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반영의 영화와 문학 - 돈 키호테에서 장 뤽 고다르까지 한나래 시네마 13
로버트 스탬 지음, 오세필 외 옮김 / 한나래 / 1998년 2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서두에서 말하듯이 문학과 영화에서 '대안적 전통'이라고 불릴 수 있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이 대안적 전통이란 기존의 소설, 영화, 희곡 등의 관습에 의문을 던지는 것, 헐리우드에서 흔히 보이는 환영주의와 매혹과 결별하는 것, 그리고 매끈하게 봉합된 텍스트로서의 구조가 아니라, 스스로 자신이 인공적 구조물임을 의도적으로 드러내는 것, 그래서 전체적으로 탈신비화, 탈신화화의 전략을 실행하는 것이다.

세르반테스와 같은 문학의 영역에서 부터 그 기원을 찾아, 브레히트를 이어서, 현대 고다르의 영화들로 이어지는 이 전통은 예술이 단순히 소극적인 환락의 대상으로 전유되기를 거부하고, 적극적으로 삶의 체험과 반성, 대안과 창조의 방향으로 이끌고자 하는 전통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책의 미덕은 영화나 문학을 텍스트적 구축물이라는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바라보면서도 이 예술장르들의 미디어적 특성을 사상시키지 않는다. 언어와 영상이란 나름의 특성 속에서 나름의 자기 반영적 전략을 추구하는 모습을 설득력있게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 책은 아방가르드 영화만을 위한 논설이 아니다. 저자는 전위와 주류 사이에서 요동치며 움직이는 어중간한 영화들을 새롭게 범주화시켜내고 있는데 이런 범주에 속하는 영화들의 특성은 내러티브를 해체할 뿐 거부하지 않는다는 점, 즉 이야기 만들기를 즐기면서도 내러티브의 탈신비화를 미리 염두에 두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 책이 다루는 자기 반영전략들은 관극행위의 우의적으로 드러내기, 생산(제작) 과정의 드러내기, 내러티브와 동떨어진 자의식 드러내기, 무질서하지만 역동적인 카니발리즘의 정치학, 그리고 전복이다.

이제 100여년을 넘어선 영화의 역사를 이해하고 그 역사를 구성한 역동적 의지들을 일목요연하게 이해하는데 있어서 저자의 자기 반영적 전통은 크게 도움이 된다. 그리고 단지 영화를 다른 문화적 전통들과 단절적으로 파악하기 쉬운 순진한 영화매니아들에게 영화 전통 속에 겹쳐진 다른 예술의 전통, 그리고 헐리우드 영화 뿐만 아니라 주류문화에 대한 문제의식과 정치적 판단에 대한 안목을 높여주는데 좋은 책이라고 생각된다.

특히 이 책의 부록으로 첨가된 '영화 특유의 자기 반영성'이란 장은 영화 매체의 자기반영적 가능성들을 통찰력있게 보여주고 있어 꼭 일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