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은 없다
고자카이 도시아키 지음, 방광석 옮김 / 뿌리와이파리 / 2003년 8월
평점 :
절판


제목이 본문과 어긋난다. '민족은 없다'라고 주장하는 책이 아니다. 민족은 그 실체(혹은 본질)는 없지만 인간들의 상호작용의 세계에 그것이 '있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매직 아이'를 연상하면 딱 어울리겠다. 수 많은 점들 속에서 몇 개의 점에 시선을 집중하면 어느 순간 삼차원의 공간이 확 떠오른다. 이 때 어떤 점은 선택하고 어떤 점은 제외된다. 자의적이다. 그러나 어느 순간 무언가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듯이 확 떠오른다. 실재하지 않지만 더 실재같은 이것이 바로 '민족'이다. 혈연도 인종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현실이란 반은 허구다. 허구없이 현실도 없다. 민족은 명백히 허구지만, 동시에 현실을 가능하게 하는 허구다. 현실과 허구를 둘로 나누고 후자를 버리는 일은 가능하지 않다.

인간은 이 허구가 지속되는 한 그 허구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이런 관점에서 일본의 역사적 부채는, 일본인이라는 허구가 지속되는 한, 일본인에게서 면제되지 않는다. 많은 현대 일본인들이 서구 개인주의의 논법으로 조상의 죄를 왜 우리 세대가 짊어져야 하는지 의아해하지만, 저자는 이런 의심은 정당하지 못하다고 본다. 일본(인)이라는 역사적 허구에 의해 자기 자신이 만들어진 바, 이 조건을 초월할 수 없기 때문이다.

기존의 열린 공동체 개념은 대개 두가지다. 프랑스식 (개인주의적) 보편주의나, 미국식 다문화(다민족)주의다. 그러나 전자는 개인을, 후자는 민족을 실체(본질)로 인정하고 있다는 맹점이 있다. 타자와 상호작용을 하면서 '나'란 것이 가능한 법임에도 루소식의 개인주의는 그런 타자를 소거하고 '순수한 개인'을 고안했다. 순수한 개인으로 공동의 사회란 불가능하다. 그래서 루소는 모든 개인을 초월하면서 규정하는 '일반 의지'를 또 고안했다. 이맇게 개인주의와 전체주의가 겹치는 기회를 제공했다.

반면 미국식 다문화주의는 민족을 실체화하고 성급하게 민족 사이에 경계선을 그어버린다. 어떤 면에서 다문화주의는 분리주의란 용어의 완곡어법인지도 모른다. 소수파를 옹호하되 그들을 분리해서 옹호해서는 안된다. 다문화주의적 논리가 유럽의 극우들에게 재사용되기도 한다. 아랍인들은 유럽인들의 문화에 동화시킬 수 없으므로 그들은 다시 돌아가야 한다고 말한다. 다문화주의는 이런 주장에 대해 이렇다할 반론을 재기하기 힘들다. 자, 그렇다면 프랑스식 보편주의도, 미국식 다문화주의도 답은 아니다. 그렇다면 무엇이 답일까?

저자가 민족을 다루는 방법은 좀 더 근원적이다. 민족은 대체로 역사학적이거나 정치학적인 방식으로 다뤄어져 왔다. 반면 저자는 인지론적이거나 사회심리학적 방법에서 출발한다. 그래서 색다르지만 결론은 평이한 용어로 간다. '열린 공동체', 우리가 대안적 사회로써 숱하게 듣는 개념이다. 그러나 단순히 이방인과 사이좋게 지내는 사회라는 개념은 아니다. 이방인은 그냥 '다른' 존재가 아니라 그 사회가 자신을 정립하는데 '필요불가결한' 존재다. (이방인이 없다면 그 사회가 이방인을 날조라도 해야할 정도로 공동체의 정체성과 이방인은 서로를 필요로 한다.) 그리고 언제나 소수파인 이방인들은 주류 사회를 변화시킨다. 이방인과 공동체가 서로 꽈배기처럼 꼬이면서 꾸준히 새로운 공동체로 변신해가는 것이다.

저자가 주장하는 핵심은 이것인 것 같다. 유래나 고정된 것에 집착하기 보다는 타자와의 만남을 통해 끊임없이 변화하는 활력에 참여하고 즐기면서 새로운 것을 창조하라는 것이다. 그리고 사람들은 다수파든 소수파든 강요에 의하지 않고 스스로 자유롭게 변화의 활력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재일들이 국적이나 이름을 바꾸지 않는 것은 바로 그들이 강요의 느낌을 받기 때문이다. 고단수의 동화 전략일까? 그렇게 생각했다면 당신은 책을 처음부터 다시 읽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