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베이징 컨스피러시 -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겨냥한 대 테러 전쟁
에이드리언 다게 지음, 정탄 옮김 / 끌림 / 2008년 6월
평점 :
절판
베이징 올림픽을 겨냥한 이슬람분리주의자들의 생화학테러 공격을 막기 위한 미국 CIA와 과학자들의 사투를 그린 어찌보면 관습적인 내용의 소설이다. 여느 할리우드의 미국만세 영화들과 별반 공식이 다를바 없는 전형적인 '미국은 우렁각시' 이야기다.
하지만 스릴러소설로서 '재미'는 보장할 수 있는 내용이다. 대척점에 서있는 악의 세력들이 있다. 그리고 이들 사이에 합리적이고 상식적으로 생각하는 정의의 세력이 있다. 결국 악의 세력들은 오만떨다가 자기들끼리 분열하고 정의의 세력은 서로 힘을 합해 으쌰으쌰 적들을 소탕한다. '빼어난' 외모를 자랑하는 남녀 주인공은 눈이 맞는다. 그쯤에서 농도짙은 베드씬 한번 붐붐해주시고.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그 '공식'있지 않은가. 거기에 책의 이야기를 대입하면 내용정리 끝!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알카에다와 탈레반, 아프가니스탄은 더 이상 낯선 단어가 아니다. 중동의 이권(利權)에 발을 깊게 담그고 있는 미국을 몰아내기 위해 이슬람분리주의자들은 '알라'의 이름으로 지하드(성전)를 벌인다. 미쿡식으로는 '테러'라고 부르는. 저들의 방식은 미국과 '티'나게 뜻을 같이 하는 나라들에 테러를 자행하는 것이다. 이 싸움은 끝이 없어 보인다. 그런 의미에서 <베이징 컨스피러시>에서 사예드 교수가 얘기하는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고 평화적으로 좋게좋게"같은 원론적인 얘기는 조금 공허하게 들린다. 현실은 이미 너무 멀리 왔다. 미국은 정권이 바뀌어도 중동에 대한 대외정책은 크게 바뀌지 않을 거라고 본다. 이란과 시리아같은 몇몇 나라들은 여전히 미국과의 관계에 냉랭하게 반응할 것이고 부시가 벌여놓은 일의 뒤치다꺼리를 다음 대통령은 반드시 해야할 것이다. 무기사업으로 해외에서 거액을 벌어들이는 미국의 군수산업체들에게는 반드시 세계의 '적'이 있어야 한다. 피 묻은 달러를 세면서도 능청스럽게 웃음짓는 나라가 바로 미국이다. 미국은 여전히 오만하고 독선적이고 일방적이다. 'UN' 머리 위에 엉덩이 깔고 호기롭게 앉아서 뭉개고 있는 게 미국이다.
그리고 새롭게 범지구적인 염려를 한 몸에 받고 있는 나라가 있다. 이번에 올림픽을 개최하는 귀한 몸 되신 '중국'이다. 유례없는 물가상승, 유가상승, 곡물값 상승, 환경 오염을 비롯한 지구온난화등 범지구적인 문제의 '핵심'으로 주목받고 있는 요즘이다. 돈 쓰는 재미를 알게 된 중국인들은 누가 쫓아오기라도 하는 듯 물쓰듯 돈을 쓰고 있다. 중국이 잘 먹고 잘 쓰고 잘 싸는 바람에 요즘 전세계는 휘청거리고 있다. <베이징 컨스피러시>는 최근에 중국이 안고 있는 인권문제에 대한 화두를 던진다. 많은 부분이 이슬람분리주의자들과의 테러전쟁에 할애하고 있어 내용이 깊이는 없지만 신선한 접근이었다. 이제 중국의 인권에 대해 말해야 한다. '현재'의 중국 땅에 있었던 모든 민족의 역사를 자기들 역사라고 떼쓰고 있는 '천상천하 중국띵오아~'식 똥배짱 똥고집에 태클을 마구마구 걸고 싶은 요즘이다.
사린가스를 도쿄지하철에서 터뜨린 오옴진리교같은 막장종교단체가 다시는 없으리라고 보장할 수 없다. 마드리드와 런던에서 대중교통을 겨냥했던 '폭탄'이 지구촌 어딘가에서 다시는 터질 일이 없을 거라고 말할 수 없다. 부시정권이 임기내내 읍소했던 테러와의 전쟁은 아직도 유효하다. <베이징 컨스피러시>는 민감한 생화학테러를 소재로 긴장감 있게 이야기를 그려낸다. 작가의 전작인 <오메가 스크롤>에 대한 평이 좋지 않아서 <베이징 컨스피러시>를 읽기 전에 큰 기대를 하지 않은 건 사실이지만, 꽤 현장감 있는 내용이었다. 중국이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할지는 미지수지만 오사마 빈 라덴과 그의 추종자들이 건재한 지금, 꼭 소설적 상상력에 지나지 않다라고 말할 수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