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알아야 할 모든 것 : 교양 사람이 알아야 할 모든 것
디트리히 슈바니츠 지음, 인성기 옮김 / 들녘 / 2001년 11월
평점 :
품절


최근에 유럽 각국과 미국 등지에서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화적 다원주의가 휩쓸고 지나간 폐허 위에 다시 전통의 정신을 계승하려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유럽은 유럽 통합과 함께 유럽 공동의 역사서술에 나서고, 젊은 세대로부터 자꾸만 멀어져만 가는 성서나 고전들을 이 세대들의 감수성과 언어에 적합하게 고쳐 재출간하여 크게 성공하기도 하고, 프랑스의 크세쥬 총서처럼 학생이나 초심자를 위한 각종 문화 및 역사 참고 사전들에 대한 공세적인 기획을 시도하기도 한다.

이런 시도들은 문화적 좌파에 의해 자민족중심적인 '기념비주의'라고 매도당하기도 하지만 나는 개인적으로 그런 매도가 과연 100% 합당한 것인지는 의문스럽다고 생각한다. 기념비를 세우는데만 혈안이 되는 것은 문제겠지만 그렇다고 수천년간 쌓아온 조상들의 사유와 창작의 성과들을 일시에 '기념비'라고 레테르를 붙여서 고물창고로 던져 버리는 것도 심각한 문제가 아닐까?

저자의 태도는 분명 교양문화론적이고 엘리트주의적인 뉘앙스(예를 들어 그는 프롤레타리아적인 것을 경멸한다)를 짙게 풍긴다. 바보상자를 내치고 쓰잘데기 없는 가십문화와는 절연하라고 한다. 코드니 탈코드니 어쩌구 하면서 보잘 것 없는 텍스트에 이론적 숭고미를 덮어씌우려는 공허한 시도도 그만두라고 말한다. 한때 대중문화 속에서 정치적 무의식을 읽어내려고 시도했던 문화적 좌파들(대개 안락한 상아탑이나 살롱에 은거해 있다)이나 문화산업에 빌붙어서 상품에 그럴싸한 지식포장을 해주던 지식날품팔이들(대개 입 가벼운 비평가들이다)을 상당히 속상하게 하는 일갈일 것이다. 그래도 슈바니츠는 거대이론 혐오시대의 도래와 함께 전통적인 지식인과 교양인이 죽고 매니아와 문화게릴라(?)가 패권을 차지한 현대 문화가 영 못마땅하다.

내가 보기에도 이 현대의 문화패권들은 너무 호흡이 짧고 안목도 좁다.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 슈바니츠 말마따나 '와우! 짱이야!' 수준이다. 이런 형편없는 상태를 고칠 수 있는 치료법으로 그는 글자문화(글읽기와 글쓰기)를 제시한다. 일리있다. 영상문화시대 어쩌구 하지만 읽어보고 써본 경험이 없는 놈이 대체 영상에 대해 무엇을 얘기할 수 있다는 말인가? 기껏 '음... 그 영화 좋더군...' '음 그래 너도 그러니?'와 같은 수준에서 얼마나 벗어날 수 있을까? 글쓰기는 감정의 순간적 표현이 아니라 사고의 깊이와 정연함을 훈련하는 것이며 교양인의 최저 요구 조건이 된다.

분명 저자의 관점은 뭔가 문제가 있다. 너무 엘리트중심적이고 서구중심적이다. 게다가 고의적으로 강조하기 위해 그런 것이겠지만 교양문화집단의 배타적 에티겟으로까지 발전시킨다. 그러나 한 번 더 생각해 보자. 얼마전에 고흐 전기를 펴냈던 박홍규선생은 노동자들이 티브이보다는 고호의 그림에 감동하는 기회를 갖게 되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노동-인권 운동의 궁극목적은 월급 몇 푼 올리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또한 서구 중심적이란 몇몇 비난도 내겐 좀 너무 틀에 박힌 비판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 저자의 태도는 서구에서 태어나 서구 전통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한 사람이 붕괴되어가는 서구 문화의 전통으로부터 성찰적인 연속성을 되살리려고 발버둥치는 것이다. 이런 사람에게 '왜 넌 서구 밖에 모르냐'고 일갈한다면 뭔가 핀트가 맞지 않는다. 그건 불난 집에 부채질하는 꼴은 아닐까?

서구중심적이라고 비판해야 할 대상은 침몰하는 배를 구하느라 정신이 없는 슈바니츠가 아니라 바로 우리 자신들이다. 슈바니츠를 서구중심적이라고 욕하는 우리는 과연 비서구적인 우리 자신에 대해 얼마나 알고 감흥하고 있는가? 더 나아가 서구화된 우리는 서구에 대해 얼마나 깊이 알고 있는가? '서구중심적'이란 비판은 함부로 사용해선 안된다. 그 비판은 우리에게 지적 나태를 '배타적 태도'로 얼버무리는 자기기만적 부메랑으로 되돌아 올 수도 있다. '서구중심적'이라고 일갈하기 전에 과연 '서구'의 정체는 무엇인지 열심히 공부하고 탐구해야 한다. 어설픈 일반론적이고 추상적인 비판은 안하느니만 못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