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의 섬 - 하 - 부활의 통로
배상열 지음 / 황금책방 / 2012년 9월
평점 :
절판


<고구려의 섬(下)>는

 

上권에 이어 백제의 멸망 후 백제의 재건을 꿈꾼 부흥군과 고구려, 그리고 왜의 부흥운동을 시작으로

 

연개소문의 죽음이후 벌어진 내분과 내분으로 인해 멸망의 길로 들어선 고구려.

 

당나라의 힘을 빌려 삼국의 패자가 되는 신라의 역사를 다루고 있습니다.

 

上권에서는 이 책의 주인공이라고 할 수 있는 가상의 인물 연우와 영랑의 활약도(?!)가 미진한 반면에

 

역사적인 사실에 보다 초점에 맞춰져 있었는데요.

 

下권에서는 두 주인공의 활약도가 크게 늘어났습니다. 上권만 읽어본다면 이 책의 실제 주인공은 연개소문이지 않나 싶은데요.

 

연개소문이 죽음에 이르자 무사로써의 연우의 활약과 신녀로써의 영랑의 활약이 下권에서는 상당히 볼거리를 제공합니다.

 

소설이라는 장르의 책이기에 두 주인공의 로맨스나 활약상도 재미있는 부분이고요.

 

무엇보다 우리의 역사를 보다 자세히 들여다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역사소설이 가지는 재미 또한 상당한 책이 아닐까 싶습니다.

 

다만 <고구려의 섬>의 아쉬운 점은 <고구려의 섬>이라는 상당히 눈길을 끄는 제목과

 

"독도는 왜 대한민국이 지배해야만 하는가?"라는 표지의 문구는 분명 이 책을 집어들게 하는데 굉장히 큰 영향을 끼쳤는데에 반해

 

사실 책 내용 중 책의 결말을 맺는 부분까진 독도를 언급하는 부분도 전혀 등장하지 않고

 

굉장히 뜬금없는 듯한 느낌이었 고구려와 독도를 너무나 억지스럽게 매치시키려 한 것이 아닐까 합니다.

 

책의 내용에 크게 상관없이 어떻게든 눈길을 끌어보려고 지은듯한 제목과 표지의 문구.

 

너무나 아쉬운 부분이긴 하지만 이 부분을 제외하고는 상당히 괜찮은 작품이 아닐런지..

 

上권때도 말했지만 물론 역사서가 아닌 역사소설이기에 작가분의 상상력으로 탄생한 가공의 인물이나 이야기도 존재하지만

 

이런 부분을 제외하고 보면 역사서의 내용에 벗어나지 않기에 상당히 객관적으로 쓰려고 한 부분도 엿보이네요.

 

역사에 대해 큰 관심이 없던 분들도 고구려와 백제가 어떤 과정을 거쳐서 멸망에 이르렀는지는 어렴풋으로나 알고 계실텐데요.

 

<고구려의 섬>은 이 과정을 상세히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만큼은 분명 읽는 의미가 있는 책이 아닐까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