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그러면 아비규환
닉 혼비 외 지음, 엄일녀 옮김 / 톨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단편소설집 <안 그러면 아비규환>입니다.

 

작가진의 이름을 보면 닉 혼비, 스티븐 킹, 마이클 크라이트, 닐 게이먼, 엘모어 레너드, 로리 킹, 마이클 셰이본 등등

 

<안 그러면 아비규환>은 당대를 대표하는 영미권 작가 20명이 "오싹한 이야기"를 테마로 쓴 단편집입니다.

 

"오싹한 이야기"가 테마라고 하지만 작품에 따라 그 성격은 천지차이로 때로는 유쾌함이, 때로는 긴장감이..

 

정말 다양한 면을 느낄 수 있는 작품이 바로 <안 그러면 아비규환>입니다.

 

먼저 닉 혼비의 "안 그러면 아비규환",

 

책의 타이틀이기도 한 이 이야기는 15살 소년의 유쾌함으로 시작해서 점차 이야기는 걷잡을 수 없는 상황을 보여주고

 

이야기의 급반전을 보여주는 이야기로 작가의 장난끼는 물론이거니와 과연 타이틀의 제목으로 삼을 만한 이야기입니다.

 

다음으로는 엘모어 레너드의 "카를로스 웹스터가 칼로 이름을 바꾸고 클라호마의 유명 보안관이 된 저간의 사정".

 

이 엄청나게 긴 제목안에 이 이야기의 핵심이 들어있다고 봐도 될 정도이고,

 

무엇보다도 "하드보일드의 거장" 이니만큼 그의 성격이 잘 반영된 작품입니다.

 

닐 게이먼의 "폐점시간", <안 그러면 아비규환>의 "오싹한 이야기"라는 테마에 가장 충실한 작품 중의 하나가 아닌가 싶습니다.

 

20페이지가 약간 안되는 적은 분량임에도 미스터리와 오싹함을 맛 볼 수 있는 이야기네요.

 

데이브 에거스의 "정상에서 천천히 내려오다",

 

<안 그러면 아비규환> 中 가장 긴 스토리를 가진 이야기 중 하나로 리타가 킬리만자로를 등정했다 내려오는 이야기입니다.

 

이 이야기는 앞의 "폐점시간"과는 달리 "오싹한 이야기"라는 테마에 가장 동떨어진 이야기인데요.

 

지난 날의 자신을 돌아보고 현재를 바라본다고 할까요?! 어쨌든 자신을 돌아본다는 약간은 심오한 내용이 눈길을 끕니다.

 

셔먼 알렉시의 "고스트 댄스", <안 그러면 아비규환> 중 개인적으로 가장 화끈하고 재미있는 이야기 중의 하나라고 할 만합니다.

 

요즘 트렌드(?!)라고 까지 할 순 없지만 바로 좀비가 등장하는 이야기로요..

 

리틀 빅혼에서 처참한 패배를 당했던 커스터 장군 이하의 미군제7기병대의 병사들이 좀비로 되살아나서

 

살육을 벌이는 사건이 발생하고 이에 파견된 정부요원의 이야기. 어찌보면 뻔하지만 그런 뻔함이 바로 좀비물, 특유의 재미입니다.

 

스티븐 킹의 "그레이 딕 이야기",

 

말이 필요없는 작가 스티븐 킹. 그리고 스티븐 킹의 대표작 중 하나인 <다크 타워>시리즈.

 

"그레이 딕 이야기"는 7부작 중 5부의 번외편에 해당하는 이야기로 <다크 타워>를 읽어보신 분들이라면 재미있게 읽을 수 있겠지만..

 

아닌 분들이라면 이게 뭔가?! 라고 생각되실 겁니다.

 

캐럴 엠시윌러의 "사령관", 이 이야기도 <안 그러면 아비규환>도 가장 재미있는 이야기 중 하나입니다.

 

제목에서도 어렴풋이 아시겠지만 반역군의 사령관을 쫗는 정부군과 정부군에 쫓기는 반역군의 사령관이 등장하고

 

이야기는 정부요원과 사령관의 반복되는 시선교차로 진행됩니다. 바로 이런만큼 이야기에 몰입도가 상당히 좋습니다.

 

그리고 "사령관"의 가장 큰 재미는 기대를 무참하게 져버리는 결말이라고나 할까요.

 

마이클 무어콕의 "나치 카나리아 사건 : 명탐정 시턴 베그 경 시리즈".

 

이 이야기도 상당히 재미있습니다. 전형적인 탐정 소설임에도 이 이야기가 흥미로운 점은

 

시턴 베그라는 영국 탐정이 등장함에도 이야기의 배경은 독일 뮌헨이고 무엇보다 수사의 의뢰인이 바로 나치스 부총통 루돌프 헤스.

 

헤스가 의뢰한 사건은 아돌프 히틀러의 친조카이자 연인이었던 겔리 라우발의 자살 사건.

 

자살 사건이지만 아돌프 히틀러의 반대세력은 자살 사건이 아닌 아돌프 히틀러가 이 사건에 연관되어 있다고 생각 히틀러를 공격하고

 

헤스는 명탐정 시턴 베그에게 무고함을 밝혀 달라는 내용입니다.

 

과연 유럽을 피의 세계로 이끌었던지라 유럽인들에겐 사상최악의 악인으로 평가받는 히틀러가 등장하는 만큼..

 

이야기는 어떤 결말을 보여줄지 참 기대되는데요. 겔리 라울발의 자살 사건은 실제 있었던 일이라는 사실은 "나치 카나리아 사건"을

 

보다 재미있게 읽을 수 있게 하는 부분이 아닐까 싶습니다.

 

마이클 크라이튼의 "핏물이 빠지지 않는다", <안 그러면 아비규환> 중 기대했던 이야기와 가장 다른 분위기였던 이야기였습니다.

 

마이클 크라이튼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른 작품이 <쥬라기 공원>, <타임라인>, <콩고>, <스피어>, <안드로메다 스트레인>등

 

주로 액션 블록버스트와 같은 소설들이기에 "핏물이 빠지지 않는다"에서 보여주는 이야기는 굉장히 낯설게 다가옵니다.

 

워낙에 짧은 이야기인지라 내용을 말하긴 힘들지만 기회가 되시면 5분 정도 투자하셔서 읽어보시길..

 

크리스 오퍼트의 "척의 버킷", 이 이야기도 상당히 흥미롭습니다.

 

평행 우주, 그리고 시간 여행이라는 요소가 버킷이라는 실험기구를 통해 등장하고 흥미로운 요소가 상당히 존재합니다.

 

에이미 벤더의 "소금후추통 살인사건",

 

"나치 카나리아 사건"과 함께 <안 그러면 아비규환>의 가장 전형적인 추리물로

 

13페이지의 적은 분량. 심플함과 그 속에 깃든 인간이라는 존재가 얼마나 사소한 거에 대해 잔인해 질 수 있는지를 잘 보여주네요.

 

<안 그러면 아비규환>은 위에서 언급했던 이야기 말고도 상당히 흥미로운 이야기들로 가득합니다.

 

SF, 호러, 추리, 판타지, 스릴러까지 정말 다양한 장르의 이야기를 모두 만나볼 수 있고 700페이지가 넘는 단편집으로는

 

보기 힘든 엄청난 분량까지 각 이야기마다 호불호가 생길 수는 있겠지만 이 책을 집어들었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상당히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는 책이 바로, <안 그러면 아비규환>이 아닐까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