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의 문장 - 작고 말캉한 손을 잡자 내 마음이 단단해졌다
정혜영 지음 / 흐름출판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브런치북 대상 수상작에 걸맞게 글은 술술 읽혔다. 초등학교 교사인 정혜영 작가는 어린이의 문장을 허투루 대하지 않았고, 애정이 듬뿍 담긴 그 마음을 이 책에 고스란히 담았다. 



_ 동식물과 함께한다는 것은 의사소통이 어려운 다른 생명체의 삶을 돌보아야 하는, 결코 쉽지 않은 일이다. 그것들의 안부를 들여다보고 걱정과 연민의 마음을 갖는 것이 갓난아기를 대하는 엄마의 마음과 무엇이 다를까. (중략) 어리고 미숙한 존재를 돌보는 행위가 결국 돌보는 자를 성장시킨다. (p.114) 


"엄마, 물고기는 언제 결혼하는지 알아? 내 생각에는 암컷과 수컷이 얼굴을 딱 마주치면 사랑에 빠져서 결혼하는 거 같아. 그러면 아기가 생길거야." 

최근 어항을 들이고나서 일이다. 물고기가 언제 결혼하는지 생각해본 적이 없는 나로서는, 아이의 순진무구한 질문에 미소가 지어졌다. 



아이들의 이런 생각이 말로 또는 문장으로 표현될 때, 어른은 행복해지기도, 위로받기도 한다. 고된 하루를 마무리하는 저녁이면 더더욱. 



이 책에 담긴 어린이의 문장은, 내가 잊었던 마음을 보여주는 것 같아 좋았다. 그리고 이슬아 작가의 <부지런한 사랑>과 김소영 작가의 <어린이라는 세계>, 두 책이 떠올랐다.


_ 어린이를 만드는 건 어린이 자신이다. 그리고 '자신'안에는 즐거운 추억과 성취 뿐 아니라 상처와 흉터도 들어간다. (p. 91, <어린이라는 세계>) 


우리도 한 때는 머물렀던 마음과 생각을 이 책을 통해 다시 느낄 수 있어서 행복했다. 어린이가 바라보는 세상을 함께 볼 수 있게 해주는 책, 힐링이 되는 책이다. 


세상에 어린이가 아니었던 어른은 없다. 어른이 어린이의 마음을 만난다는 것은 각자의 어린 시절과 조우하는 일이며, 좀처럼 마음에 들지 않는 오늘의 모습을 보듬는 일일지도 모른다. - P10

어른의 세계가 흔들릴 때 어린이는 자신의 세계도 위태로워질 수 있음을 본능적으로 아는 것이다. 어른들의 세계가 안전하다면 아이들은 다른 걱정 없이, 마음놓고 자신의 세계에 몰두할 수 있게 된다. 그러니 어른들은 느리고 서투르다고, 제 방향을 못 찾고 헤맨다며 아이들을 걱정할 일이 아니라 아이들이 어른을 걱정하지 않도록 먼저 단단해져야 한다. 겉껍질이 단단하게 자기 역할을 다하고 있다면 꽃눈은 언제나 그렇듯 제때에 발아하기 마련이다. - P157

"가장 부유한 삶은 이야기가 있는 삶"이라던 이어령 선생의 말씀처럼, 다른 사람이 가진 똑같은 모양의 행복을 좇지 말고 자기만의 독특한 이야기를 단단히 쌓아가길 바란다. - P2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