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도 화장품이나 수입해서 팔아볼까? - 투잡으로 시작해 화장품 회사 CEO가 된 35세 쁘티 무역상 이야기
조희령 지음, 정옥자 감수 / 지식공간 / 2012년 7월
평점 :
10년간 기업지원 업무를 하면서 특히나 제약,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산업에 대한 지원을 꾸준히 해왔던 터라 진작 읽어봐야지 했던 책이었는데 모든 일이 다 때가 있는 법인지 2012년 초판을 구입해 이제야 다 읽었다.
저자 조희령 대표는 무역회사를 다니다가 화장품을 수입해 판매를 해볼까 하는 생각에서 투잡을 시작하게 되고 본업보다 부업이 더욱 실효가 있게 되면서 수입화장품 판매업(쁘띠 무역상; 화장품, 이미용 용품 등 여성을 위한 작고 예쁜 물건들을 수입해서 판매하는 무역업자를 지칭하는 말)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되었다. 이 책에는 저자가 사업을 시작하게 된 계기부터 수입화장품 사업을 진행하면서 필요한 부분들과 알고 있어야 할 점들을 언급하고 있다.
과거 개인이 창업을 할 때 가장 많이 권유 받는 사업이 의류다. 마진률이 높고 재고 부담이 다른 사업분야에 비해 적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화장품사업에 발을 들이는 사람들이 많다. 제조부터 유통, 판매에 이르기까지 화장품은 마진도 클뿐 아니라 화장품을 만들기도 상대적으로 쉽다는 점이 창업을 유도하게 된 연유라 보여진다.
하지만 화장품은 브랜드와 트랜드에 민감하기 때문에 레드오션 시장이라고 많이 불린다. 이미 국내시장의 80% 정도를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이 점유하고 있고 남은 20% 시장을 가지고 3위부터 기타의 수많은 업체들이 시장을 나눠가지고 있다. 정말 힘든 사업이 아닐 수 없겠다.
물론 레드오션 시장이라고 할지라도 중저가의 틈새시장을 개척해 사업을 하고 있는 곳들도 있기 때문에 불가능이란 말은 맞지 않지만 어려운 시장 여건임은 틀림이 없다.
다시 책 이야기로 돌아와, 저자는 자신이 쁘띠 무역상을 하면서 겪고 창업을 하면서 필요했던 이야기들을 상세히 기술하여 이 시장에 들어서기 위한 사람들을 위한 지침서를 만들어 놓았다. 이 점은 개인적으로도 꼭 만들고 싶었던 창업메뉴얼이라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