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돈 말고 무엇을 갖고 있는가 - 세상의 잣대에 휘둘리지 않는 나라는 세계를 만드는 법
정지우 지음 / 마름모 / 2024년 8월
평점 :
📚 선택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선택지들이 그냥 열린 문으로만 내 앞에 있는 상태에서는, 그 문 안에 무엇이 있는지 결코 알 수 없다. 그러니 삶의 가치를 알고자 하면, 무엇이든 선택을 해야 한다. 그리고 끈질기게 시간을 투여해야 한다. (p.41)
무엇이든 일단 해봐야 하는 이유.
경험해보지 않으면 모른다는 말,
나 역시 늘 그렇게 선택해왔다.
일단 해보고 후회하자고.
나의 선택은 늘 새로운 곳으로 향했고,
늘 어려운 길을 택했다.
그런데 작가님이 그에 대하 타당한 말씀을 하시는게 아닌가.
뭔가 작가님이랑 통한 느낌이라 좋았다. ㅎㅎ
📚 애초에 그 무언가를 그토록 간절히 원했던 이유도, 생각해보면 그렇게 '정확한' 욕망이 아닌 경우가 많았다. 혹은 어떤 목표가 있다 하더라도 그 목표에 막상 도달하고 나면, 그 이전에 꿈꾸고 상상하던 것과는 전혀 다른 경우가 대부분이기도 했다. (p.61)
시대가 아무리 흘러도,
나이를 어느 정도 먹어도,
'정확한' 욕망은 여전히 모르겠다.
이 또한 일단 해봐야 하는 이유다.
때로는 정확한 욕망보다
그냥 해보고 싶은 직감이 더 컸다.
가보지 않은 선택에 확신을 누가 갖느냐고,
일단 해보고 아니면 접으면 될 것을.
머리 싸매고 그 고민을 할 바에는,
일단 해보면 안다.
내가 원하는 것인지 아닌지.
또 새롭게 원하게 되는 것인지 아닌지.
📚 즉 우리는 나의 시간을 써서 돈이 아닌 무엇을 쌓아왔는지, 또 쌓을 것인지를 고민해야한다. 그 무언가가 오히려 더 큰 돈을 벌어줄 수도 있다. 그러나 돈에만 목을 매게 되면 말 그대로 돈 말고는 아무것도 남지 않는 삶이 되는 셈이고, 돈마저 없어지면 삶을 증명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게 된다. 그러나 내가 시간으로 쌓은 어떤 기술이나 취향, 능력, 태도, 지식 등은 돈이 없어져도 남는다. (p.142)
직장인은 시간을 써서 돈을 버는데,
그 시간이 나를 위한 유효한 시간이면 좋겠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은 것 같다.
오히려
틈틈히 운동을 하고 책을 읽는 것이
돈을 버는 일은 아니지만,
그렇게 쌓이는 나만의 시간이
더 유효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지속하는 힘이 되는지도.
🌿
이 책은 '좋은 삶'을 사는 여정에 관한 이야기다.
열심히 살아보자는 동기부여보다는
정지우식 사고방식에 따른
좋은 삶은 무엇일까에 관한 이야기다.
그는 이야기한다.
수많은 자기계발서는 '삶의 불균형'을 유도한다고.
좁은 성공을 위해, 무언가를 얻기 위해,
대체로 '가족의 돌봄'은 전혀 포함되어 있지않다고.
삶을 사랑하는 기술과 균형,
그것이 가장 필요하다고.
개인의 삶에 집중하면
'가족'이 테두리 바깥으로 밀려나기도 한다.
그래서 마음과 시간을 다 해야 한다.
자신뿐 아니라 주변에도.
🌿
사람들은 말한다.
설명가능한 AI기술이 개발되어,
결과값에 대해 AI가 충분히 설명할 줄 알아야 한다고.
그래야 믿고 신뢰할 수 있다고.
정작 인간은 설명 불가능한 선택을 수도 없이 하고,
그 결과에는 자기 나름의 해석을 붙이면서.
좋은 삶이란 그런 것이라 생각한다.
자기만의 관점으로 자기 삶을 이야기할 줄 알 것.
설명가능한 AI에게 바라는 것이,
어쩌면 우리 자신에게 바라는 것인지 모르겠다.
이 책을 읽다보면,
글쓰기를 해야겠다는 생각으로 귀결된다.
묘하게 글쓰기를 설득하는 책. 😁
📚 그래서 나는 누구나 자기만의 관점을 가지고 삶을 살아가는 사람은 자기만의 언어를 가진다고 믿는다. 자기만의 삶을 사는 사람들은 자기 삶을 '이야기'할 수 있다. 우리는 결국 스스로의 롤 모델이 되어야 한다. 즉 스스로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하고, 스스로의 언어를 지닐 수 있어야 한다. 우리는 자기 자신을 설득하며 자기의 길을 걸어나간다. 그 힘은 언어에 있다. (p.139)
정지우님 책을 좋아한다면,
이 책도 분명 좋아할 것이다.
시원한 그의 설명과 나의 뜻이 맞을 땐,
더없이 기뻐지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