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CSI - 치밀한 범죄자를 추적하는 한국형 과학수사의 모든 것
표창원.유제설 지음 / 북라이프 / 201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창원, 유제설 님의 <한국의 CSI>입니다.

 

<한국의 CSI>. 이 작품은 한국형 과학수사의 모든 것을 보여주고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난 2000년을 시작으로 미드 <CSI>가 방송되면서 전세계적으로 과학수사라는 분야가 대중적으로 큰 관심을 갖게 되었고,

 

그 이후로 과학수사 혹은 법의학을 다룬 수많은 작품들이 소개되기 시작했죠.

 

하지만 이런 수많은 작품들 중에서 <한국의 CSI>만큼 국내의 과학수사를 잘 소개하고 있는 작품이 있나 싶을 정도로..

 

<한국의 CSI>은 국내 과학수사의 현실과 과학수사대원들이 여러 증거들을 어떠한 방법으로 다루고 분석하는지를

 

이해하기 쉽게 잘 설명해주고 있는 작품입니다.

 

<한국의 CSI>는 수사물을 좋아하시거나 미드 <CSI>의 팬 분들이라면 당연히 아실 수 있는 수사의 기본인 7가지를 다루고 있습니다.

 

Part별로 보면 현장감식, 지문, DNA, 혈흔 형태 분석, 미세 증거, 검시, 화재 검식.

 

어떻게 보면 너무나 뻔한 내용이라 다소 지루하지 않을까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실텐데요..

 

무엇보다도 <한국의 CSI>가 재미있었던 이유로는 각 파트별로 초반부의 시작이 소설을 읽는 듯이 시작된다는 점.

 

또한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설명과 그 설명을 돕는 현장 사진들. 그리고 국내의 사건은 물론 과학수사의 선진국이라는

 

미국 사건을 소개합니다. 대체로 <한국의 CSI> 속의 사건들은 굵직굵직한 사건들로 수많은 매체에서 다뤄졌던 사건들이라

 

대체로 들어봤던 사건들인데요, 그런 이유로 이 사건들을 다루는 부분에서는 보다 한 층 더 관심도가 올라갑니다.

 

그리고 <한국의 CSI>의 가장 흥미로운 점에 하나는 사건을 수사하는데 있어서 과학수사의 성공사례와 실패사례의 양측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수사의 가장 중요한 요소의 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지문, DNA, 혈흔 형태 분석, 미세 증거,

 

검시 분야의 역사 또한 볼 수 있다는 점.

 

거기에 추가로 한 가지를 더 꼽아보자면 각 파트별 해당 분야의 최고 전문가와의 인터뷰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의 CSI>가 불과 300 페이지가 안 될 정도로 얇은 두께의 책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상당히 많은 양의 정보를 담고 있는 책입니다.

 

많은 양을 담고 있다보니 아무래도 그 정보의 깊이는 조금은 덜하고, 많은 정보를 주기위해 이야기의 전개가 상당히 빠르기 때문에

 

조금은 산만해 보일 수도 있는 면도 분명히 있지 않나 싶습니다.

 

하지만 <한국의 CSI>처럼 사회분야의 책들이 대체로 지루하고 따분함이라는 꼬리표를 떼지 못하고 있는데 반해서 이 책은

 

정보와 재미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잡은 책이라는 생각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