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통역사
수키 김 지음, 이은선 옮김 / 황금가지 / 2005년 9월
평점 :
품절


종종 뛰어난 문학작품들은 선택과 경계의 기로에서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하는 인물들을 창조해 냅니다. 《삼국지》의 그 많은 배신자들에서부터 《레 미제라블》의 자베르 경감을 지나 수없이 많은 작품 속에서 경계를 아슬아슬하게 지나치고, 때론 강렬하게 대비하기도 합니다. 주인공 내면의 모습이 될 수도 있고, 외면의 상황이 그런 경계를 만들어 내고, 그것을 우리들은 '갈등'이라는 이름으로 부르게 되지요. 


이 작품 《통역사》도 그 경계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한국인과 미국인이라는 정체성의 경계, 가족과 개인이라는 경계, 백인과 유색인이라는 경계, 법정에서 피고와 원고의 경계... 이 모든 것을 조금은 차가운 시선으로 바라봅니다. 


주인공의 차갑고 냉정한 시선은 굉장히 효과적인 느낌이 듭니다. 우리는 가끔씩 친숙한 말을 하다가도 그 친숙한 말들이 어느 순간 어색해서 그 말을 입에서 되새기는 순간이 있습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화자가 한국과 미국, 그리고 미국 속에 사는 한국인들의 이야기를 하는 모습을 신선하게 느낀 건 이런 '어색한 순간'을 잘 표현했기 때문일 거에요. 마치 평면도로만 집의 도면을 보다가, 다 지어진 집을 밖에서 보는 그런 느낌이죠. 


주인공 수지는 경계 속에서 방관자일 수 밖에 없습니다. (작품을 읽다보면 수지의 언니인 그레이스가 인물이나 이야기에서 더 강한 느낌을 줍니다.)이 작품은 여성의 내면을 섬세하게 따라가는 90년대 한국 여성작가들의 작품들같고, 인종과 사회의 모습을 이야기하는 고발소설같기도 하고, 어찌보면 쓸쓸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것이 하루끼의 소설같기도 합니다. 게다가 여러 이야기들이 얽혀있고, 뒤로 갈수록 추리소설 특유의 서스펜스도 강해집니다. 한없이 인간의 내면을 파고드는 모습과 법정의 이야기를 제대로 엮어내는 것을 보면서 '이 작품이 정말 데뷔작일까?'라는 의문이 들 정도였으니까요. 


한마디로 풍성한 작품입니다. 미국 평단의 찬사를 떠올리지 않는다 하더라도, 이 정도 작품을 만난 것은 행운이란 생각이 듭니다. 보통의 작품은 원서를 이해하실 정도의 수준이라면 원서가 낫다는 이야기를 많이 하는데, 이 작품은 그럴 필요가 없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번역의 질 또한 정말 훌륭하다고 생각한 얼마 안 되는 작품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스페이스 오디세이 시리즈 1
아서 C. 클라크 지음, 김승욱 옮김 / 황금가지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가끔씩 위대한 영화 리스트에 나와있는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2001 Space Odyssey>는 악명이 높은 영화죠. 호기심에서 보기라도 했던 사람들을 모두 잠들게 한다는 마법같은 영화였으니까요. 웬만큼 집중력이 있지 않은 사람은 쉽게 보기가 힘들 겁니다.


2. 하지만, <2001 Space Odyssey>는 영화의 실망감을 넘어서는 제목의 포스가 느껴졌어요. 90년대 메이저리그를 주름잡았던 안드레스 갈라라가, 데이비드 져스티스, 켄 케미니티같이 뭔가 실제 실력 이상의 무언가를 뿜어내는 그런 제목 말이죠. 60년대 우주를 꿈꾸던 사람들의 2001년은 이럴 것이다... 하는 희망과 상상의 경이로움이 있었어요. 아직도 제겐 2001년이라는 숫자는 쉽게 과거의 숫자라는 생각이 들지 않습니다. 이 작품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도 2001년은 영원한 미래일 것입니다.


3. 영화도 영화 나름대로의 훌륭한 점이 있기때문에 위대한 영화로 손꼽히는 것이겠지만, 아서 클라크의 <2001 Space Odyssey> 또한 엄청난 작품임에는 틀림없습니다. 어느 한 분야에서 최고의 지성 두 명이 진검승부를 펼치는 느낌이라고 할까요. 


4. 이 작품은 당대 최고의 천문학/공학적 지식을 지니고 있던 사람이 외계를 향해 나아가는 준비작업들을 굉장히 자세하게 표현합니다. 근데 그 지식들이 절대 낡거나 어설프지 않습니다. 기술이 어느 정도 업데이트된 현재의 눈으로 보아도 꽤 정확한 지식들이죠. 


5. 이 작품의 중후반까지 집중력을 잃지 않게 하는 존재인 HAL 또한 만만치 않은 긴장감을 줍니다. 인공지능으로 대표되는 미래의 모습을 예측한 것이겠죠. 그렇지만 일반적인 작가라면 이 매력적인 캐릭터인 HAL의 존재만으로 이야기를 신나게 풀어가겠지만 클라크가 바라본 지점은 훨씬 더 먼 곳에 있습니다. 


6. 초반의 타이트한 짜임새는 작품 후반부로 가면 무언가 신비스러운 분위기로 흘러갑니다. 그러다 어느 순간 초월적이면서도 종교적인 이야기를 보여줍니다. 그러면서도 종말적이거나 심판의 의미가 아닌 어딘가 새로운 희망과 새로운 세계에 대한 동경들이 물씬 풍겨납니다. 마치 먼 대양을 향해 희망을 가지고 나아가는 항해의 모습같습니다.

The truth, as always, will be far strange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은마 - 개정증보판
안정효 지음 / 나남출판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번역가 안정효의 소설 중 영화로 만들어진 소설은 <하얀전쟁 White Badge>, <헐리우드 키드의 생애>, 그리고 이 작품 <은마는 오지 않는다 Silver Stallion>입니다. 세 작품 모두 작가의 자전적인 소설이라 할 수 있습니다. 작가 안정효는 미군들이 트럭에서 던져주는 초콜릿을 받아먹으면서 어린 시절을 보냈고, 헐리우드(Hollywood)를 성림(聖林, Holy wood)라고 생각하면서 영화관에서 고등학교 시절을 보냈고, 한기주처럼 월남전에 참전하고 출판사 직원으로 지냈던 사람입니다. 자연히 이 작품 <은마는 오지 않는다> 속에도 작가의 경험이 묻어날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1950년 인천 상륙작전으로 서울이 '해방'되고 유엔군과 국군이 북진을 하는 동안 강원도 금산의 만식이네 동네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생각하게 됩니다. 그들은 옛날 전설처럼 백마를 타고 마을을 지켜줄 장군이 '매가도(맥아더)' 장군이고, 장군이 이끄는 병사들은 마을에 평화를 가져다 줄 것이라고 말이죠. 하지만 그들의 순진한 믿음은 마을 사람들을 비웃던 미군들의 웃음 속에서 조금씩 깨져나가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만식의 어머니인 언례가 두 명의 미군에게 강간을 당하고, 마을 옆에 텍사스 촌을 만들고 마을을 타락시키면서 완전히 그 믿음들을 부숴버립니다. 


이 작품은 세 개의 이야기가 얽혀 있습니다. 첫번째는 언례가 미군에게 강간을 당한 이후 마을 사람들의 조롱과 편견때문에 '양공주'가 되어 가는 과정과, 그런 어머니의 모습을 보면서 안타까워하고 아이들 사이에서 따돌림과 이용당하는 모습을 다룬 만식의 이야기와, 마을 사람들을 대신하고 언례를 위해 무언가를 해야하지만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황노인의 이야기가 그것입니다. 이 모든 이야기들은 지극히 사실적입니다. 전쟁의 참혹함이라는 주제를 상당히 미시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등장인물들의 내면 속을 파고들어 이야기를 전개시켜나갑니다. 레마르크의 <서부전선 이상없다>에서처럼 전쟁의 상처에 슬퍼하고 괴로워하는 모습만을 집중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전쟁으로 인해 촉발되는 만식이네 마을 사람들의 집단적인 악한 행동과 사고에 촛점을 맞추었습니다. 


작가는 만식(Mansik)이라는 주인공의 이름을 Sick + Man...= Mansik 괴로워하는 인간을 연상시키도록 만들었다고 합니다. 어린 아이의 집단이 어른의 그것보다 훨씬 잔인하고 악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그 속에서 괴로워하는 만식의 모습을 더욱 더 강조하기 위해서라고 했습니다. 이는 윌리엄 골딩의 <파리대왕>과 상당히 비슷한 설정입니다. 하지만 가상의 상황을 설정한 <파리대왕>과 다르게 이 작품은 역사적 상황을 바탕으로 훨씬 개연성이 높은 이야기이기 때문에 더욱 잔혹하게 느껴집니다. 


이야기가 전개되는 동안 보고 싶지 않다고 느껴질 만큼 잔혹한 상황이 펼쳐집니다. 그리고 여기엔 감동적인 '타협'이나 '화해' 또한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 나라의 역사가 그래왔듯이 말이죠. 몇년 전에 읽었을 때는 이런 결말이 조금 아쉽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요즘은 이런 이야기가 더욱 더 진실을 포함하고 있다는 생각을 합니다. 인간이란 전적으로 선하지도, 전적으로 악하지도 않고 자기보다 약한 상대 앞에서 쉽게 악해질 수 있는 존재이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에덴의 동쪽 1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81
존 스타인벡 지음, 정회성 옮김 / 민음사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작품은 존 스타인벡이 자신과 함께 일했던 편집자 파스칼 코비치에게 보내는 편지로 시작합니다.


PASCAL COVICI 


Dear Pat, 

You came upon me carving some kind of little figure out of wood and you said, "Why don't you make something for me?" 

I asked you what you wanted, and you said, " A box" 

"What for?" 

"To put things in." 

"What things?" 

"Whatever you have," you said. 

Well, here's your box. Nearly everything I have is in it, and it is not full. Pain and exitement are in it, and feeling good or bad and evil thoughts and good thoughts - the pleasure of design and some despair and the indescribable joy of creation. 

And on the top of these are all the gratitude and love I have for you. 

And still the box is not full. 


JOHN 



파스칼 코비치 


친애하는 팻에게, 

자네는 언젠가 나무로 만든 작은 조각상을 가지고 날 찾아와서 말했지. "날 위해서 뭐 하나 만들어주지 않겠나?" 

어떤 걸 원하냐고 묻자 자네는 대답했지. "상자 하나" 

"어떤 데 쓸 건가?" 

"물건 들 좀 넣을 거네." 

"무슨 물건?" 

"자네가 가진 것이라면 뭐든지" 

자, 여기 자네의 상자가 있네. 내가 가진 것 거의 모두가 들어있네. 그리고 아직 채워지지 않았고. 고통과 흥분이 그 속에 담겨있고, 좋았던 느낌과 나빴던 느낌, 악한 생각과 선한 생각 - 구상의 즐거움과 약간의 절망, 그리고 표현할 수 없을 정도의 창작의 즐거움까지 담겨있네. 

그리고 이 모든 것 위에 내가 품었던 자네를 향한 감사의 마음과 사랑이 있네. 

그리고 아직 그 상자는 채워지지 않았네. 


존 


============================================================ 

 언젠가 친구에게 이런 편지를 보내거나, 또는 받을 수 있다면 그것만큼 행복한 일은 없으리라 봅니다~ 예술가와 그의 친구만이 누릴 수 있는 특권이겠지요. 


이 소설은 제임스 딘이 주연했던 동명의 영화제목으로 더 널리 알려져 있을 것입니다. 50년대 천재감독으로 불리웠던 엘리아 카잔의 연출이었죠. 잠시 영화에 관한 정보를 검색해 보니 (일부분이지만) 원작을 충실히 옮겨놓은 듯 합니다. 


하지만, 이 책을 손에 들고 읽어가면서 느낀 것은, '거대함'이었습니다. 영화는 주인공 아담 트래스크와 두 아들, 아론과 칼의 이야기가 중심이고, 그것만을 다루는 것도 벅찼을 것입니다. 책은 남북전쟁부터 1차 세계대전 이후의 미국 역사를 아우릅니다. 아론과 칼의 이야기는 어찌보면 거대한 역사책의 에피소드처럼 보일 정도니까요. 아담 트래스크가 태어나서, 전쟁을 겪고 캘리포니아의 샐리너스로 이주합니다. (샐리너스는 존 스타인벡의 고향이며, 그의 작품에서 자주 등장하는 곳입니다. 그의 삶과 작품 어느 곳에서도 샐리너스의 풍광은 정말 아름답게 묘사됩니다.) 그 안에서 수없이 많은 사람들이 살고, 사랑하며, 미워하며, 늙어가고, 생을 마감하는 이야기 속에는 거장의 필치가 느껴집니다. 


<에덴의 동쪽>은 제가 읽은 존 스타인벡의 소설 중 7번째 작품입니다. <분노의 포도>를 제외하면 거의 중편에 가까운 소설들입니다. 그는 프란츠 카프카나, 버지니아 울프같이 최첨단의 실험정신을 보여주진 않습니다. 하지만 매우 쉬운 글로,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단어들로 주옥같은 작품을 만들어내고 아직까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예술은 형이상학적이고 무언가 세상과는 동떨어진 고매한 것이라는 생각보다는, 우리 주위에 땀과 눈물이 흐르는 그 곳에서 아름다운 예술이 만들어진다는 것을 조용히 가르쳐 주는 것 같네요. 


이 책은 우리나라의 '느낌표!' 프로그램과 비슷한 오프라 윈프리 쇼의 책 소개 코너에서 다시 소개되어 다시 베스트셀러가 되기도 했습니다. (오프라 윈프리는 고등학교 시절 이 작품을 읽고 독후감을 써내라고 했는데 제대로 못 썼는지 D학점을 받았다네요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명을 찾아서 - 상 - 京城, 쇼우와 62년 문학과지성 소설 명작선 13
복거일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8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복거일이라는 이름은 21세기를 살아가는 대중들에게 그닥 친근한 이름은 아닙니다. 사람들의 이름에 오르내릴만큼의 엄청난 거장도 아니고, 기억하는 사람들에게도 그저 '영어공용화론'을 외치는 우파 논객으로 대중들의 머릿속에 각인이 되어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외의 '소설가'로서 그의 면모를 기억하는 사람(저같은 사람들이죠)은 데뷔작인 이 작품 [비명을 찾아서 - 경성 쇼우와 62년]이 작가에 대한 호불호와는 상관없이 뛰어난 작품이라는 점을 이야기하고 싶을 겁니다. 


2. 이 작품은 역사가 현재와 다르게 흘러간다는 상상에 기반하여 1980년대 현재까지도 조선이 일제의 식민지로 남아있다는 가정에서 시작하는 소설입니다. 흔히들 '대체역사소설'이라고도 합니다. 이토 히로부미가 안중근 의사에게 저격되지 않고 그의 의도대로 조선을 식민지화한 후의 조선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 속에서 일본의 식민지에 사는 지배당한 민족인 기노시다 히데요라는 주인공이 겪게되는 사상적/역사적 관점의 현실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3. 우선 이 책의 단점을 이야기하자면 '낡았습니다' 1980년대 초반까지 직장생활을 하던 작가가 그리는 사회의 모습이나 인물들 간의 태도, 역학관계, 대화의 수준, 기타등등의 많은 부분들에서 30년이라는 세월이 느껴집니다. 사무실에서 '줄담배'를 피우고 재떨이를 치우는 여직원의 모습부터, 여직원에게 거는 농담의 수준이나, 위계질서가 훨씬 견고한 관료적인 사무실의 분위기까지... 현재를 사는 우리 독자들의 눈에는 좀 거슬릴 만한 내용들이 많습니다. 내용에서도 치정관계와 같은 부분들에서는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의 태도가 보이기도 하고요. 문체나 외래어를 표시하는 방식에서도 낡은 느낌이 듭니다.


4. 하지만, 제가 지적한 단점들은 모두 본질이 아닌 지엽적인 부분들입니다. 이런 작가의 낡은 태도들이 이 작품이 진정으로 이야기하고자 하는 본질을 가리진 못합니다. 이 작품은 자기 정신의 뿌리에 대한 여정을 통해 기노시다 히데요에서 박영세라는 이름을 찾아가는 이야기입니다. 이 작품의 기본 골격은 일제시대가 연장된다는 역사적 사실이지만, 세세한 부분으로 들어가보면 주인공을 감싸고 있는 현실이 굉장히 정확하게 표현되어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글을 좋아하고 시를 좋아하는 주인공이 '반도인'이기 때문에 사회생활에서 느껴지는 차별받고, 실제 회사에서 업무처리되는 과정들과 대화의 논리성은 미생보다 훨씬 그럴듯 합니다. 작가가 서울대 상학과를 졸업하고 실제 회사생활을 한 사람인 것이 이 정밀한 묘사에 도움이 되었을 겁니다. 


5. 이런 방식의 이야기는 낭만주의 시대의 소설들처럼 무언가 대단한 계기가 사건때문에 인간이 변화하는 것이 아닌...(마치 부모나 연인의 원수를 갚기 위해 각성하는 주인공같은...) 생활 속에서 커다란 변화가 될 만한 사건의 단초가 제공된다는 것이죠. 10대나 20대에 보았다면 너무 밋밋하드는 생각이 들 수도 있겠지만, 40대 독자로서 제가 느끼는 점은, 이 작품이 훨씬 더 개연성이 있기에 공감이 갔습니다. 


6. 작품 중후반에 경찰에 잡혀 고문과 심문을 받으면서 주인공이 조선인 출신 일제 전향자와 1대1로 대화하는 장면은 이 작품의 백미입니다. 자신이 지니고 있던 신념이 짓밟히고 정신적으로 항복하게 되는 모습을 그려가면서("불행한 뿌로메떼우스"로 표현됩니다), 일본 제국주의가 어떻게 지식인들을 짓밟았는가에 대한 작가의 신념이 담긴 답을 보여줍니다.


7. 이 작품은 한 장(Chapter)를 소위 '경구'들로 시작하고 그 '경구'이 함축하고 있던 내용들이 그 장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과 절묘하게 맞아들어갑니다. 보통은 이런 경구들이 사족이 될 수 있는데 이 책을 읽어나갈 때에는 결코 사족으로 느껴지지 않습니다. 작품의 완성도와 연결이 될 만한 사항입니다.


8. 저는 복거일이라는 작가를 [쓸모없는 지식들], [소수를 위한 변명]같은 에세이로 먼저 접했습니다. 신문에도 기고를 많이 했던 작가이기 때문에 에세이또한 나쁘지 않게 읽었습니다. 특이할 만한 사항은 작가가 SF에 대해 굉장한 애정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었어요. 정식 문학 전공을 통해 등단한 작가가 아니기에 현재 문단에서도 좀 아웃사이더의 느낌이 들긴 하지만, 저같은 일반 독자들에게는 꽤 신선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