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로운 삶 1,2]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자유로운 삶 1
하 진 지음, 왕은철 옮김 / 시공사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은 태어나자마자 수많은 관계에 연루된다. 선택한 적이 없는 성별로 태어나 이름을 부여받은 후 정해진 가정에서, 거주하는 장소를 중심으로 제한된 인간관계를 만들게 된다. 누군가에겐 손자와 손녀로, 딸과 아들로, 친구로, 연인이 되어 성장한다. 어쩌면 인간이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고 말하기 이전에 “태어날 때부터 정해진 환경의 틀 안에서” 라는 전제를 세워야 할 것이다.

       ‘국가’는 그 대표적인 예이다. 태어난 순간부터 자신은 국가의 한 일원인 국민으로서 소속감을 갖게 된다. 그것이 강요된 것인지 의구심을 품을 새도 없이 국민으로서 권리를 행사하며 (혹은 그렇게 믿으며) 국가 안에서 자연스레 스며들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에 반하여 자신이 국가를 선택하고자 시도하는 이들도 있다. 그들은 다양한 이유로 고국에서 벗어나 세계 곳곳의 낯선 풍경들과 가까워지고자 시도한다.

     

       그들 중에는 난 우처럼 고국에 대한 환멸과 자유에 대한 갈망으로부터 여행을 떠나온 이들이 있다. 주인공 난 우는 개인을 억압하는 고국인 중국을 떠나와 제1세대 이민자로 자유의 땅 미국에 정착한다. 여태껏 중국에서의 시간을 버리고 미국에서의 ‘자유로운 삶’을 꿈꾸며 살겠다는 다짐을 하지만, 그것이 자신에게 진정 자유의 길인지는 확신할 수 없다. ‘아메리칸 드림’이라는 단어가 주는 거창한 느낌과는 다르게, 미국에서 난 우가 아내와 자식과 꿈꾼 것은 아주 소박한 것이었다. 새로운 보금자리에서 정직한 노동을 통해 자신의 가족에 자리를 만들고 싶었던 것. 그러나 그 바람조차 쉽지 않다는 것을 깨닫자 난 우는 고된 노동을 하며 앞만 보고 달리게 된다. 이루지 못한 첫사랑에 대한 미련을 버리고, 시를 쓰고 싶다는 욕망을 억누르고 ‘여기-미래’라는 테두리 안에서 자신의 온 에너지를 쏟아 붓는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 대한 보상은 모래로 쌓은 성처럼, 여러 상황 속에서 너무나도 쉽게 무너지곤 하기 때문에 활자 속의 난 우는 불행하게만 느껴진다. 난 우는 미국의 생활이 안정되면 될수록 편안한 상태가 되는 것이 아니라 외려 불안한 모습을 내비친다. 자신이 꿈꾸던 '자유'가 진정 현재의 모습이 맞는지 뒤늦게 의구심이 들었기 때문이다. 난 우는 그제야 뒤를 돌아보고, 그곳에는 아직도 '시'가 존재하고 있음을 깨닫는다. 

 

      <자유로운 삶>은 한 중국인 가족이 이민자 1세대로 미국 생활에 정착하며 겪는 일들을 현실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 에피소드들이 허구인지 작가 하 진의 경험에서 채집된 것인지 알 수 없지만, 나는 허구적 인물인 주인공 난 우 또한, 진실이라고 생각한다.  난 우라는 개인을 통해서 하 진이 말하고자 했던 것, 난 우라는 독특한 인물의 특별한 생이 아니라, 세상의 '경계인'이자 '이방인'으로 살아가는 수많은 난 우들에 대한 이야기일 것이기 때문이다. 난 우에게 자유는, 작가 하 진에게 자유는 무엇일까? 그들이 추구해오고, 바랐던 자유는 '여기가 아닌 어딘가'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었을까? 그 물음에 대한 조심스러운 대답을, 타하르 벤 젤룬의 <자유를 생각한다> 안에 담긴 글과,  김훈이 쓴 추천사로 대신하고 싶다.

 

“그런데 우리는 가고 싶어하는 그 곳의 이름을 모를 때, 너무도 막연해서 윤곽조차 짐작할 수 없는 그곳을 가리킬 때 ‘자유’라고 부른다.”

 

 <자유를 생각한다> 타하르 벤 젤룬

 

 

      "이 잔혹하고도 치매한 전쟁 속에서 이 구절을 읽을 때, 나는 가슴이 터질 듯이 슬프고 답답하다. 이 구절은 도대체 무슨 말을 하고 있으며, 자유를 어떻게 규정하고 설명하고 있는 것인가. 이 구절은 ‘자유’라는 그 멀고 막연하고 또 절실한 환영에 대하여 사실상 아무 말도 하지 않고 있다. 이 슬프고 답답한 구절에 따르면 ‘자유’란 너무나도 막연해서 윤곽조차 짐작할 수 없는 ‘그곳’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그 짐작할 수 없는 곳을 향해서 기어이 가야 하며, 가지 않을 수 없는 열정과 긴장을 지닌 존재라는 것이다. 여기서 자유란 환장할 만한 기갈이며 결핍일 뿐이다. 인간은 그 기갈의 힘으로, 그 결핍의 힘으로, 자신에게 결핍된 것이 무엇인지를 아는 또다른 결핍의 고통으로, 보이지 않고 만져지지 않는 자유를 만질 수 있고 누릴 수 있는 자유로 전환시킬 수밖에 없는 존재란 말인가. 이 자유는 너무나도 잔혹한 시련이며, 견딜 수 없는 결핍이어서, 이 구절을 읽을 때 나는 그 자유를 차라리 버리고 싶다."

 

김훈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