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 세계에서 안전하게 살아가는 방법 NFF (New Face of Fiction)
찰스 유 지음, 조호근 옮김 / 시공사 / 2011년 4월
평점 :
절판


 

찰스 유 님의 <SF세계에서 안전한게 살아가는 방법>입니다.

 

제목부터 굉장히 호기심을 자극하는 책입니다

 

찰스 유님 대만계 미국인으로 생화학을 전공했고, 컬럼비아 로스쿨을 졸업한 조금은 특이한 이력을 가지고 계시지만

 

글쓰기를 향한 열망으로 몇몇 단편을 발표했고, 2007년에는 전미도서재단에서 선정하는 "35세 이하 5인" 중 한 명으로 선발된

 

앞으로가 기대되는 주목할 만한 신진 작가분이십니다.

 

SF물이라면 빼놓을 수 없는 요소가 있죠. 과학이 고도로 발전한 미래문명, 혹은 "타임머신"..

 

<SF세계에서..>는 바로 그 "타임머신"을 소재로 하고 있습니다. "타임머신"을 다룬 SF물이 워낙에 넘쳐 흐르는만큼 호기심을 갖게 되지만

 

이제 더이상 "타임머신"이라는 신선하는 느낌보다는 이제는 너무나 식상한 아이템이 아닐까 싶었는데요..

 

<SF세계에서..>는 그런 식상함에서 완전히 벗어난 작품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작가 분과 이름은 같은 주인공 찰스 유는 타임머신 수리 기술자로, 10년 가까운 세월을 타임머신 안에서 홀로 보냈습니다.

그의 친구는 시공간을 헤매다 주운 로봇 개 "에드"'와 타임머신의 컴퓨터 인격인 "태미", 그리고 자신이 컴퓨터인 줄 모르는 상관 '필'뿐입니다.

주인공은 거의 10년 만에 타임머신 수리를 위해 고향 루프 시티로 돌아오게 됩니다.

타임머신 정비를 맡긴 다음 날 그는 늦잠을 자서 정비 완료 시간에 아슬아슬하게 도착하고, 그 때문에 미래의 자신과 마주치게 됩니다.

주인공은 당황하여 그를 총으로 쏜 후 타임머신을 타고 도망치게 되고 그 이후부터, 자신이 자신을 쏘는 일이 끊임없이 반복되는 시공간상의 오류를 바로잡기 위한 주인공의 노력이 시작됩니다.

 

 

이렇게 간단히 내용을 살펴보니 굳이 특별하게 없어보이기도 하지만..

 

책 속으로 들어가보면 세부적으로 굉장히 독특한 면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타임머신하면 고도로 발달된 과학기술이 집약된 기계로 어떤 영화에서는 자동차, 기계로 둘러싸인 둥근 원형의 모습등 다양한 모습으로 비춰지곤 하는데.

 

<SF세계에서..>에서는 손을 뻗거나 다리를 쭈욱펴면 닿을 만한 공간의 직사각형이 다일 뿐입니다.

 

이외에도 작가분의 무한 상상력이 상당히 놀라운 작품입니다.

 

 

 

<SF세계에서..>을 보면서 타임머신을 만약에 타게 되면 되돌아가는 과거는 과연 행복할까?! 라는 질문에 대한 답이 머리속에 맴도네요..

 

실제 타임머신을 타고 돌아가는 과거는 자신의 과거 중 최악의 과거라는...

 

최악의 순간. 다른 선택을 통해서 보다 나은 미래를 꿈꾸기 떄문에 최악의 과거로 돌아간다. 과연 그럴까?! 라는 생각을 했지만..

 

역시 저같아도 그런 선택을 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드네요.

 

 

<SF세계에서..>는 SF소설이지만 아버지에 대한 추억, 그리움등 성장소설적인 면이 상당히 강한 작품입니다.

 

제목처럼 간단히 읽을 수 있고 재미를 느끼는 것도 나쁘지만은 않았을거 같은데..

 

개인적으로 <SF세계에서..>는 완벽히 이해하고 읽기에는 조금은 어려운 책이었습니다.

 

타임머신, 타임루프라는 물리학적으로 굉장히 어려운 소재가 등장하는 만큼 이해하기 힘든 용어가 등장하고,

 

조금은 철학적인 내용때문인거 같습니다. 조금은 쉽게 쓰셨다면 좋지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마지막 결말 부분의 부록A SF 세계에서 안전하게 살아가는 방법에서 작품에서 하고 싶었던 이야기를 잘 응축해놔서..

 

이해하는데 한결 편해졌습니다. 부록A는 2, 3번 계속해서 읽어보게 되네요.

 

어렵긴 했지만 작가분의 상상력과 참신함에는 박수를 쳐드리고 싶고요, 앞으로 찰스 유님의 행보를 주목할 필요를 느끼게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