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 아이 꿈꾸는돌 36
이희영 지음 / 돌베개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염장된 음식처럼, 소문은 오래 갔다. 섬에 살고 있는 이수와 할머니. 소문보다 그의 마음이 궁금했다. 괜찮은 척 보였지만 그렇지 않았기에. 자신만의 섬에 살고 있는 아이, 책을 읽는 내내 안쓰러웠다.


가족의 보살핌을 받지 못한 이수와 세아. 마음을 함부로 드러내지 않던 아이가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 서로의 마음이 닿는 순간 묵직했던 마음이 스르르 놓였다. 사회는 이들을 애써 모른 척 했지만, 이들은 서로를 모른 척하지 않았다.

때로는 모른 척 하지 않고, 손을 내밀어야 한다. 때로는 상대의 용기만큼, 나 역시 나만의 견고한 성을 무너뜨리고 나와야 한다. 그렇게 살아가는 것이라고, 이수와 세아가 말해주는 것 같았다.
 

이수는 소문이 말하는 그날의 기억을 잊어버렸지만, 할머니가 치매에 걸리면서 기억을 떠올렸다. 자신만의 섬에서 빠져나온걸까, 아니면 더 깊숙이 들어가버리게 될까.  




한 구절 한 구절 꾹꾹 눌러담은 것 같은 문장을 많이 발견했다. 이희영 작가님 소설은 늘 그랬다. <페인트>, <챌린지 블루> 모두.  

<소금아이>는 우리 주변에도 있을 것 같다. 저마다의 사연은 몰라도, 자기만의 섬에서 나올 수 있도록 누군가는 손을 내밀고, 누군가는 옆을 지켜주는 세상. 그런 세상이 되었으면 한다.

잘 읽었습니다. 이희영 작가님 최고에요!

소금에 절여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는 건, 비단 젓갈뿐만이 아니었다. 사람들의 소문도 마찬가지였다. 삭힌 젓갈처럼 그저 익어 갈 뿐이었다. 절대 사라지지 않았다. - P17

넝쿨처럼 이리저리 얽히고설켜 사는 게 인간이라 생각했다. 그런데 어쩌면 사람들은 저마다의 섬에서 사는지도 몰랐다. 누군가 배를 타거나, 헤엄쳐서 가보지 않으면 결코 그 속을 알 수 없는 섬들...... - P146

이수는 문득 인간을 떠올렸다. 한 사람이 얼마나 많은 이들을 아프게 하고, 다른 한 사람이 얼마나 많은 이들을 도울 수 있는지를...... - P192

쓸데없는 얘기일 리가. 누군가에게 한번쯤은 털어놓고 싶었겠지. 파도가 섬 귀퉁이를 깎아 내도, 모래가 되어 바닷속으로 가라앉을 뿐이다. 영원히 사라지지 않는다. 인간의 마음도 같지 않을까. 서서히 부서져 내릴 뿐 기억에서 완전히 지워지지 않는다. 미풍에도 잔잔한 바다가 깨어나듯, 인간의 마음속에 침잠한 것들은 조금만 건드려도 쉽게 부유한다. 애써 외면했던 기억과 상처를 아프게 불러들인다. - P183

인간에게 받은 상처가 가장 아프고, 인간에게서 받은 위로가 가장 따뜻하다. 누군가의 한마디가 칼날이 되는가 하면, 누군가의 손길은 생명이 된다. 소름 끼치는 악행을 저지르는 것도 인간이요, 숭고한 희생을 감당하는 존재도 인간이다. - P2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