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일고무벨트 방식 - 유기체처럼 움직이는 회사 만들기
DRB 지음 / 스리체어스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직면한 현실은 다차원입니다. 변화는 수직이나 수평의 축을 따라 일어나지 않습니다. 사방에서 동시에, 예측 불가능한 방식으로 일어납니다. 다차원을 감당할 수 없는 선형적 구조의 기존 패러다임을 해체할 때가 되었습니다. (p.80)

동일고무벨트,
한국의 고무 제품 제조 기업이다.
1945년 부산에서 시작해 2025년 창업 80주년.

이 책은 기업이 생존하기 위해
변화해온 방식을 이야기한다.

한참 사업계획 시즌이라 관심있게 읽었다.

예측이 불가능한 시대에,
여전히 사업계획을 꼼꼼히 보시는 분들.
불안을 잠재우고자 하는 것인지,
진짜로 무언가 대응할 수 있다고 믿는 것인지.

그런 와중에 이 책은 조직체계의 뿌리와 작동방식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Q. 기존 조직은 왜 새로운 세계와 충돌하는가?
A1. 1차원 트리 구조는 다차원 현실을 감당할 수 없다. (p.76)

이 책을 읽으며 명확해 진 점은,
지금 조직의 한계와 나아가야 할 방향.

AI까지 행위자로 나선 마당에,
정보, 권한, 목적이 부서단위로 단절된 조직은
절대로 유연하게 흐르지 않는다.

AI가 부서의 벽을 넘을 수 있을까.
기술이 아무리 발달한들,
조직의 토양이 받아들이기 힘들다면,
아무 소용없다는 것을 지금도 체감 중이다.

책에서는 ‘리좀(rhizome)’이라는 개념을 제시한다.
고구마 뿌리줄기처럼 중심없이 확산하는,
자유롭게 연결되는 네트워크 구조.

사일로 없는 이러한 조직이 가능한가,
그렇다면 얼마나 많은 것이 리셋되어야 하는가.

동일고무벨트는 시도하고 있다.
기존 조직을 전환하는데 10년의 시간을 설정해두고.

랩조직을 가동하면서 시행착오를 살피고 전환하기.
대기업보다는 빠르고 유연하게, 스타트업보다는 시간을 견뎌내면서.

정말로 이러한 조직이 구현 가능하다면,
배워야 하는게 아닌가.

어쨌든 지금의 조직 구조가 분명히 제약인 것은 누구나 알지만, 바꾸기는 몹시 어렵다.

그러나 어느 누군가는 시도해보고 있다.
그 점만으로도 배울 일이다.

Q. 왜 기업의 존재 방식을 다시 물어야 하나?
A1. ‘후기 노동 경제’는 단순한 기술 혁신이 아니다. 인간이 육체노동의 제약에서 벗어나는 문명의 전환이다. (p.60)

디스토피아적 상상이 현실이 된 시대,
조직에 대한 고민이 있다면 한번쯤 읽어보시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