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뿐하게 아니라고 말하는 법 - 싫다고 말하지 못하는 좋은 사람들에게
바바라 베르크한 지음, 장윤경 옮김 / 흐름출판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제목이 안 쓰여져있는 책 표지가 있었던가, 손가락 이미지로 대신했다. 

독일 작가가 말하는 "가뿐하게 아니라고 말하는 법", 부제는 '싫다고 말하지 못하는 좋은 사람들에게' 이 책을 받자마자 한 생각은, 일단 내가 그 부제에 들어맞지 않는 사람이라는 점이었다. 


_  바쁘게 돌아가는 세상에서 우리 모두에게 절실하게 필요한 단어가 하나 있다. 바로 아니라는 말이다. '아니'라는 말은 단순한 거절 그 이상이다. 이를테면 경계선을 긋는/경계를 짓는 일이다. 경계선 긋기는 우리를 둘러싼 세상에서 늘 일어난다. 자신의 영역에 무엇을 들여보내고 무엇을 영역 밖에 둘지 우리는 매 순간 결정을 내린다. (p.11, 머리말)


책 소개를 해보면, 1장에서는 나의 삶은 오롯이 나 자신의 것이며, 사람들의 말에 휘둘리지 말라고 조언한다. 2장은 내면의 내가 나에게 하는 목소리와 잘 싸울 것을, 3장에서는 '아니'라고 말할 수 있는 연습노트와 전략을 이야기한다.  



사실 '아니'라고 말하지 못하는 사람은 우리 가까이에 아주 많다. 특히 회사에서 직급이 올라갈수록. '아니'라고 말하던 사람조차 말을 못하게 되거나. 아니면 '아니'라고 말하는 사람은 위로 못 올라가는 걸지도 모른다. (하아. 이거 내 이야기 아닌가.)



그래서 이 책을 읽으면서 그런 사람들 말고, 일상을 생각했다. 일상에서 '아니'라고 말 못하는 사람들, 전화가 오면 다 받아주고, 쇼핑할 때도 직원들의 추천을 마다하지 못하고, 그런 사람들. 삶의 즐거움을 누리려면, 아니라고 말을 해야 한다고, 자신에게 부담을 지우거나 불편할 때는 말해야한다고 조언한다.  



내가 가진 자원이 몇 안되지만, 이 조차 탐내는 사람들이 있지 않은가. 그럴 때 진지하게 '아니'라고 해보자. 그러면 상대방의 눈빛은 말해줄 것이다. 나에게 무엇을 기대했는지, 그리고 내가 아니라고 말함으로 인해 나를 어떻게 바라보는지


이 책은 무조건 '아니'라고 말하는 것 외에도, '그래'를 함께 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아니와 그래가 공존하는 것.



그래 또는 아니, 이 모든 삶의 결정 역시 '삶의 즐거움'을 위한 것이다. 나만의 경계선을 잘 만들어 지키는 일, 요즘 세상에서는 특히 필요한 일이다. 그 경계선을 스스로 잘 아는 것부터가 시작인 것 같다. 그래야 네, 아니오 대답도 잘 할 수 있지 않을까. 


경계가 없다면 사람들은 우리에게 무언가를 계속 더 원한다. 우리는 날마다 우리를 향한 타인의 기대와 마주한다. 주변의 동료나 이웃은 자신의 문제와 요구 사항을 우리 앞에 내놓고 우리가 여기에 매달려주기를 기대한다. - P17

아니라는 말로 당신은 다른 사람들을 실망시킬 수 있다. 어쩌면 주변 사람들은 당신에게 특정한 호의를 제공받는 것에 익숙해졌을지 모른다. 여태까지 당신은 거절하지 못하고 늘 수용적인 태도를 보이며 당신이 무엇을 허용하고 내줄 수 있는지를 주변에 무엇으로 드러냈다. - P141

우리는 왜 아니라고 말하는가? 우리는 왜 경계선을 긋는가? 우리는 자신에게 부담을 지우는 것, 자신을 괴롭게 하는 것들을 막아내거나 없애기 위해서 ‘아니‘라고 말한다. 부담이 되는 것을 막거나 없애면 우리가 얻는 이익은 무엇일까? 우리는 인생의 본질에 더욱 가까이 다가가게 된다. 즉, 삶의 즐거움을 더욱 많이 누리게 된다. - P19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