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차르트 - 한 천재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
노르베르트 엘리아스 지음, 박미애 옮김 / 문학동네 / 1999년 4월
평점 :
품절


'공기의 압력은 비둘기의 비행을 어렵게 하는 듯이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칸트의 말은 통속적으로 '타고난' 천재로 인식되는 모짜르트에게도 고스란히 적용된다. 천재과 사회의 관계는 어떤 것일까? 천재를 순전히 개인적 특성으로만 환원시켜 생각할 경우 사회 혹은 관습과 제도란 오직 장애물로만 비춰질 것이다. 그러나 역자가 후기에서 말한대로 '예술의 창조적 표현은 관습의 형태에 맞서는 저항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 저항 '덕분에' 완성되는 것이다.'

모짜르트라는 인간의 퍼스낼리티는 천재라는 예술적 존재와 분리될 수 없다는 것이다. 피터 새퍼의 희곡을 밀로스 포먼이 연출한 영화 [아마데우스]를 보면 모짜르트에 대한 사회학자 엘리아스의 시각이 엿보인다. 아버지의 권위에 눌려 살면서 그로부터 벗어나지 못한 채 어린애처럼 사는 모짜르트의 이율배반적인 모습은 엘리아스가 포착해낸 또 다른 사회적 관계인 궁정 사회와 모짜르트 사이의 이율배반적 관계에도 오버랩될 수 있다. 천재란 단순히 순수하게(미적 세계 속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이렇듯 다양한 사회적 관계 속에서, 특히 모순적 관계 속에서 형성된다는 것이다.

아쉬운 점도 있다. 아마 사회학적 시각의 한계이겠지만 모짜르트를 천재로 규정해내는 요소들 중 가장 중요한 특성은 바로 작품이란 점이다. 따라서 엘리아스는 인간 모짜르트와 그가 속한 사회의 관계에만 천착할 것이 아니라 사회와 작품사이의 관계도 추적했어야 했을 듯 하지만 이 점은 좀 소홀한 듯 하다. 사회학자의 영역이 아니라고 여기기 때문일까? 문학의 경우 문학 텍스트와 사회의 관계, 즉 정전과 사회의 관계를 따지는 문학사회학이 그런 것인데 음악 사회학적 시각으로 살펴보는 것이 논의의 긴밀함과 설득력을 더 높일 수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1분중 0분께서 이 리뷰를 추천하셨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