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8, 우연히 데이브 거니 시리즈 1
존 버든 지음, 이진 옮김 / 비채 / 201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존 버든 님의 <658, 우연히>입니다.

 

<658, 우연히>은 표지만 보면 잘 연상은 안되지만 미스터리 스릴러 작품입니다.

 

658, 우연히?! 라는 상당히 특이한 제목.. 과연 무슨 뜻의 제목일까? 라는 생각이 드는데요..

 

<658, 우연히>을 읽고 나면 그야말로 이 책의 시작과 끝을 함축적으로 잘 표현해낸 제목이 아닐까 싶습니다.

 

"1부터 1000 사이 숫자를 하나 생각해. 그 숫자를 말해봐.

이제 봉투를 열어. 봤지?

난 네 비밀을 모두 알아.

과거의 죄와 지금의 벌, 곧 다가올 죽음까지도!."

 

이런 편지를 받게 된다면? 일단 장난으로 치부하겠지만..

 

편지의 내용처럼 일단 숫자를 먼저 하나 생각해보지 않을까 하는데요.

 

확률상 1/1000, 0.1%의 지극히 났지만 혹시나 봉투 안에 숫자가 내가 생각한 바로 그 숫자라면..

 

내 비밀을 모두 알고 있다니 그리고 죽음을 암시하는 듯한..

 

이런 발칙하면서도 궁금증을 불러 일으키는 <658, 우연히>는 미스터리 작품으로 상당한 재미가 있는 작품입니다.

 

이 작품의 주인공인 데이브 거니라는 지금은 은퇴한 후 한 시골 마을에서 유유자적(?!)하며 살고 있습니다.

 

현역 당시 여러 연쇄 살인범들을 잡은 경력을 자랑할 정도로 뛰어난 형사였던 데이브 거니에게 25년만에 대학 동창생인 멜러리의 연락이 오고,

 

멜러리는 의문의 편지얘기를 하게 됩니다. 멜러리로 인해 사건에 발을 들여놓게 되어버린 데이브 거니..

 

멜러리를 포함해 이 의문의 편지를 받은 사람들의 살해당하는 사건이 연거푸 발생하게 되면서 검사의 요청으로 수사에 참여하게 된 거니..

 

참 미스터리 스릴러 작품다운 스토리라고 할 수 있겠네요..

 

<658, 우연히>는 미스터리 작품으로 조금 독특하다 할 만한 점들을 뽑아보자면,

 

우선은 위에서도 말했듯이 사건의 시작을 알리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체를 알 수 없는 자로부터의 편지..

 

봉투안의 숫자를 매개로 해서 자신이 기억하지 못하는 것을 알고 있는 듯한 뉘앙스와 죽음을 예고하는 듯한 내용.

 

궁금증과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기 충분하지 않나 싶습니다.

 

그리고 또한 독특한 점은 주인공의 데이브 거니라는 캐릭터입니다.

 

우선 은퇴한 전직 형사로 현역 시절 여러 연쇄 살인범들을 잡은 경력을 갖고 있지만,

 

현재는 한 시골마을에서 아내와 함께 살고 있는 사내이지만 취미활동으로 미술을 시작하지만..

 

그 미술주제가 살인범들과 관련된 그야말로 범죄와 떨어져 지낼수가 없는 사내. 이런 문제로 인해 아내와는 냉랭한 관계..

 

타의를 가장한 듯한 자의로 사건에 다시 휘말려 버리는 조금은 솔직하지 못한 주인공입니다.

 

거기에 여러 단서들을 직소퍼즐게임처럼 조각 조각 맞춰서 풀어내서 사건을 해결해 나가는 특이한 능력?!을 소유한

 

어느 작품에서 볼 수 없는 캐릭터입니다.

 

<658, 우연히>는 후반부까지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면서 긴장감을 유지하는 미스터리 작품으로 상당히 괜찮은 작품입니다.

 


미스터리 작품이다보니 잔혹한 범죄가 등장하긴 하지만 개인적으로 <658, 우연히>에서 느낀것은..

 

다른 서양권의 미스터리 작품들에 비해서는 잔혹하다는 느낌보다는 이야기가 진행될 수록 궁금증을 불러 일으키는 점이 더 부각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658, 우연히>의 재미는 왜?라는 궁금증보다는 어떻게?라는 부분에 더 초점을 갖고 <658, 우연히>을 읽게 된다는 점도 상당히 특이하다고 할 수 있네요..

 

중후반부까지 한껏 궁금증을 일으킨 것에 비해 결말부분에는 조금은 아쉬운 느낌이 강하지만..

 

데이브 거니 시리즈의 첫번째 작품이라는 점을 생각해본다면 또 하나의 멋진 미스터리 스릴러의 탄생이 반가울 따름입니다.

 

미스터리 물을 좋아하시는 분들에게 적극 추천해드리고 싶은 작품이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