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배반한 역사
박노자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03년 4월
평점 :
절판


박노자는 현대 한국의 정체성은 '나'를 배반함에 있다고 본다. 그리고 도대체 '나'를 배반하는 정체성의 역사적 기원은 어디에 있을까 따져보고자 하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이다. 기원은 단순히 한국의 기원만은 아닌 듯 하다. 중국이며 일본도 포함된다. 동아시아적, 아시아적 혹은 퇴영-기형적 근대의 모습에 대한 비판으로 읽어도 무방하겠다. 자아의식의 발달이 미비했던 동아시아에서는, '자유', '개인', '사회'에 대해 '동아시아적' 왜곡을 일삼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서로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면서 모양새가 서로를 닮아버렸다. 지금 일부 한국인, 일본인, 중국인들이 서로를 맹비난을 해대는 일이 빈번한데, 이것이 난데없는 듯이 보일 정도로 동아시아인들은 닮아있다. 에도든 베이징이든 서울이든 평양이든, 피식민자였건 식민지배자였건 어떤 면에서 모두 하나였던 것이다.

중국처럼 단기간은 아니고, 36년의 식민지 근대화기를 겪은 한국은 이 기형적 근대에 대해 손쉽게 악의 기원을 남에게 떠넘길 수 있었다. 한국의 '나'없는 기형적 근대는 일본식 근대가 이식된 탓이고, 박정희는 그런 일본식 근대를 되살린 사람이라는 식으로 말이다. 그러나 박노자는 우리의 이런 역사적 열망에 찬물을 끼얹는다. 마치 이렇게 말하는 듯 하다.

'너희들은 본래부터 일본식의 기형적 근대를 신나게 받아들일 만반의 준비가 되어있었다. 일본의 식민 지배가 없었으면 현대 한국의 극우적, 기형적 모습도 없었을 것이라고 착각하지 마라. 마치 동학을 당시의 대단한 대안이었던 것인양 받아들이는데 동학의 내부를 들여다보라! 미신과 봉건적 이데올로기 투성이였다. 당시에 당신들 조상에겐 제대로된 근대로 나갈 길이 아예 없었다.'

이것은 박노자의 의견은 아니다. 하지만 그의 의견을 저렇게 극단화시켜서 받아들이는 것이 나에겐 더 효과적으로 보인다. 가망없는 과거에서 옥석을 가리는 것 보다는, 가망없는 과거에서 변명거리를 찾는데 시간을 허비하는 것 보다는 현재 '나'를 배반하는 현대 한국의 사회외 문화, 법률과 시스템들을 어떻게 고쳐나갈 것인지 고민하는 편이 더 낫고 유교 자본주의니 유교적 근대화니 하는 약간 사기성이 농후한 개념들에 오염되지 않는 방법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특히 요즘 퇴계 열풍이 못마땅한데, 이 열풍의 뒤안에서 나는 퇴계유학이 일본 천황의 교육칙어의 기초가 되었다는 사실을 떠올리기 때문이다. 퇴계는 그냥 조선 시대 퇴계로 놔두시라. 그것만으로도 충분히 위대하신 분이다. 욕보이지 마시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