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을 부르며 살았다 - 마종기 시작詩作 에세이
마종기 지음 / 비채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늘 쳇바퀴같은 하루를 보내고 있는 직장인이 된지 이제 1년이 조금 넘어간다. 반복되는 일상, 반복되는 사람들, 불과 몇년 전만 해도 난 다를 것이라고. 시간은 쓰기 나름이라고. 나에게 1시간의 시간이 주어져도 낭비없이 쓸 수 있을 거라 믿었다. 얼마나 즐길 게 많은데, 얼마나 할 게 많은데 그 시간들을 저렇게 계획없이 쓰는 걸까. 난 다를 거라 믿었다. 하지만 나라고 별 수 없다는 게 나의 깨달음이다. 피곤에 지친 몸, 조금이라도 일찍 뉘이는 것이 건강에 좋을 것이라고 믿게 됐고 계획과는 다르게 어제와 다르지 않은 오늘을 살고 있다. 그 사이 얼마나 경이롭고 신비한 것이 나의 곁을 스쳤는지 아둔한 나는 깨닫지 못한다.


일기를 전혀 쓰지 않는 나는 어제 무슨 일이 있었는지는 기억해도 일주일 전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는 기억 못한다. 시간의 무덤에 내 기억과 일상을 고스란히 묻어버리고 있다. 숨가쁘게 달려가는 일상에 젖어 있다가 문득 깨닫는다. 언제 시간이 이렇게 지나버린 걸까. 그 사이 무슨 일이 일어났던 걸까. 잠시 멈춰서 내 주위를 돌아보는 여유를 난 사치라 여기고 있었나보다. 나 스스로에게 그런 일상의 작은 쉼마저 주지 않는다면 누가 나에게 그런 시간을 줄 것인가. 안타깝다. 벌써 이렇게 지나왔다. 난 무엇을 얻었고 무엇을 잃었는지. 누구를 알았고 누구를 놓쳤는지.

마종기님은 일상 속에서 보고 느꼈던 감정과 아쉬움, 설렘들을 시의 언어로 기록해 놓았다. 시 안에 숨겨 놓은 그의 일상 속 깨달음들에 대한 술회가 고스란히 이 책 한권에 담겨 있다. 치열했을 것 같고 숨가빴을 것 같다. 고국에 대한 그리움과 아쉬움을 담았고 떠난 사람들에 대한 미안함과 그리움이 담겨 있다. 그의 삶은 시를 통해 그의 시를 읽는 많은 독자와 함께 공유되고 있다. 더 이상 일상이나 삶에 대해 신비함이 없을 거라 여긴 노년의 눈을 통한 자연의 경이로움, 사람 관계와의 아쉬움, 결국 사람이란 나이와는 상관없이 늘 비슷한 고민과 아쉬움을 옆에 두고 사는가 보다.

하지만 소망한다. 나에게도 그처럼 맑은 눈이 있기를. 무심코 지나온 풍경에서 아름다움을 보기를. 아름답다 여기기를. 닿을 수 없을 것 같던 희망을 유치하다 여기지 말고 기쁜 마음으로 소망하기를. 믿음이 있기를. 닮고 싶다. 그의 문학에 대한 열정과 글에 담은 아름다움을. 내 삶이 잠시 누군가에게 빌린 인생이라 믿게 된다면 이렇게 허투루 낭비하며 버려지는 일상을 살지는 않을 텐데. 좀더 신중하게 나를 바라보고 주변을 소중하게 담은다면 내 인생, 조금은 향기나지 않을까. 그런 믿음을 얻었다. 감성적인 언어로 쉬운 듯 하면서도 깊이 있는 시들이었지만 작가의 해설과 함께 읽어보니 오히려 친근하지만 더 깊게 마음에 와닿았다. 그러한 일상을 이런 언어로 쓸 수 있다는 건, 역시 시인의 언어는 다른가 보다. 나도 이렇게 쓸 수 있을까 질투해 본다.



우리가 모두 떠난 뒤
내 영혼이 당신 옆을 스치면
설마라도 봄 나뭇가지 흔드는
바람이라고 생각지는 마.

나 오늘 그대 알았던
땅 그림자 한 모서리에
꽃나무 하나 심어 놓으려니
그 나무 자라서 꽃 피우면
우리가 알아서 얻은 모든 괴로움이
꽃잎 되어서 날아가 버릴 거야.

꽃잎 되어서 날아가 버린다.
참을 수 없게 아득하고
헛된 일이지만
어쩌면 세상 모든 일을
지척의 자로만 재고 살 건가.
가끔 바람 부는 쪽으로 귀 기울이면
착한 당신, 피곤해져도 잊지 마,
아득하게 멀리서 오는 바람의 말을.


-바람의 말 / 마종기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