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원하는 삶을 살 것인가 - 불멸의 인생 멘토 공자, 내 안의 지혜를 깨우다
우간린 지음, 임대근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4년 10월
평점 :
품절


살면서 한번쯤 '공자(孔子)' 혹은 그의 말을 적어놓은 '논어(論語)'를 들어봤음직 하다. 워낙 유명한 성인(聖人)이다 보니 그가 했다는 말 한 마디 한 마디가 다 삶에 귀감이 되고 체득해야 할 것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조선시대처럼 논어를 읽고 배우는 사대부의 삶을 살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는가만은 바쁜 현대인들에게는 그저 바람일 뿐이다. 현대인들에게 공자의 삶이나 생각들이 전해지면 좋겠지만 한자를 공부해가며 논어 원전을 읽을 수도 없으려니와 문장을 해석하며 이해하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이다. 동시대를 살아간 적도 없으니 시대상황을 이해하며 그의 말을 곱씹는 것 조차 어쩌면 무모한 도전이 아닐까 싶다.

 

논어에 대한 책들은 기존에 많이 출간되어 있다. 굳이 이 책이 아니라도 논어를 접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닐 것이라 생각된다. 그럼에도 이 책이 주는 좋은 점은 단순히 논어의 번역의 수준이 아니기 때문에 점수를 줄 수 있지 않겠나 한다. 첫번째 이유로 저자는 공자의 많은 제자들 중에 하나인 '자공'이라는 가상의 인물이 되어 공자와 함께 하며 상황을 풀고 있다. 그래서 독자로 하여금 보다 쉽게 상황에 몰입하게 만들어준다. 흡사 소설을 보는 것과 같은 방식을 쓰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띄는 특징이라 하겠다. 두번째는 논어의 수많은 글들을 10개의 분야로 정리하고 그에 상응하는 이야기들을 기술하고 있다는 점이다. 어쩌면 당연하게 보여지는 이 부분 역시 논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다면 감히 엄두를 낼 수 없는 대목이 아닌가 싶다.

 

우리는 각자가 주어진 삶을 제대로 살고 싶어한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그저 남들처럼 살아가기 바쁘고 어느새 지나온 세월을 후회하며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고 있을 때는 후회로 남은 인생을 볼 때가 많다. 이상주의자이면서도 조화로운 삶을 살고자 했던 공자의 가르침을 배우며 자신을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보면 어떨까 싶다.

 

이 책에서 소중한 문구들을 하나씩 베껴볼까 했으나 책을 덮을 땐 부질없는 짓이란 생각이 들었다. 만약 베낀다면 책을 고스란히 필사해야 할지도 모르겠다. 삶의 방향을 잃거나 지친 이에게 권유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떻게 원하는 삶을 살 것인가 - 불멸의 인생 멘토 공자, 내 안의 지혜를 깨우다
우간린 지음, 임대근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4년 10월
평점 :
품절


살면서 한번쯤 '공자(孔子)' 혹은 그의 말을 적어놓은 '논어(論語)'를 들어봤음직 하다. 워낙 유명한 성인(聖人)이다 보니 그가 했다는 말 한 마디 한 마디가 다 삶에 귀감이 되고 체득해야 할 것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조선시대처럼 논어를 읽고 배우는 사대부의 삶을 살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는가만은 바쁜 현대인들에게는 그저 바람일 뿐이다. 현대인들에게 공자의 삶이나 생각들이 전해지면 좋겠지만 한자를 공부해가며 논어 원전을 읽을 수도 없으려니와 문장을 해석하며 이해하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이다. 동시대를 살아간 적도 없으니 시대상황을 이해하며 그의 말을 곱씹는 것 조차 어쩌면 무모한 도전이 아닐까 싶다.


논어에 대한 책들은 기존에 많이 출간되어 있다. 굳이 이 책이 아니라도 논어를 접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닐 것이라 생각된다. 그럼에도 이 책이 주는 좋은 점은 단순히 논어의 번역의 수준이 아니기 때문에 점수를 줄 수 있지 않겠나 한다. 첫번째 이유로 저자는 공자의 많은 제자들 중에 하나인 '자공'이라는 가상의 인물이 되어 공자와 함께 하며 상황을 풀고 있다. 그래서 독자로 하여금 보다 쉽게 상황에 몰입하게 만들어준다. 흡사 소설을 보는 것과 같은 방식을 쓰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띄는 특징이라 하겠다. 두번째는 논어의 수많은 글들을 10개의 분야로 정리하고 그에 상응하는 이야기들을 기술하고 있다는 점이다. 어쩌면 당연하게 보여지는 이 부분 역시 논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다면 감히 엄두를 낼 수 없는 대목이 아닌가 싶다.


우리는 각자가 주어진 삶을 제대로 살고 싶어한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그저 남들처럼 살아가기 바쁘고 어느새 지나온 세월을 후회하며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고 있을 때는 후회로 남은 인생을 볼 때가 많다. 이상주의자이면서도 조화로운 삶을 살고자 했던 공자의 가르침을 배우며 자신을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보면 어떨까 싶다.


이 책에서 소중한 문구들을 하나씩 베껴볼까 했으나 책을 덮을 땐 부질없는 짓이란 생각이 들었다. 만약 베낀다면 책을 고스란히 필사해야 할지도 모르겠다. 삶의 방향을 잃거나 지친 이에게 권유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떻게 원하는 삶을 살 것인가 - 불멸의 인생 멘토 공자, 내 안의 지혜를 깨우다
우간린 지음, 임대근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4년 10월
평점 :
품절


살면서 한번쯤 '공자(孔子)' 혹은 그의 말을 적어놓은 '논어(論語)'를 들어봤음직 하다. 워낙 유명한 성인(聖人)이다 보니 그가 했다는 말 한 마디 한 마디가 다 삶에 귀감이 되고 체득해야 할 것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조선시대처럼 논어를 읽고 배우는 사대부의 삶을 살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는가만은 바쁜 현대인들에게는 그저 바람일 뿐이다. 현대인들에게 공자의 삶이나 생각들이 전해지면 좋겠지만 한자를 공부해가며 논어 원전을 읽을 수도 없으려니와 문장을 해석하며 이해하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이다. 동시대를 살아간 적도 없으니 시대상황을 이해하며 그의 말을 곱씹는 것 조차 어쩌면 무모한 도전이 아닐까 싶다.


논어에 대한 책들은 기존에 많이 출간되어 있다. 굳이 이 책이 아니라도 논어를 접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닐 것이라 생각된다. 그럼에도 이 책이 주는 좋은 점은 단순히 논어의 번역의 수준이 아니기 때문에 점수를 줄 수 있지 않겠나 한다. 첫번째 이유로 저자는 공자의 많은 제자들 중에 하나인 '자공'이라는 가상의 인물이 되어 공자와 함께 하며 상황을 풀고 있다. 그래서 독자로 하여금 보다 쉽게 상황에 몰입하게 만들어준다. 흡사 소설을 보는 것과 같은 방식을 쓰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띄는 특징이라 하겠다. 두번째는 논어의 수많은 글들을 10개의 분야로 정리하고 그에 상응하는 이야기들을 기술하고 있다는 점이다. 어쩌면 당연하게 보여지는 이 부분 역시 논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다면 감히 엄두를 낼 수 없는 대목이 아닌가 싶다.


우리는 각자가 주어진 삶을 제대로 살고 싶어한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그저 남들처럼 살아가기 바쁘고 어느새 지나온 세월을 후회하며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고 있을 때는 후회로 남은 인생을 볼 때가 많다. 이상주의자이면서도 조화로운 삶을 살고자 했던 공자의 가르침을 배우며 자신을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보면 어떨까 싶다.


이 책에서 소중한 문구들을 하나씩 베껴볼까 했으나 책을 덮을 땐 부질없는 짓이란 생각이 들었다. 만약 베낀다면 책을 고스란히 필사해야 할지도 모르겠다. 삶의 방향을 잃거나 지친 이에게 권유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떻게 원하는 삶을 살 것인가 - 불멸의 인생 멘토 공자, 내 안의 지혜를 깨우다
우간린 지음, 임대근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4년 10월
평점 :
품절


살면서 한번쯤 '공자(孔子)' 혹은 그의 말을 적어놓은 '논어(論語)'를 들어봤음직 하다. 워낙 유명한 성인(聖人)이다 보니 그가 했다는 말 한 마디 한 마디가 다 삶에 귀감이 되고 체득해야 할 것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조선시대처럼 논어를 읽고 배우는 사대부의 삶을 살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는가만은 바쁜 현대인들에게는 그저 바람일 뿐이다. 현대인들에게 공자의 삶이나 생각들이 전해지면 좋겠지만 한자를 공부해가며 논어 원전을 읽을 수도 없으려니와 문장을 해석하며 이해하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이다. 동시대를 살아간 적도 없으니 시대상황을 이해하며 그의 말을 곱씹는 것 조차 어쩌면 무모한 도전이 아닐까 싶다.


논어에 대한 책들은 기존에 많이 출간되어 있다. 굳이 이 책이 아니라도 논어를 접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닐 것이라 생각된다. 그럼에도 이 책이 주는 좋은 점은 단순히 논어의 번역의 수준이 아니기 때문에 점수를 줄 수 있지 않겠나 한다. 첫번째 이유로 저자는 공자의 많은 제자들 중에 하나인 '자공'이라는 가상의 인물이 되어 공자와 함께 하며 상황을 풀고 있다. 그래서 독자로 하여금 보다 쉽게 상황에 몰입하게 만들어준다. 흡사 소설을 보는 것과 같은 방식을 쓰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띄는 특징이라 하겠다. 두번째는 논어의 수많은 글들을 10개의 분야로 정리하고 그에 상응하는 이야기들을 기술하고 있다는 점이다. 어쩌면 당연하게 보여지는 이 부분 역시 논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다면 감히 엄두를 낼 수 없는 대목이 아닌가 싶다.


우리는 각자가 주어진 삶을 제대로 살고 싶어한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그저 남들처럼 살아가기 바쁘고 어느새 지나온 세월을 후회하며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고 있을 때는 후회로 남은 인생을 볼 때가 많다. 이상주의자이면서도 조화로운 삶을 살고자 했던 공자의 가르침을 배우며 자신을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보면 어떨까 싶다.


이 책에서 소중한 문구들을 하나씩 베껴볼까 했으나 책을 덮을 땐 부질없는 짓이란 생각이 들었다. 만약 베낀다면 책을 고스란히 필사해야 할지도 모르겠다. 삶의 방향을 잃거나 지친 이에게 권유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모세대가 몰려온다 - 생산하고 소비하고 창조하는 새로운 10대의 등장
김경훈 지음 / 흐름출판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모세대가 뭐야? 

책 제목을 보면 모모세대라는 단어부터가 생소하다. 저자는 모바일 시대에 10대를 보내고 있는 그들을 '모어 모바일 More Mobile 세대'라 명명한다. 


그럼 왜 모모세대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을까?

당연히 앞으로 그들이 이 시대를 이끌어 갈 주역이기 때문이다. 10년 후가 아니라 당장의 현실에서도 그들은 생산자이고 소비자인 프로슈머다. 이 모든 것들이 스마트폰과 인터넷 덕분이라고 한다. 기성세대들이 살아온 현실과 다른 지금의 모습은 모모세대들에게는 당연한 사회의 모습이고 그들의 특징들은 모바일을 기반으로 한 세상을 살아가는 것이다. 덕분에 오프라인 보다는 온라인에서 더욱 사회성을 나타내기도 하고 소비가 생기기도 하며 그들이 만들어 가는 창조적인 생산물(정보)들이 교류되기도 한다.


모모세대들의 특징은?

첫째, 모어 모바일 세대로로서의 무한한 가능성. 지금의 10대는 기성세대와 다른 세계에서 자랐으며, 다른 기준과 감각, 두뇌를 가지고 있다. 10대를 모모세대라는 관점으로 이해하면 그들을 공략하고 다루는 법을 알 수 있다.

둘째, '두 개의 뇌'로 살아가는 아이들의 지적 능력. 머릿속에 든 첫 번째 두뇌와 스마트폰이라는 두 번째 뇌를 모두 활용하는 10대는 시공간의 제약 없이 정보를 처리하고 직관적으로 재구성한다.

셋째, 콘텐츠를 기획하고 상품을 만들어내는 생산자 감성. 일상을 기록하고 기억하는 행위를 자연스럽게 생산과 연결하는 10대는 디자이너이자 발명가이자 기업가이자 노동자다.

넷째, 안목 높은 평판 전문가로서 만들어 가는 소비문화. 10대는 무나(무료 나눔), 교신(교환 신청), 생정(생활 정보), 중고거래, 알뜰 소비, 구독 소비 등의 활동을 통해 합리적인 소비자로서 안목을 키워간다.

다섯째, 낯선 것을 조합해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매칭 마스터. 핏fit에 목숨 걸고 매칭 감각을 최고의 세련미로 생각하는 10대는 오감을 넘어서 가상세계를 경험하는 원격 감각의 세계를 창출한다.

여섯째, 공유하고 공감하고 협업하는 문제해결 능력. 10대만의 정서, 은어와 유머 등 독특한 문화를 만들어냄으로써 동질감을 형성하고 일상에서 공감을 이끌어내어 글로벌 협업 능력으로 발전시킨다.

일곱째, 웃자란 경계인을 넘어 사회 주역으로 성장한 존재감. 이제 10대는 신체조건, 사회에 대한 관심, 미적 시야의 숙련성, 소비자로서의 감각, 소비 영역에서의 영향력 등 시민이자 경제인으로서도 충분히 조숙한 세대다.


성인이 되면서 나 역시 기성세대들처럼 10대는 단순히 어리게만 보진 않았을까 하는 의문이 생겼다. 저자가 말하는 것처럼 모모세대들은 보다 적극적이고 생산적으로 세상을 살아가고 있다고 보여진다. 어른의 눈높이에서만 평가해서 그들이 우리의 생각을 쫓아오지 못하는 어린이들이라 생각하는 동안 어느새 그들은 그들만의 세상을 살아가고 있다. 세월이 흐르고 위에서 열거된 특성을 지닌 모모세대가 세상을 주도할 때는 그들의 눈높이에 맞는 재화와 용역이 제공되어야 마케팅이 가능하지 않겠나 싶다. 


 

급변하는 세상을 탓할 게 아니라 발맞춰 나가야 하고 리드하기 위해 모모세대를 알아두면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