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야구부의 영광
이재익 지음 / 황소북스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이재익 님의 신작 <서울대 야구부의 영광>입니다.

 

지난 작품 <카시오페아 공주>와 <압구정 소년들>을 통해서 장르를 넘나들면서도 상당히 재미있는 글을 쓰시는 이재익 작가님의 팬이 되어버렸습니다.

 

이번 작품은 서울대 야구부를 다루었습니다..

 

 

간단히 줄거리를 살펴보자면 이제 막 아내와 법원에 들러 이혼수속을 마치고 돌아온 지웅..

 

따로 나와 살게된 오피스텔에 짐을 풀면서 낡은 야구공을 하나가 나옵니다..

 

불현듯 대학시절 야구부의 기억이 떠오르게 되고 서울대 야구부의 이야기를 다룬 시나리오를 구상하는 이야기입니다.

 

시나리오를 작성하면서 학창시절 함께 활동한 동료들을 하나둘 찾아나서게 되지만..

 

가장 만나고 싶은 동료이자 형이었고 지웅과 함께 배터리를 이루었던 태성 형은 행방불명상태입니다..

 

시나리오의 결말을 위해, 그리고 자신을 위해 태성을 찾아나서게 됩니다..

 

 

작가 분은 <서울대 야구부의 영광>을 야구소설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하셨을 만큼 야구라는 스포츠가 엄청난 비중을 차지합니다.

 

<서울대 야구부의 영광>은 야구소설일뿐 아니라 무엇이 행복이고, 무엇이 꿈과 열정인지등..

 

언제나 승자였지만 이제는 패자라고 느끼는 한 남성의 성장을 다룬 소설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서울대 야구부의 영광>은 굉장히 재미있고 감동적인 소설입니다..

 

우선 <서울대 야구부의 영광>는 야구를 좋아하시는 분이시라면 굉장히 재미있게 읽으실 만한 내용으로 가득합니다..

 

물론 야구를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우리나라 프로야구의 역사를 정말 아주 간단히 쉽게 설명도 빼놓지 않았고요,

 

그리고 종종 역사적인 경기들이 둥장합니다..

 

단순히 다루는 걸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마치 현장에서 보는 듯한 느낌을 줄 정도로 정말 세심하게 잘 표현하셔서..

 

알고계시는 분들에게는 그 시절의 향수를, 잘 모르시는 분에게는 새로운 정보를 보여주네요..

 

국내에서 야구가 엄청난 인기를 끄는만큼 야구팬이라고 자처하시는 분들이라면 필독서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야구팬이시라면 야구를 흔히 인생에 비교하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서울대 야구부의 영광> 역시 단순히 야구를 다룬 것만이 아니라 야구를 통해서 우리가 배울 것들을 함께 다루고 있습니다..

 

실제 이야기이기에 더 화제가 되었돈 서울대 야구부의 이야기..

 

공식전 1승 1무 265패, 다른 이들에게는 그저 보잘 것없는 1승일지 모르지만..

 

그 1승을 위해 그누가 알아주지 않는 오늘도 묵묵히 자신의 꿈과 열정을 다하는 모습이 정말 감동, 그자체였습니다..

 

재미와 감동이 모두 있는 <서울대 야구부의 영광> 꼭 한 번 읽어보시길~!

 

야구를 향한 나의 열정은 스피드 건에 찍히지 않는다.(You can't measure heart with a radar gun.) - 톰 글래빈(Thomas Michael Glavine)
승리하면 조금 배울 수 있지만, 패배하면 모든 것을 배울 수 있다.(You can't learn a little from victory, you can learn everything from defeat.) - 크리스티 매튜슨(Christy Mathewson)
나는 공을 던지는 것이 아니라 희망을 던진다. - 박철순
섣불리 예상하지 말라. 특히 미래에 대해선.(Never make predictions, especially about the future.) - 케이시 스텐겔(Casey Stengel)
끝날 때까지는 끝난 것이 아니다.(It ain't over till it's over.) - 요기 베라(Yogi Berra)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