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기 때문에
기욤 뮈소 지음, 전미연 옮김 / 밝은세상 / 2007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프랑스 작가 기욤 뮈소의 <사랑하기 때문에>는 과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현재를 고통스럽게 살아가고 있는 세 인물들이 서로를 알게 되면서 상처를 치유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5년 전 딸 라일라가 실종되고 2년 전부터는 슬픔을 극복하지 못하고 거리를 떠돌게 된 정신과의사 마크와 엄청난 거액을 상속받았지만 스캔들과 사건이 끊이지 않는 셀러브리티 앨리슨, 그리고 억울한 엄마의 죽음을 복수하기 위해 라스베가스에서 뉴욕으로 온 십대소녀 에비, 이들 세사람은 LA에서 뉴욕으로 향하는 비행기편에 탑승하고 필연처럼 만나게 된다. 그리고 서로의 지난 이야기를 들어주면서 말동무가 되어주고 상처입은 서로를 위해 마음 쓰는 따뜻한 모습을 보여준다.


세명의 인물 외에 이 책에는 마크의 친구인 커너, 그리고 마크의 아내인 니콜이 등장한다. 다섯명의 현재와 과거 이야기를 통해 상처 입은 안타까운 인물들임을 보여준다. 우연히 같은 비행기를 타게 되고 그곳에서 우연처럼 서로의 존재를 인식하게 된 세 사람은 그동안 타인에게 닫혀있던 마음을 서로에게만은 열어준다. 그리고 결말에 가서는 예측하지 못했던 반전 장치를 통해 수수께끼처럼 진행되었던 이야기의 진실을 말한다. 이들이 보여주는 사람에 대한 용서와 이해, 그리고 죄책감과 같은 감정들은 민감하고 어려운 감정들이다.

결말에서 이야기의 진실과 반전을 알게 되면서 처음에는 멍했었다. 서로에게 그런 인연이 있었을 거라고는 전혀 예측하지 못했으며 이들의 상처를 치유해주기 위해 동원한 방법이 뜻밖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감동스러운 부분에서 느낀 의문점은 책에 대한 아쉬움을 남긴다. 사용된 장치에 드는 과학적 의문은 그렇다 치고 너무나 쉽게 풀려버린 인물들의 복잡하고 미묘했던 감정 중에 공감할 수 없는 부분들이 있었다. 서로가 서로의 이야기에 관련된 당사자가 아니었을 때와 당사자였음을 알게 됐을 때 느낄법한 복잡한 감정들을 이 소설은 반대로 표현한다. 오히려 그동안 인물들이 안고 있었던 죄책감과 실망감이 서로를 알게 되면서 서로에게 짧막한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풀릴 수 있는 문제들인지에 대해서는 개인적으로 공감하지 못했다.

이런 모든 이야기와 진실을 알게 된 후 보인 인물들의 말없는 반응들이 소설의 말미에서 암시하는 것처럼 용서와 이해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인지는 모르겠다. 반전에 대한 신선한 충격과 앞서 전개된 인물들의 드라마틱한 삶에 만족한다면 신선하고 재밌는 소설이 되겠지만 반대로 깊게 생각하면 이 이야기들이 상처와 고통, 그리고 용서를 담기에 넉넉한 이야기가 될 수 있을까하는 의문이 든다. 또 하나 언급하고 싶은 부분은 마크 못지않게 상처받았을 아내 니콜의 이야기다. 이들 세 사람의 감정치유를 위해 충격적인 진실을 먼저 알았던 니콜의 감정은 소설 말미에 해결사로 등장하면서 없는 감정이나 마찬가지인 듯 되어버린다. 그녀의 감정은 프리패스(?)란 말??

작가 기욤 뮈소의 작품은 이번에 처음 읽어봤는데 굉장히 쉬운 문체로 사랑에 대해 우화같은 착한 소설을 쓰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