렘브란트와 혁명 - 혁명적 예술가 3
존 몰리뉴 지음, 정병선 옮김 / 책갈피 / 200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인적으로 스피노자를 공부하면서 17세기 네델란드 사회에 대해 관심을 두지 않을 수 없었고, 동시에 스피노자와 몇 블록을 사이에 부고 살던 역사적인 화가 렘브란트에도 눈길이 미치지 않을 수 없었다. 17세기 네델란드 사회를 세밀히 다룬 책을 찾기가 쉽지 않았던 차에 우연찮게 이 책을 발견하게 되었고, 간략하게나마 그 시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며 이 분야에 관한 한 독보적인 저서인 조나산 이스라엘의 'The Dutch Republic: Its Rise, Greatness, and Fall 1477-1806' 도 소개받을 수 있었다.

책이 내보이는 렘브란트는 '새로운 혁명적 예술양식'의 개척자이며, 나아가 그가 개척자로써 등장하게 된 사회적 배경에 주목한다. '렘브란트의 혁명적 예술을 탄생시켰던 것은 17세기 전반부의 네델란드 사회였다. 그리고 그 네델란드 사회는, 에스파냐 왕정에 반발해 1566년에 시작되어 독립 네델란드 공화국 성립으로 종결된 네델란드 독립혁명의 직접적 결과였다.'

그렇지만 렘브란트는 한 시대의 깊은 구조를 반영한 존재이자, 동시에 그 시대를 회의적인 태도를 드러내는 반정립적 존재이기도 했다. 그의 대상 인물에 대한 시각에는 부르조아적 시각과 함께 반부르조아적 (혹은 타자적) 시각이 모순적으로 공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그 증거로 당대의 고통받고 소외되는 자에 대한 단순한 연민의 태도가 아닌 연대감과 동일시의 태도를 내세운다. 렘브란트는 이런 식으로 변증법적 역사 발전의 궤적의 중요한 연결고리이자 증표로서 제시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