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처받은 인간다움에게
박정은 지음 / 한빛비즈 / 2022년 11월
평점 :
_ 나는 어쩌면 내일도 누군가와의 만남을 통해 바쁜 일상에서 잃어버렸던 인간성 한 조각을 다시 줍게 될 지도 모른다. 이 책을 만난 당신 또한 내면의 퍼즐을 맞추었기를, 당신 영혼에 깊이 숨겨진 가장 아름다운 인간성, 그 사람다움의 자취를 찾았기를 소망한다. (p.296, 맺는말)
저자는 수녀이자 미국 홀리네임즈대학의 영성학 교수로 신비주의, 중세 문화, 여성의 눈으로 성서 읽기 등의 과목을 가르친다. 이 책은 팬데믹을 겪고난 이후 위로의 말과 함께 인간다움에 대해 생각해보게 하는 책이다.
_ 이 줌의 세상이 분명하게 우리에게 가르쳐주는 불편한 진실은 타인은 내가 보는 방식으로 보지 않는다는 점이다.(중략) 그런데 나는 학생들이 내가 보는 방식대로 보고 느낀다고 착각했고, 또 착각하고 싶었지만, 학생들은 스스로 '뷰'를 선택했다. (p.20)
저자는 코로나로 인해 줌수업을 시작하게 된다. 그런데 그녀가 줌수업으로 알게 된 것은, 학생들마다 각자 선호하는 방식으로 줌수업을 듣는다는 것이다. 어쩌면 당연하다. 오프라인과 같을 수 없다. 그러나 오히려 더 많은 사람과 만날 수 있고, 연대하는 다른 방법이 되기도 한다.
줌 수업을 통해 다름을 인정하고 연대하는 것도 필요하다는 것, 개인뿐 아니라 회사 역시 이러한 사고를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회사는 여전히 일하는 시간 및 장소를 통제하려고 하는데, 그것이 과연 지금 시대에도 맞는 것인지 의문이다. 이런 사고에 유연한 사고조차 회사의 경쟁력이 되는 시대, 개인이나 조직 모두 생각해볼 일이다.
_ 인간의 소통 본능으로 줌이라는 온라인 소통 채널은 점차 발전할 것이다. 이런 네트워크에서 꼭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줌을 통해 보는 것은 나의 고유한 방식이나 프레임이라는 것, 그래서 다른 사람은 또 그 사람 나름의 시각으로 세상을이해하고 상황을 본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일이다. (p.37)
일상에서 자기 시간을 갖는 것, 그리고 자기 정체성을 갖는 것도 굉장히 중요하다. 자기 시간을 가짐으로써 일상에서 여유를 찾을 수 있고, 이는 마음의 여유와 함께 일상에서도 활기를 찾을 수 있다. 삶의 질과도 연관되며, 행복과도 연관된다. 그리고 나를 찾을 때 비로소 남에게도 잘 할 수 있다.
_ 직장을 다니며 자녀를 키우는 바쁜 엄마일수록, 이기적일만큼 자기를 돌보는 시간을 찾아 차를 마시며, 손가락 사이로 빠져나가는 일상을 손안에 쥐어보아야 한다. (p.54)
12가지 주제에 대해 소소하게 이야기하는 저자의 글은 편안했다. 마치 잔잔한 음악이 들리는 것처럼. 소소한 일상이 주는 즐거움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며, 코로나로 인해 변화한 것이 많았지만, 우정, 사랑과 같은 연대는 오히려 더 필요하다는 것도.
다만 '상처받은 인간다움에게'라는 제목은 조금 아쉽다. 인문학을 가르치는 그녀의 편안한 가르침이 이 제목과 어울리는지 갸우뚱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소한 일상에서 그녀의 질문은 의미있고, '우리'가 가져야할 공동체 정신을 생각하게 하는 글은 좋았다.
지금의 나는 일상을 비범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을 시인이라고 부른다. 사회적 시인은 일상에서 고통받는 다른 인간에게 인사할 줄 아는 사람이라서, 언어의 연금술사가 되지 않아도 된다. 그저 인간이 인간에게 예의를 갖출 줄 알고, 나의 일상을 충만하게 느끼고 지구의 모든 이들이, 서로 느끼는 결은 다르더라도, 저마다의 충만한 일상을 살아가기를 바라고 소망해야 한다. 우리는 비범한 일상에서 사람냄새 나는 시를 노래해야 한다. 조금은 낮은 마음으로. - P5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