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사전: 이론과 비평 한나래 시네마 12
수잔 헤이워드 / 한나래 / 199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Film Studies란 말은 있어도, Filmology나 Cinemolgy란 말은 없다. '신문방송학'이 자신의 정체성으로 자랑스럽게(?) 늘어놓는 학문의 십자로란 말처럼, '영화학'이란 여타 학문들이 서로 가로놓여 있는 가운데 왕성하게 생성되고 있는 중이기 때문이다. 좋게 말하면 혈기왕성하고, 나쁘게 말하면 어리숙하다는 거다.

본서는 1996년 루트리지 출판사에서 간행된 것인데 교보에서 원서를 보고 구입한지 6개월만에 내 눈 앞에 번역서가 나타났다. 그냥 책도 아니고 사전인데 이렇게 빠르게 번역을!! 좀 놀랐지만 서두른 때문인지 번역에서의 오류가 자주 눈에 띈다.

영화이론의 경우 현대철학과 기호학, 미학, 커뮤니케이션이론, 사회학 등의 용어가 자주 원용되는데 이 분야의 용어는 자의적으로 번역되어서는 안된다. 하지만 그런 부분이 자주 눈에 띈다. 이 책도 사전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는데, 사전을 번역하는 일은 학문적 소통의 기초를 놓는 일이라는 점에서 섯부르고 성급한 번역은 차라리 않하느니만 못하다.

역자는 (항목 몇 개 더 늘린 것으로 만족하지 말고) 좀 더 다른 관련서들을 참조해서 전문어들에 대한 상세한 각주를 포함시켰으면 한다. 영화에 대한 관심이 꾸준하기 때문에 이 책에 대한 수요가 꾸준할 것이고, 그런 점에서 새 판을 찍을 때 전면적으로 개정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그리고 원서의 문제인데 이 사전은 지나치게 미국중심적이다. 역자는 우리가 볼 수 있는 것이 미국영화뿐이니 오히려 장점이 많지 않겠느냐고 말하지만 그래도 이건 해도해도 너무 했다. 마지막으로 집고 싶은 점은 한나래 출판사 특유의 촌스런 레이아웃이다. 원서의 단아하고 깔끔한 맛은 순식간에 사라졌다. 역서의 커버 사진처럼 [현기증]나는 레이아웃이다. 제발 전면적이고 완전하게 판을 갈아주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