린 시절에 겪었던 끔찍한 사건을 통해서 6명이 모두 봉인해버린 기억을 시작으로


이야기의 상당 부분이 우연에 우연을 거듭한다는 자체. 물론 이 작품이 호러 미스터리라는 장르의 작품인지라 


미스터리 작품으로 설득력이 부족한 부분을 호러적인 부분이 메워준다고 치더라도


거듭되는 우연은 큰 설득력을 끌기에는 다소 부족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그결과 중간중간 "어느 광경"이라는 부분으로 호러적인 부분을 극대화시켰지만 위에서도 말했짐나 결말을 보고나면


다소 맥이 빠지는 느낌인지라 상당히 아쉽게 다가오는 작품이지만


미쓰다 신조 특유의 호러 미스터리라는 장르에 재미를 붙이기엔 적당한 작품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