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과학이 사랑에 대해 말해줄 수 있는 모든 것 - 진화인류학자, 사랑의 스펙트럼을 탐구하다
애나 마친 지음, 제효영 옮김 / 어크로스 / 2022년 11월
평점 :
이 책은 사랑의 다양한 스펙트럼에 대해 진화인류학자가 연구하고 쓴 책이다. 사랑은 주관적이기에, 사랑은 무엇인가에 대해 딱 떨어지는 답을 내놓을 수는 없다. 다만 내가 이해하지 못했던 사랑의 현상들에 대해, 그럴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한다.
친구가 연인보다 편한 이유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가 생각난다. 그 책이 100만부 이상 팔린 지금도 리커버판이 나오는 유명한 베스트셀러가 된 데에는 이유가 있을거다. 동성인 베스트프렌드와 온갖 대화를 나누면 스트레스가 풀린다. 연인이든 남편과 나누는 대화는 그 느낌이 다르다. 괜히 그런게 아니다.
사랑을 하면 눈이 먼다.
뇌활성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자기공명영상(fMRI) 장비를 활용해서 뇌 활성을 측정해보니, 사랑에 빠지면 그 관계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상대의 의도를 정확히 이해하는 능력이 떨어진다고 한다. 그런 이유로 부모도, 친구도 위험한 사랑 또는 말도 안되는 사랑을 말릴 수 없다. 사랑을 하면 눈이 먼다는 것은 빈말이 아니었다.
다자간의 연애에 부정적인 이유
오후 작가의 <가장 사적인 연애사>를 읽다보면 '내 연인의 또 다른 연인'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작가는 그녀가 바람을 피운다고 확신했고 화가 나서 따져 물었더니, 그녀는 당당하게 말했다. "미안. 하지만 네가 다른 사람을 만나지 말라고 한 적은 없잖아." 와, 이게 어느 나라 이야기야 했던게 생각났다. 그런데 참 신기하게도 작가님은 쓰리섬의 경험까지 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그녀가 그를 만날 때 그 어떤 여자친구보다 충실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 책의 말처럼 일반적으로 우리는 사랑은 유한하고 연애는 제로섬 게임이라고 보기 때문에 나 말고 동시에 다른 사람과의 연애는 바람이며, 다자간의 연애는 옳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 아닐까. 다자간의 연애를 경험해본적도 주위에서 본적도 없지만, 이 책에는 그에 대한 이야기까지도 심도있게 다루고 있어 흥미로웠다.
사랑은 생존의 필수요소라고 저자는 말한다. 이 세상 모든 사랑은 다 존중받아야 마땅하다. 그러나 다자간의 연애가 때로는 이해되지 않으며, 신에 대한 사랑으로 전쟁을 하는 등 때로는 대체 왜 그런걸까 싶은 일들에 대해 이 책에서는 다양한 근거를 대며 설명하려 한다. 사랑은 감정인데 어떻게 설명가능한가 싶은데, 사랑은 또 감정은 아니란다... 참, 어렵다 어려워. 사랑.
인간의 모든 협력 관계를 통틀어 서로 다른 성별 간의 협력은 종류가 다른 화폐가 오가는 거래인 데다 상대의 마음을 읽는 정신화 기능이 요구되는데, 그러려면 나와는 전혀 다른 식으로 기능하는 상대의 뇌에서 나온 생각을 읽어야 한다. 절친한 친구, 특히 동성인 친구와는 이런 긴장이 조성되지 않으므로 아주 편안하게 대할 수 있고 자신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드러낼 수 있다. - P64
친구 사진을 볼 때와 달리 연인의 사진을 볼 때 ‘비활성‘되는 뇌 영역도 있다는 점이다. 활성이 사라진 영역은 두려움과 위기 탐지 기능을 담당하는 편도체, 그리고 1장에서 설명한 상대의 의도를 파악하거나 예측하는 능력인 정신화 기능을 담당하는 내측 전전두피질이었다. 사랑을 하면 눈이 먼다는 말이 근거 없는 소리가 아니라 사실임이 밝혀진 충격적인 결과였다. - P67
사람들이 연애를 제로섬 게임으로 보는 이유가 무엇일까? 이를 확인하기 위해 추가 연구를 실시한 결과, 이 같은 판단이 연인의 사랑은 한 사람만 차지할 자격이 있다는 생각과 사랑은 유한하기 때무네 단 한 사람만 온 마음으로 사랑할 수 있는 희소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확인됐다. 사회적 조건화(자격)와 진화(희소성)가 결합된 결과인 셈이다. - P239
사랑은 감정이 아니라 굶주림, 갈증, 피로와 더 비슷하다. 즉 생존에 반드시 필요한 자원을 찾게 하는 동기 또는 의욕이다. - P3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