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자유주의의 기원 책세상문고 우리시대 53
이나미 지음 / 책세상 / 2001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최장집 교수의 최근작인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와 함께 본 책이다. 이 책의 부제가 '한국 민주주의의 보수적 기원'이었는데, 이나미씨의 이 자그마한 책이 그 보수적 기원을, 서양, 일본, 중국 한국 안가리고,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그녀가 공격하는 대상은 보수주의자들이 참칭하는 '자유주의'(혹은 자유지상주의)다. 여기서의 자유주의는 민주주의와 배리적인 것이다. 왜냐하면 민주주의는 강한 자들에 대항하여 약한 자들이 연대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자유-민주주의란 형용모순적 용어가 보수주의에서 사용되는 것은 보수주의자들 역시 자신들의 권익을 위해 민중의 힘을 빌릴 필요가 있기 때문일 뿐이다.

또한 이 책은 박노자씨의 개화기 한국사에 대한 고찰과도 나란히 놓고 읽을 수 있다. 이나미씨는 개화기 당시 독립신문에서 사용된 자유주의적 담론들인 자유, 이익, 독립 등의 용어를 밝히며 그들이 인종차별주의와 경쟁지상주의, 사회진화론, 제국주의 담론에 오염되어 있었는지도 보여준다. 이런 것들이 한국 자유주의의 보수적 기원을 이루며 오늘날까지 '자유민주주의'를 참칭하는 소위 메인스트림의 척도가 된 것이다. 이나미씨가 말미에 <브레이브 하트>에서 멜깁슨이 외치는 뜬금없는 착각적인 'freedom'과 <글라디에이터>에서 막시무스의 뒤늦은 냉소적 자각을 뛰어넘는 진정한 자유인의 사표로 록커인 한대수를 지적한 점도 안성마춤이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