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버 타운 - 양쯔 강에서 보낸 2년
피터 헤슬러 지음, 강수정 옮김 / 눌와 / 2003년 8월
평점 :
절판


책을 접었을 때 나는 마치 달콤씁스름한 영화를 한 편 본 기분이었다. 책은 쓰촨 양쯔강의 고요한 반짝임과 함께, (그가 앞으로 가르칠) 사범대 학생들의 시끌벅적한 대장정 기념 횡단대회이 서로 대비를 이루며 시작한다. 그가 2년간 머물며 아이들을 가르친 푸링이란 도시는 그런 도시였다. 거대한 강의 두 지류가 1만년전에 그랬듯이 지금도 만나 흘러가는 와중에 마오의 삼선정책으로 탄생한 급경사에, 탄분이 날리는 북적이는 시골 산업도시. 과거(전통?)를 잊기엔 아직 덜 앞서나간 어쩡정한 사람들의 마음들. 순박하지만 시대가 할퀴고간 상처 위에 자기들도 모르게 마음의 장막을 쌓아놓고 있는 사람들. 그곳에 28살의 피터 헤슬러(일명 호웨이)와 22살의 아담이 중미우호단(평화봉사단^^)의 이름으로 그들과 만난다.

헤슬러는 그들에게 헤슬러와 다른 정체성을 지닌 '호웨이'란 또 다른 이름으로 불리면서 푸린 사람이 되었다가 헤슬러가 되었다가, 그도 저도 아닌 제3자가 되기도 하면서 그들과 만나고 얽힌다. 작가가 다양한 정체성들을 거느리고 어느 한쪽의 선입견에 몰입되지 않은 채 끊임없이 '그들'과 함께 자기 자신도 읽어보는 시도가 너무 마음에 들었다. 학교 간부들과의 술자리가 놀람과 기괴함에서 지루함으로 변하고 서양 귀신의 시간맞춘 조깅에 농사꾼들이 무심해졌을 때 쯤, 어느새 자신이 쓰촨 푸링 풍경의 한 부분이 되었음을 발견한다.

그러나 여전히 으스스함은 사라지지 않고 남는다. 수천년의 역사와 자연을 집어삼킬 쌴사댐과 이에 놀랍도록 무관심한 수몰예상지역 사람들, 과거의 엄격함과 현재의 불확실함의 기인한 조합 속에서 집단적 사고의 수갑을 풀지못해 결국 자살로 이어지는 여인들. 그런 으스스함을 이기게 돕는 것은 유머감각이다. 그가 가르치던 아이들은 그의 수업을 통해 무엇보다도 유머감각을 배운다. 그리고 마지막에 그의 아이들이 돈키호테를 각색해 상연하는 곳에서 그 유모어는 위대한(!) 클라이막스를 이룬다. 푸링에 드리운 형체없는 편집증들이 이 가상의 연극 속에서 순식간에 증발되어 버린다. 이 부분이야말로 이 책의 보물이다. 올 가을 이 책을 놓친다면 당신은 명백히 불운하다. 번역은 최상급이고 유머와 사랑이 뒤섞인 원문은 이미 추종을 불허할만큼 신난다.

P.S.
그곳에서 헤슬러가 만난 쓰촨사람들은 놀랍도록 한국사람들을 닮았다. 매운 음식을 잘먹고, 가족애와 애국심은 두터운데 그 중간에 들어갈 공동체와 독립적인 개인의 자리는 희미하면서도, 놀랄만큼 경쟁적이면서 놀랄만큼 비합리적이다. 첫인사는 항시 식사와 돈벌이에 대한 것이다. 유태인을 숭배하면서도 히틀러를 높이 평가하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은 것도 한국인을 빼닮았다. 다단계 판매조직이 감시와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사회에 쉽게 자리잡고, 무엇보다도 '관시'(관계, 인맥)를 중시한다. '민주주의'가 나라 이름 속에 들어있건만 민주주의에 회의적인 사람들이 득실거리고 천안문(사건)은 광주처럼 보통 사람들의 기억 저편으로 사라지고 없다. 일전에 소설가 장정일이 중국에서 한류열풍이 성공한 이유는 바로 한국 대중문화의 시대착오성 때문일 것이라는 일갈이 떠올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