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stic River

 

방향은 이미 정해져 있고, 그 일방통행로 속에서 인간은 똑같은 실수를 되풀이한다. 이런 인간에게 남는 인생이란 결국 자기 합리화와 회피적 망각 뿐이다. 똑같은 상황이 끊임없이 돌아오고, 그 앞에서 살아남기 위해 인간은 스스로 무뎌져야 한다.

여기서 人間史는 성숙이나 자각이 아니라 억압된 회한과 무감각의 무한 축적으로 귀결된다. 삶은 상표만 달리 한 채, 끝도 없이 동일한 폐기물로 쌓이기만 하는, 쓰레기 하치장의 산과 같다. 난지도 위에 꽃길과 공원을 만들듯이 우리는 단지 포장만 바꿈으로써 인생을 그야말로 '견딘다.' 그리고 이 영화는 이렇게 잘 견딘다는 사실이 얼마나 끔찍한 것인지를 마지막 퍼레이드 장면에서 보여준다. 견디는 일을 퍼레이드로 바꿀 수 있는 능력, 악몽을 길몽으로 변화시키는 이 놀라운 능력 덕에 인간은 공룡 이후 지구에서 가장 번창하는 종이 되었다.

영화의 핵심은 세 명 중 한 명에 의해 차의 빈 자리는 꼭 채워져야 되고, 그 한 명은 자기 이름을 다 쓸 수 없게 되어 있다는 (일종의 섭리와 같은) 구도인 듯 하다. 그 구도에 인간이 손을 댈 구석은 어디에도 없다. 영화에는 인간이 어쩔 수 없는 차원이 밑에서부터 발목을 부여잡고 있고, 위로부터 어깨를 내리누르고 있다. 그리고 데이브가 죽기 전에 남긴 마지막 말처럼 아무런 준비도 되지 않은 채 삶은 중단된다. 그가 죽은 후에도 어느 누구에게도  開明은 뒤따르지 않는다. 그들은 자신들이 준비되어 있지 않다는 사실을 누구나 어렴풋이 알지만 스스로 무시할 뿐이다. 아내의 품에 안겨서...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간달프 2003-12-18 18: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박찬욱의 '올드보이'든, 이스트우드의 '미스틱리버'든 모두 호흐의 <어머니와 아이들>이란 그림 속에서 창밖을 응시한 채 뒤돌아선 아이의 모습을 연상시킨다. 소위 걸작이라고 뇌까려지는 것들은 대개 안보이게 초월적이다. 현실을 맹렬하게든, 나태하게든 어떤 방식으로 살아도 그걸 극한으로 몰아붙이면 끝이 보이고 결국 낭떠러지 앞에서 망연자실해진다. 이런 태도를 '종교적' 태도라고 봐야 할까? 아마도 종교적인 것이란 스파크처럼 번쩍하다 사라지는 것이리라. 사람이 손대면 개구리가 된다.???

간달프 2003-12-18 15: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영화에서 한 남자는 범죄자로, 다른 한 사람은 형사로 나온다. 마치 <반지의 제왕>에서 인간 세계를 의미하는 Middle Earth가 천사와 악마가 공존하는 공간이듯 그 둘은 서로를 적대적 보충물로 삼는 하나의 (온전해 보이는) 세계, 즉 인간의 세계다. 그런데 그 세계엔 구멍이 있다. <반지의 제왕>에서는 그것이 '절대반지'로, <미스틱 리버>에서는 야구공을 삼킨 하수구 구멍으로 보인다. 이 구멍은 세상의 온전함을 위협하는 외부로부터의 침입이다.

간달프 2003-12-18 20: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른 식으로도 볼 수 있을 것 같다. 미국의 역사에 대한 비극적 알레고리같은 것으로? 제 이름을 다 쓰지 못하고 잊혀진 미국 역사 속의 존재들에 대한 이야기로... 공동체적 봉합(surture) 행사로서의 퍼레이드, 데이브를 납치한 '헨리'와 '조지'라는 이름이 주는 능글맞음, 범죄와 정부(형사)의 공모적 뉘앙스, 모든 죄악으로부터 자신들을 지켜주는, 징그러운 family value... 가히 "국가의 탄생"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