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하루 - 실록과 사관이 미처 쓰지 못한 비밀의 역사 하루 시리즈
이한우 지음 / 김영사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한우 님의 <왕의 하루>입니다.

 

이한우 작가는 기자 출신의 작가로 대체로 역사와 관련된 책들을 많이 출간하고 계신데요.

 

왕성하게 활동을 하고 있어서인지 이한우 작가의 작품 <조선사 진검승부>, <조선의 숨은 왕>을 이전에 읽어볼 기회가 있었는데요.

 

역사에 조금이나마 관심이 있어서 상당히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작품이었습니다.

 

얼마전 영화 <광해>를 보면서 옷을 입는 것부터 시작해서 밥을 먹고 뒷일을 보는 등 왕의 하루는 과연 어떤 일과를 가지는 것일까

 

궁금증을 가지게 되었는데요. 떄마침?! <왕의 하루>는 책이 출간되었습니다.

 

제목만 얼핏 보자면 이런 궁금증에 아주 충족할 만한 책이라고 읽기 전부터 생각을 했는데요.

 

<왕의 하루>는 기대와 예상과는 조금은 다른 내용을 다룬 책이긴 하지만 그래도 궁금증을 풀어주는 부분도 있습니다.

 

<왕의 하루>는 일단 프롤로그에서 저의 궁금증을 말끔히 해결해 줍니다.

 

파루(罷漏)로 시작해서 인정(人定)으로 끝나는 일과. 기침, 양치와 세수, 아침 식사를 시작으로 왕의 문안 인사, 왕의 조회와 경연,

 

왕의 수라, 업무, 밤 생활까지..자질 구레한 사항까지 이미 프롤로그만으로도 왕의 일상을 알 수 있었습니다.

 

본문은 3장으로 되어있는데요. 1장은 "역사를 바꾼 운명의 하루", 2장은 "군신이 격돌한 전쟁의 하루". 3장은 "하루에 담긴 조선 왕의 모든 것"입니다.

 

1장과 3장의 경우에는 책 제목과도 일맥상통하는 경향이 보이지만 2장은 약간은 기본적인 책의 성격과는 다르네요.

 

1장 "역사를 바꾼 운명의 하루"은 상당히 재미있는 이야기로 꾸며져 있습니다.

 

조선의 첫날을 연 태조 이성계의 하루, 폐위가 되는 연산군 이융의 하루, 광해군 이혼의 하루, 죽음을 맞이한 소현세자 이왕의 하루,

정조 이산의 하루.

 

이성계의 하루만을 제외한다면 역사적으로 반정으로 왕의 자리에서 쫓겨난 임금들의 하루나 역사적으로 의문사 의혹을 가지고 있는

 

소현세자나 정조의 하루를 다루고 있는만큼 호기심을 가질 만한 부분이죠.

 

무엇보다 이 이야기들이 재미있는 점은 그 하루를 작가분이 임금의 입장이 되어 그 하루 자신의 심정을 이야기하고 있는 부분인데요.

 

뭐, 이 부분은 호불호가 갈릴수도 있겠지만 신선하기도 하고 어느 부분의 상당한 공감을 느낄 만한 부분인지라 개인적으로

 

참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부분이었습니다.

 

2장은 엄밀히 말하자면 <왕의 하루>와는 크게 상관은 없어 보이는 임금과 신하와의 권력 암투를 그리고 있는데요.

 

그 첫번째는 이방원과 정도전의 이야기이고 두번째는 수양과 김종서와 한명회의 이야기입니다.

 

두 이야기는 모두 임금의 자리를 넘보고 있는 이방원과 수양이 자신의 앞길을 가로막고 서 있던 정도전과 김종서를 제거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는 만큼 정확히 말해 임금과 군신의 대결이라고는 할 수는 없지만 조선의 역사상 가장 중요했던 하루들 중 하나였기에

 

<왕의 하루>에 포함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3장도 세부 내용에 따라 조금씩 <왕의 하루>와는 성격이 다른 이야기들이 있지만

 

흥미로운 부분도 상당히 많습니다. 일단 흥미로운 부분은 "즉위식"과 "제왕학 수련", "왕의 결혼" 부분인데요.

 

궁금증을 해결하기엔 턱없이 부족할테지만 그래도 이 부분을 다루고 있다는 자체만으로 충분히 읽어볼 만합니다.

 

<왕의 하루>는 "왕의 하루"라는 궁금증을 불러 일으킬만한 타이틀을 가진 책이긴 하지만

 

사실 조선의 500여년 역사를 시간 순서대로가 아닌 카테고리 별로 구분해 놓은 역사책이네요.

 

하나의 카테고리와 연관이 된다면 역대 조선의 왕들의 사례들도 곁들어져 있고해서 아무래도 딱딱한 역사책들에 비해

 

재미있게 읽을 요소들이 다분한만큼 역사를 재미있게 읽어보고자 하시는 분들에게 적격인 책이 아닐까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