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의에 대하여 - 무엇이 우리를 살아가게 하는가
문형배 지음 / 김영사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위에 불행한 사람이 있는 이상 내가 행복할 수 없다고 느낄 수는 없을까?
성공이 클수록 행복한 것이 아니라 욕망이 덜 생겨야 행복한 것은 아닐까?
내 재산이 많아야 행복한 것이 아니라 나로 인해 가난한 사람이 덜 생겨야 행복한 것은 아닐까?
큰 세상이 효율성과 같은 단일한 가치로 빌딩을 이루고 있는 반면, 작은 세상은 다양한 가치로 숲을 이룬다. 작은 세상을 추구하자. 그 속에 살고 있는 사람과 소통하자. 그리하여 따뜻한 세상이 만들어지고 먼 훗날 내가 그 작은 세상 속에서 위로받을지 누가 알겠는가? (p.90)

<손석희의 질문들>에 나온 문형배님을 보았다. 할말은 하고 하지 못할 말은 딱 그었다. 훈훈한 자리에서도 유연하게. 어쩌면 그가 살아온 모습이 그렇지 않을까 싶었다.

탄핵선고를 연습했다는, 주문이라는 것은 정면을 봐라바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그래서 내내 원고를 읽던 그가 마지막에 얼굴을 들고 주문한 것이다. 영상을 다시 보니, "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 이 문구에서 고개를 들고 말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인터뷰를 보고 난후, 이 시대의 어른을 이렇게 책으로도 만날 수 있어서 반가웠다.

1장은 일상, 2장은 독서, 3장은 사법부 게시판에 올렸던 글이 담겨있다.

“착한 사람부터 법을 알자”(p.20)는 대목.

사회에서 힘이 있고 돈이 있는 사람은 세금도 법도 너무 빠삭하게 잘 알고 있다. 그래서 어쩌면 유용하게 자기에게 도움이 되는 선에서 적절히 이용할 줄 안다.

다만 그렇지 못한 사람이 다수라는 것. 아마도 안타까운 마음이었나보다. 그래서 법을 아는 사람에게 착하기를 요구하는게 어려우니, 법을 알아야 한다고. 답답하신 마음에서 하셨겠지.

뒤에도 종종 이런 이야기가 나온다.

아마도 주변에 피해를 본 사람들의 사건을 접하면서 쓰셨겠지 싶다.

법을 아는 것도 상식을 넓히고 힘을 기르는 길이라는 생각으로 사전에 법을 제대로 알고 대처하는 것만이 넋두리를 줄이는 방법입니다.특히 착한 사람들은… (p.53)

제일 기억에 남는 말은 역시 김장하 선생님 이야기다.

제목에 ‘호의’라는 말이 들어간 것도 어쩌면 그러한 이유 아닐까.

김장하 선생님이 주신 장학금으로 공부를 했기에, 문형배 재판관님은 그 은혜를 고마워했다. 그래서 식사를 대접하겠다고 했는데도 공직자가 사는 밥을 먹을 수 없다고 거절하시고. 결국 몇번의 거절 끝에 승낙을 했지만, 그 마저도 7천원짜리 해물탕 한 그릇을 대접했다고.

이런 선순환이 쌓여서 지금의 우리 사회가 있는게 아닐까. 앞으로도 우리가 그러한 선순환을 만들어야 한다는, 그런 생각이 들었다.

“선생님이 아니었더라면 오늘의 제가 없었을지도 모릅니다. 감사드립니다”라고 말씀드렸더니 선생님의 대답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내가 아니었어도 자네는 오늘의 자네가 되었을 것이다. 만일 내가 자네를 도운 게 있다면 나에게 감사할 필요는 없다. 나는 사회에서 얻은 것을 사회에 돌려주었을 뿐이니 자네는 내가 아니라 이 사회에 감사해야 한다.” (p.86)

독서일기도 짧았지만 좋았다.

어렸을 때 못 읽었던 책을, 어른이 되어 더 많이 읽었다고 어디선가 본 것 같은데.

일하면서 많은 텍스트를 읽고 쓰는데, 그와 동시에 책을 열심히 읽고 기록한 흔적을 보면,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이해를 더 넓히고자 하는 마음 아니었을까 싶다.

그와 동시에 문유석 판사님도 생각났다. <쾌락독서>를 시작으로 여러 책을 내시고, 이제는 각본까지 쓰시는 분. (<미스 함무라비>도 좋았는데, 11월에 <프로보노> 드라마도 나온다!)

이런 분들이 사적으로 남긴 글을 보면 겸손함을 배우게 된다.
그리고 함께 살아가는 사회를 생각하게 된다.

배려와 호의가 연결되어 살만한 세상이 되기를.

만족을 얻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욕망을 줄이는 방법과 욕망을 충족하는 기회를 늘리는 방법이다. 전자는 안정적이나 현실에 취약하다. 후자는 강하나 불안하다. 인생은 어쩌면 전자와 후자 사이를 헤매는 건지도 모른다. (p.297,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를 읽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