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라이프 인사이드 - 감옥 안에서 열린 아주 특별한 철학 수업
앤디 웨스트 지음, 박설영 옮김 / 어크로스 / 2022년 11월
평점 :
감옥에서 재소자들을 대상으로 철학수업을 한다...작가는 어떤 사람일까 궁금했다. 그 역시 사연이 많은 것 같았다. 그의 아버지, 삼촌, 형 모두 감옥에서 오랫동안 수감생활을 했다고 하니... 그 또한 자신이 그런 삶을 살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 자기 자신을 늘 통제했던 것 같다.
그가 철학수업을 하는 모습보다 나는 그가 스스로 임명한 사형집행인과 분투하는 모습이 인상깊었다. 대물림된 죄의식과 좋은 사람이 되고 싶은 바램 사이에 내가 좋은 사람인지 나쁜 사람인지 가늠하는 그.
그런 이유로 그는 철학을 공부하게 된 것 같다. 아마도 그가 철학을 공부하고 가르치는 것은 그 자신을 위함이기도 할 것이라는 생각에 이르렀다.
대물림된 죄의식, 수치심, 그가 늘 머릿속에 생각하고 있는게 아닐까 싶었다. 재소자들과 대화하면서 그 역시 생각하지 않을까 싶은 것들...
_ 정말이지 아빠를 구원하고 싶지 않다. 나는 나를 구원하고 싶다. 내가 아빠의 악함을 물려받지 않도록 그를 덜 나쁜 사람으로 만들고 싶다. 하지만 그사이에 나는 대물림된 죄의식의 논리에 갇혀버렸다. 아빠가 나쁘면 나도 나쁘다. 내가 괜찮은 사람이라고 생각하려면 아빠도 괜찮은 사람이어야 한다. 그를 내게서 분리할 수 없다. (p.209)
_ 아빠를 잊고 싶지만 내 상상력이 허락하지 않는다. 하지만 그게 바로 수치심, 즉 잊지 못하게 하는 힘이다. 수치심은 가장 끈질긴 기억이다. (중략) 내게 현재를 산다는 것은 나 자신을 감옥 밖으로 나오게 하는 것을, 대물림된 죄의식을 떨쳐내는 것을 의미한다. (p.220)
철학수업의 주제는 흥미로웠다. 한번쯤 생각해봤던 혹은 그럴만한 이야기들이다.
- 사람의 본성은 바뀌지 않을까요?
- 기억을 잃는다고 해도 나는 여전히 같은 사람일까요?
- 타인의 고통 앞에서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 사람은 시간이 지나도 여전히 같은 사람일까요?
- 우리의 인생이 정해져 있다고 생각하세요?
그리고 재소자들의 말에 때로 생각하게 된다.
_ 웨슬리가 말한다. "여하튼 그 어떤 인간도 진짜로 바뀌지는 않아요. 남들이 내가 변했다고 생각하게 만들 수는 있지만 그건 진짜 변하는 것과 달라요. 나만 해도 감방에 처음 왔을 때는 일부러 평소보다 훨씬 못되게 행동해요. 당국에선 내 파일에 그걸 전부 적죠. 그러다 한두 달 후에 그냥 나처럼 행동하는 거예요. 당국이 그것도 내 파일에 적어요. 형이 끝날 무렵 내 파일을 읽으면 갱생한 것처럼 보이죠. 하지만 나는 여전히 똑같이 나쁜 놈이에요." (p.179)
_ 맨디가 말한다. "수치심은 대물림돼요. 가족을 통해 자식에게로 전해지죠. 아이들은 수치심을 느끼지만 자신이 뭘 잘못했는지 몰라요."(p.286)
_ "변화를 창조할 힘을 주는 분노가 있고, 덪에 걸린 듯한 무력한 기분을 느끼게 하는 분노가 있죠." 자말이 말한다. (p.289)
어쩌면 철학 수업은 일상을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가장 필요한게 아닐까 싶었다. 이렇게 대화를 나누다보면 스트레스를 좀 더 누그러뜨릴 수 있지 않을까. 이런 대화를 나누는 것이 자기 자신을 돌보는데 좋지 않을까. 번아웃, 공황장애 등의 질병을 빗겨갈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을 하면서.
누구나 생각해볼 수 있는 평범한 주제에 철학 이야기 한스푼, 재소자들의 이야기 한스푼, 작가 자신의 이야기 한스푼이 어우러진 흥미로운 책이다.
감옥에서는 폭력적인 아버지에세서 독성을 흡입하고 자신도 폭력적인 어른으로 성장한 소년들의 이야기를 수없이 들을 수 있었다. 나도 아빠 곁에 있을 땐 항상 숨을 참고 있는 것 같았다. 악순환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 나는 무의식적으로 나를 감시할 사형집행인을 임명했다. 덕분에 감옥에 가지는 않았지만 자유를 얻지도 못했다. - P201
철학자들은 미묘한 차이가 표준이 되고, 대화가 계속 이어지고, 정신이 기지개를 켤 수 있는 엄격한 흑백논리 너머에 사는 것처럼 보였다. 철학을 계속하면 비난받지 않을 수도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 P228
아침이 오면 나는 머릿속 사형집행인과 함께 눈을 떴다. 그를 머릿속에서 완전히 추방할 수는 없었지만 마음속에서 다른 섬으로 가는 다리를 건너, 그와 다른 곳에 머무를 수 있게 되었다. - P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