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칸트 평전 - 한 꼬마가 세계적 현자가 되기까지 ㅣ 미다스 휴먼북스 10
만프레트 가이어 지음, 김광명 옮김 / 미다스북스 / 2004년 5월
평점 :
절판
저자는 칸트의 세계를 "암시의 세계"라고 칭하는데 아마도 이것이 칸트가 우리에게 진정 해주고 싶었던 말이라 여겨진다. '암시의 세계'는 중세적 신성의 세계에 대한 근대적 대체물 노릇을 한다. 그리고 인간의 위치는 중세 시대의 순수한 무지의 '어린 양'에서, 아이와 어른의 요소를 동시에 지닌 이중적 존재이면서 '암시의 세계'의 숭고를 머금고 있는 가능성의 존재로 이동한다.
뉴튼이나 스베텐보리 등이 현상 세계의 과학적 원리를 추구했지만 이는 인간에게 (강유원의 말을 빌어) '쓸쓸함'만을 남겨주었고 그 쓸쓸함에 지쳐버린 그들은 급작스레 신으로의 도약에 휩쓸렸다. 그들은 섯불리 신을 보았고 만졌고 말했다. 쓸쓸한 세계로부터 환영적이고 신비주의적 도약 혹은 도피...
"지성적 세계의 이름 아래에서 공허한 초월적 개념의 영역으로 무력하게 날개를 펴지 않으며, 거기서 나오지 못한 채 유령으로 사라져버리지도 않는다." (IV.100)
칸트는 뉴튼의 굳건한 어깨 위에 섰지만 그에게 세계는 뉴튼의 것처럼 쓸쓸하지는 않다. 아마도 그가 인간에게 부여한 능력 때문일 것이다. 그에게 인간은 오성 세계와 감각 세계가 공존하는 이성적(이중적/모순적) 인간으로, 이성의 한계 내에서 자기 창조적인(자율적인) 존재이며, 현상 세계의 입법자이기도 하다. 비록 인간이 이 세계나 자신을 완벽한 존재로 만든다고 장담할 수는 없을지라도 인간은 완전성을 희망하며 그 완전성은 대개 '형언할 수 없는' 어떤 것으로 인간에게는 숭고한 느낌으로 내재한다.
칸트의 일생은 '모순'으로 보인다. 그는 누이의 부양을 위해 시간을 쪼개 일을 했지만 그 누이와는 거의 25년간 말 한마디 나눈 적이 없었고, 일평생 아내도 아이도 없이 살았지만 그는 사교적 모임의 훌륭한 재간꾼이기도 했으며, 평생 쾨니히스베르크라는 서방 변방의 작은 도시에 틀어박혀 떠난 바 없지만 그는 언제나 '세계 시민'을 이야기했다. '모순'은 칸트가 본 인간 조건이기도 했다. 그리고 그 모순 덕에 인간은 좀 더 숭고해지는 듯 하다. 광대한 우주에 비하면 보잘 것 없는 이 사소한 존재가 모순의 압력으로 인해 좀 더 숭고한 어떤 곳으로 발걸음을 내딛는다. 이 압력이 없을 때 우리는 그냥 주저앉아 동물이 되거나 무중력 상태에서 스스로 신을 참칭할 것이다.
이 평전은 칸트가 본 인간의 이중성, 그리고 네가지 형이상학적 근본 질문으로 구성된다. 1장과 2장에서는 칸트가 일평생 구축하고자 한 인간상이 그의 어린 시절의 경험('첫울음'과 '별이 반짝이는 하늘')과 함께 이야기되고, 3장은 나는 무엇을 알 수 있는가("영혼을 본자가 있는지 나는 알 수 없다"), 4장은 나는 무엇을 행해야 하는가("오직 비판의 길만이 열려있다"), 5장은 나는 무엇을 희망해도 좋은가("네 자신의 오성을 스스로 사용하는 용기를 가져라"), 6장은 인간이란 무엇인가("내 안의 도덕법칙-선의지와 근본악 사이에서")과 연관이 있고, 마지막 7장은 다시 1장에서 다뤘던 생명력이나 열정의 문제와 연관된다.
나같은 문외한에게 직역투의 문장은 좀 고역이었다. 그러나 칸트의 저작에서 직접 인용된 문장이 많기 때문에 어쩔 수 없었던 듯 하다. 옆에 칸트의 철학 용어 사전이라든가 따위를 놓고 함께 보았으면 더 좋았을 것을... 저자가 말하듯 그가 떠난 200년 이상이 지난 지금까지도 (그가 틀렸던 아니든 상관없이) 그의 업적을 논하지 않고서는 단 한 걸음도 앞으로 나갈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