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르만 신화 바그너 히틀러 - 논픽션총서 1
안인희 지음 / 민음사 / 2003년 7월
평점 :
품절
전철 안에서 띄엄띄엄 읽어서 기억이 흐릿하지만 대체로 책의 내용은 독일 낭만주의가 바그너를 거쳐 히틀러로 연결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이치 낭만주의가 '낭만적 아이러니'라는 지적 긴장을 읽지 않는 모습을 보여줬지만 바그너에 와서 그런 긴장은 사라져 버리고 예술과 현실과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었는데, 히틀러는 그런 바그너적 경향을 아예 현실로 구현한 인물이었다는 것이다.
바그너에 대한 비판적 입장은 주로 니체의 것을 빌어 설명한다. 니체는 바그너가 ('문화에 적대적인 질병'인)도이치 민족주의로 타락한 것, 데카당스에 대한 병적인 매혹에 빠진 것, 고전적 음악의 양식을 파괴하고 음악을 단지 무대효과의 부수단위로 전락시키고 내용적 빈곤을 거대함으로 땜질한 것 등을 비난했다. 이 모든 요소는 독일인들이 사유를 중지하고 무대효과에 중독되며, 공상과 현실을 혼동하는 나쁜 습관을 불러일으켰다고 본다.
이런 나쁜 습관을 고스란히 재현해낸 자가 바로 히틀러라는 것이 이 책의 주장이다. 히틀러는 정치를 예술로 변질시킨 자란 것이다. 국제 정치를 거대한 연극판(체스판)으로 보고 정복(생존)과 복종(몰락)의 이분법으로 단순화했다. 매킨더경의 지정학적 이론과 이 이분법이 스파크를 일으켜 세계의 심장부인 '중앙아시아 정복론'에 빠져들었고 실행했다. 여기서 나는 부시가 애독한다는 로버트 카플란의 책이 떠올랐다. 번역서도 있으니 구해보시라. 서로 빼다 박았다. 여하튼 히틀러라는 독일인의 시대 경험은 아리스토텔레스식 카타르시스 기법에 대한 두려움을 낳았고 그것이 오늘날 독일 연극 전통의 하나인 (브레히트의) 소외효과이론 탄생의 배경이 된다.
이 책은 다양한 각도에서 즐길 수 있는 책이다. 클래식 매니아도 좋고, 신화 애호가에게도 추천할 만하다. 또 독일 근현대 문화사에 대한 서설로도 쓸만하다. 아차, 그리고 2차대전의 원인을 히틀러로 단정하는 것에 이견을 제시하는 의견도 있다. A.J.P. 테일러의 <제2차 세계대전의 기원>에서는 히틀러는 전쟁을 피하려고 했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그 말이 옳다면 안인희씨의 주장은 좀 덜 설득적일 것이다. 김상봉씨의 <그리스 비극에 대한 편지>에서는 널리 퍼진 니체의 그리스 비극 해석에 대한 통렬한 공격이 있다. 함께 참고하며 보면 좋을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