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00년이 지나면
이시이 무쓰미 지음, 아베 히로시 그림, 엄혜숙 옮김 / 살림 / 2020년 3월
평점 :
나이가 들어서일까, 죽음 또는 이별을 주제로 다룬 책을 만나는 순간은 마음은 겸허해지고 진지해진다. 대상이 누구인지가 아닌, 누구라도 거쳐야 하는 과정이며, 나 또한 그 대상이 되는 자연스러운 수순을 맞이해야 함을 이제는 아는 나이가 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하늘을 향한 눈꼬리와 꾹 다문 입술을 가진 사자와 앙증맞다는 말과 너무나 잘 어울리는 새 한마리, 그들이 서로를 바라보는 모습이 그려진 『100년이 지나면』
강렬한 색채로 시선을 사로잡은 표지와 친구라고 하기엔 너무나 부자연스러운 두 동물의 마주침이 주는 신선함과 그윽한 사자의 눈빛이 주는 애절함이 책장을 여는데 힘을 발휘한다.

혼자서 초원을 지키는 사자에게는 친구도 맛난 고기도 없다. 아무것도 없는 그의 생활은 때론 고기를 먹기 위해 초원을 달리던 예전 생활을 그리워하지만 현실과는 어울리지 않음을 알기에 체념하고 받아들이며 오늘을 살아간다. 사자는 큰 즐거움은 없지만, 욕심을 내려놓는 법을 터득해나가게 된다.

어느 날 갑자기 이방인이 초원을 찾는다. 아무것도 없는 초원에 온 손님, 새는 사자의 손님에서 친구가 된다. 고요한 초원에서의 둘은 서로에게 집중하며 서로의 소리에 반응하며 따듯한 시간을 보내게 된다.
새는 곧 마지막 인사를 건네게 되고, 100년 뒤의 만남을 약속한다. 사자와 새에게 이별이란 먼 훗날 다시 만날 날의 또다른 만남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새가 떠난 그 곳에서 사자는 100년이란 시간을 기다린다. 100년이란 시간을 알지 못하는 사자는 그렇게 하염없이 기다리며 조용히 눈을 감는다. 새의 마지막 시간에 함께 한 약속을 새는, 사자는 지켜낼 수 있을까?
바다의 작은 파도는 암벽에 붙은 조개에게 바다 소리를 들려주기 위해 끊임없이 다가간다. 조개가 없어진 뒤에도 파도는 쉼없이 암벽을 치며 마음을 다한다. 어디선가 새의 노랫소리가 들리는 것만 같다.
새와 사자는, 서로가 있는 곳이면 무엇이 되든 함께 하는 100년이란 시간과 마주하게 되는 우연이자 운명의 시간을 보내게 된다. 결코 서로의 존재를 전할 수는 없지만, 서로를 느끼는 감각으로 슬픔과 기쁨을 통해 서로를 만나고 있다.

그 후……
삶을 견디어가는 사자에게 온 새 한 마리는, 삶의 새희망이 되기도, 이별의 아픔을 안기기도 한다. 또한 이별을 견디는 연습을 하게도 하고, 100년이란 막연한 시간이 주는 기다림을 안겨주는 존재가 된다. 새가 말한 100년 후라는 약속은 잊히기 쉬운 시간이지만, 그들은 간절한 마음을 다해 서로의 곁을 지킨다.
내가 지난 해부터 올해 방송된 두 드라마를 통해 '죽음'과 '만남'에 대한 이야기를 만나고 있다. 허구의 이야기이지만, 죽음과 그 후 그리고 떠난 자와 남은 자의 모습에 여러 생각이 드는 요즘에 그림책 『100년이 지나면』 은 또 다른 느낌으로 다가온다.
100년이란 시간은 우리에게 기다림을 전하고 있다. 죽음은 현실이지만, 그 현실이 곧 이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해석하고 싶다. 우리가 만나는 바람에도 햇살 한 줄기에도 기다리는 이의 온기가 담겨 있을 거라 믿고 싶다. 간절한 마음을 다해 믿고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