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의 지배
마이클 클레어 지음, 김태유.허은녕 옮김 / 세종연구원 / 2002년 11월
평점 :
품절


지난 시절의 이념 대결 혹은 최근에 개발된 문명 충돌에 의거한 국제 갈등들은 결국 한꺼풀 벗겨내면 경제 갈등이며, 경제 갈등의 핵심에는 자원에의 전쟁이 자리하고 있다는 것이 이 책이 우리에게 일러주는 혜안이다. 물론 자원 갈등이 유일한 갈등의 원천일 수는 없지만, 자원에 대한 소유 및 접근성이 가속적으로 희박해지고, 반대로 수요는 점증하는 상황에서 이념적, 문화적, 인종적, 정치적 갈등이 자원에의 갈등과 연관되는 일은 더욱더 잦아지고 있음은 사실이다. 아프카니스탄 사태나 이라크 전쟁이 어떤 식의 정치적 수사로 치장되든지 간에 그것은 근본적으로 자원 전쟁일 뿐이다.

1998년 세계야생기금(World Wildlife Fund)는 1990년과 1995년 사이 이용가능한 자연적 부의 3분의 1을 잃었다고 한다. 물론 이런 상실의 속도는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더욱 심각한 것은 세계의 경제를 지탱하는 탄화수소 에너지 공급에 대한 비관적 전망이다. 미 에너지부의 예측에 따르면 석유소비가 매년 2%씩 증가하는 현재의 상승세를 감안할 때 현존하는 석유 공급량은 25-30년 내에 사라질 가능성이 크며, 설상가상으로 추가적인 석유 채굴에 대해 더 높은 위험도와 비용을 희생해야 하기 때문에 세계는 2020년 경부터 심각한 수요 대비 공급 위기를 격기 시작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탄화수소 에너지에 대한 통제력이 지니는 국제정치적 함의는 지대해진다. 널리 알려져있다시피 미국에게 있어서 석유 자원에 대한 '세계적 차원'의 통제력은 미국의 글로벌 파워로서의 위상을 유지하는데 핵심적인 요소이다. 이는 과거 구 소련이 동구권에 대한 석유 수급 통제력을 통해 동권 및 여타 공산권에 대한 지역적 헤게모니를 유지했던 것, 중국이 북한에 대해 석유 공급을 토대로 영향력을 행사했던 것과 마찬가지이다. 한국과 일본, 대만 (나아가 동남아와 중국까지) 등은 이런 미국의 석유 헤게모니에 의존하여 미국 소비 시장의 공장 노릇을 하면서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

여하튼 본서는 최근의 국제적 분쟁들을 레토릭에 현혹되지 않고 경제적이고 물질적인 토대로부터 읽어내도록 돕는 교과서같은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읽고 나서 느끼는 것이지만 이 책은 평화주의자들 뿐만 아니라 이 땅의 반북론자들에게 읽힐 필요가 있다. 평화주의자들 만큼이나 이 땅의 반북론자들은 일종의 정치지향의 맹신주의자들이기 때문이다. 그들은 (이북의 정치체제가 어떤 체제이든지간에) 이북을 통과하여 얻어질 수 있는 에너지 자원에 대한 남측의 접근성 확대는 중동 지역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는 남한의 치명적인 의존구조를 해소하는 첩경이란 점을 제대로 인식해야 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