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와 영화 - 영상의 지배전략과 권력의 계산
박종성 지음 / 인간사랑 / 1999년 8월
평점 :
품절


현대사회를 읽는데 영화처럼 매력적인 자료도 없다. 또한 동시에 현대사회를 변혁하는데에도 영화처럼 매력적인 도구가 없다. 저자가 천착하는 영화에 대한 태도도 이런 쪽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정치 혹은 혁명의 측면이다.

영화가 대중의 기호와 태도를 반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화와 혁명이 본격적으로 조우하게 된 것은 70년대, 그러니까 18세기에 봉기가 이뤄진지 거의 2백년만이다. 기술의 공백기를 제외하더라도 영화는 대체로 그 당대사회의 지배적 가치관을 재생산하는 기제로 작동해 왔던 것이다. 70년대에 들어서 이런 일체형 영화가 분열되기 시작한다. 이것이 저자가 이른바 '정치영화'라는 흐름이다.

저자는 단호하다. 특히 한국 영화와 영화비평 및 이론계에 나타나는 현실추수주의나 미학적 자폐성 혹은 대가만들기, 어린애들 투정같은 신변잡기적인 영화비평계 등을 신랄하게 비판한다. 그의 이야기를 듣고 보니 그럴 듯하다. 영화저널은 있지만 영화이론은 없는, 그래서 인상주의에 몰수되는 현상, 그리고 그런 인상주의 경향을 오히려 두둔하는 사람(강한섭같은)도 있다.

그들은 영화에서 정치성을 퇴색시키는 반면, 영화의 상업성을 강조한다. 줏대보다는 유연성과 융통성을 강조한다. 그러다 보니 이들이 발설하는 영화에 관한 주장들은 자주 자기모순적이고 불확실하다. 그 모호함을 희석시키기 위해 외국의 이론가들에게 절대적으로 기댄다. 현실로부터 자신의 입장을 확실히 세우기도 전에 우선 자물쇠를 풀고 보는 현상은 작금의 영화 유행의 흐름과 얽혀져서 저널리즘의 선정주의와 잘 놀아난다.

이 책은 가뭄에 단비같은 책이다. 저자의 분명한 자기 주장과 면밀한 연구가 엿보이고 저자의 '영화정치학'의 선언은 생기없는 기존의 영화학계에 비하면 확실히 돋보인다. 앞으로 어떤 저술이 이어지질지 자못 기대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