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님! 청소하러 왔습니다 - 개정판
양단우 지음 / 디디북스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에는 직장에서 혼날까봐 벌벌 떨고, 면접에서 떨어질까봐 식은땀을 흘렸는데. 겁먹고 주눅든 나는 어디가고 강철같은 팔뚝과 굳은살 배긴 손가락만 남았다. 누군가 내게 쌍욕을 하더라도 속으로는

 

그래, 그렇게 네가 잘났다고 말을 하지만, 넌 결국에 세탁조 청소도 제대로 못 해서 잔뜩 곰팡이 난 세탁기를 쓰고 있는 한심한 인간이겠지. 아니면 양말을 뒤집어 벗는 버릇조차 고치지 못해 늘 양말에서 발꼬랑내가 나겠지. 너는 어른의 탈을 쓴 애새끼일 뿐이야.’

하고 생각할 면역력이 자라났다.

모두가 걷는 길에서 벗어났기 때문에 꽤 고생을 하긴 했지만, 그 덕분에 쉽게 예상할 수 있는 인생이 되거나 뻔한 결과를 얻지는 않았다. 만약 정상적인 직장생활을 했었더라면 결코 경험하지 못했을 일들도 많이 겪었다.

 

(-)

 

Q 청소 상태를 보면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답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만...

 

A 자기 주변을 조금이라도 정리하는 사람을 보면 딱 태가 나지. 양말 하나를 벗더라도 지저분하게 널려놓지 않고 세탁통 안에 넣는 사람 있잖아.

 

아무리 청소부가 온다고 해도 내가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자기관리는 해야지. 돈 주니까 부려먹는 식으로가 아니라. 그런 사람의 태도와 마음이 청소하는 사람에게도 전해지는 거야. 그리고 집안 상태를 보면 그 사람이 평소에 어떤 마음가짐으로 인생을 살아가는지 기본적인 태도도 보이지.

이런 이유 때문에 청소하는 사람을 함부로 생각하지 않고, 인격적으로 대우하는 사람에게는 뭐든지 하나라도 더 챙겨주고 싶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스러운 동물성애자 - 종도 편견도 넘어선 사랑
하마노 지히로 지음, 최재혁 옮김, 정희진 해제, 강상중 추천 / 연립서가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어째서 일본에서는 돼지의 미래에는 ‘요리가 되어 올라갈 접시’가, 개에게는 ‘도그런(개 전용 놀이터)’이 통상적으로 마련되어 있는 걸까? (-)

요컨대, 휴머니즘의 시대야말로 동물이 ‘사람’이 정해놓은 경계와 구분에 따라 대량으로 죽임을 당하고 사람의 위장 속으로 사라져가는 시대다. 펫으로서 살아남은 동물들은 다행히 ‘생’을 얻을 수는 있겠지만 ‘성’을 박탈당한 ‘펫’-‘순진무구한 어린이’로서 다뤄지는 운명에 처한다. 개나 고양이를 ‘거세’하는 관행을 그러한 상황을 매우 잘 보여준다. 


(-)

저자의 참여 관찰 대상이 된 독일의 ‘동물성애 옹호단체’ 제타(-)

제타의 압도적 다수가 남성이며, 수컷 동물을 성적 대상으로 두는 ‘주파일 게이’가 과반수를 차지한다. 게다가 ‘게이’ 전원이 수컷 개를 받아들이는 섹스를 하는 ‘패시브 파트’라는 점(-)

이런 의미에서 (-) 그들은 어디까지나 ‘동물성애자’이지 ‘수간자’가 아니다. 하물며 그들은 파트너인 개나 말에게 ‘퍼스낼리티’를 느끼며 그들의 ‘성’을 확실히 받아들이는 동시에, 파트너가 ‘요구하지 않을’ 때는 무리하게 섹스를 강요하는 일도 없기에 ‘페도필리아(소아성애)’와도 완전히 차원이 다르다. (-)


(-)


펫에게 주어진 지위는 자동적으로 ‘아이’이며 ‘자녀’다. 그렇기에 펫을 향한 태도가 때로는 과도하게 보여도 사람들은 공감할 수 있다. “이해해요. 반려동물이란 가족(아이들)이니까.” 내가 발견했던 애견가 가족은 딸과 치와와를 그 당시로는 ‘동등한 아이’로 바라보고 있었다. 하지만 딸이 성장했을 때는 어떻게 될까? 치와와는 ‘여전히 아이인 채’로 딸의 동생이 되지 않을까?

개의 존재감을 인간 아이와 더 가깝다고 느끼도록 만든 학설도 있다. 다름 아니라 ‘개는 다섯 살 아이 정도의 지능을 가지고 있다.’는 주장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이 이야기는 개를 다섯 살 아이와 비슷한 존재로 느끼게끔 (-)한다. 그 결과, 태어나 성장하고 늙어 죽을 대까지 약 십 몇 년간 개는 영영 ‘다섯 살 어린아이’처럼 취급받는다. 그 가정에서 개는 ‘영원히’ 어린아이다.


(-)


개들이 ‘아이’이기에 사람들은 더 무의식적으로 ‘주필리아’와 ‘페도필리아’를 겹쳐 바라보기도 한다.

한편 개를 향한 주파일의 시선은 일반적인 ‘개의 아동화’와 정확히 반대 지점에 위치한다. 그들은 성견을 ‘성숙한 존재’로 바라본다. 그들에게 파트너인 개가 자신과 마찬가지로 대등하게 성숙하다는 가장 좋은 증거는 개에게 성욕이 있다는 것일지도 모른다. 그들에게 개는 ‘다섯 살’ 어린아이가 아니며, 개가 인간의 아이와 ‘비슷’하기 때문에 ‘좋아하는’ 것이 아니다.

(-) 만약 페도파일을 ‘자신과 대등하지 않은 자 혹은 우위에 있지 않은 자에게 성적 욕망을 품은 사람’이라고 정의한다면, 주파일과 페도파일은 매우 커다란 차이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웃긴 게 뭔지 아세요 창비시선 499
한재범 지음 / 창비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니폼을 입고 집까지 간 적도 있다 사장님은 내게 불만이 있으면 말을 하라고 한다 저는 정말 없어요 사장님 저는 이미 충분해요 바깥의 유니폼이 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모님! 청소하러 왔습니다
양단우 지음 / 여행마을 / 2021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재밌게 읽은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왜 우리는 술에 빠지는 걸까 - 알코올 중독으로부터 회복에 이르기 위한 70가지 이야기
하종은 지음 / 초록북스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독 이야기에 중독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