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사랑에 빠질 수밖에 없는 이유 - 낭만과 상실, 관계의 본질을 향한 신경과학자의 여정
스테파니 카치오포 지음, 김희정 외 옮김 / 생각의힘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와... 이 책 뭐지. 단순히 뇌과학에 관한 책인줄 알았는데, 신경과학자가 쓴 사랑에 관한 자전적 에세이다. 너무너무 강력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사랑을 연구하는 스테파니와 외로움을 연구하는 존. 스테파니는 단 한번의 연애도 해보지 않았지만, 존을 학회에서 처음 보고 운명적인 사랑의 힘에 이끌린다. 존은 2번의 결혼에 실패해서 더 이상 누군가를 아프게 하고 싶지 않다고 생각했지만, 스테파니에 이끌린다. 


37세와 60세의 나이 차에도 불구하고, 장거리 연애에도 불구하고, 바쁜 연구 일정에도 불구하고 사랑을 이어나간다. 그러던 어느 날, 존은 문자를 보낸다. 
'오늘 일 끝나고 결혼식 올리는 거 어때요?'
"좋아요!"
그렇게 둘은 파리의 한 공원에서 혼인 서약을 한다.

이후 시카고의 같은 대학에서 부부 공동 연구실을 쓰면서 일상을 공유한다. 그런데 행복하기만 한 일상이 흔들린다. 존이 암에 걸려서 결국 슬픈 이별을 맞이하게 된다. 정말 그녀의 고통이 얼마나 극심했는지 느껴졌다.


살 가망성이 극히 희박함에도 불구하고 아픈 치료를 받아가며 치유되는 존의 모습을 보면서 사랑의 위대한 힘이 느껴졌다. 그렇게 이별한 후 그녀는 생존했던 시절 존의 강연을 찾아보고, 그의 기억을 더듬다가 결국 스스로 우울증의 수렁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사랑에 관한 흥미로운 연구를 그녀의 자전적 에세이에 많이 녹여서 썼다. 너무 매력적인 책이다. 다 담을 수는 없지만 몇가지 공유하면 다음과 같다.
- 자신과 닮은 사람에게 끌리는 이유
- 플라토닉 사랑이 진짜 가능할까? 
- 첫눈에 반한다는 이야기처럼, 사랑하는 관계에서 눈을 마주치는 것은 중요하다.
- 장거래 연애 커플 사이에 더 깊은 유대가 형성되는 이유
- 파트너가 자기를 희생할 때 크게 고마워하지만, 그런 희생을 기대하기 시작하면 감사하는 마음도 적어질 뿐 아니라 상대의 희생을 이전만큼 긍정적으로 보지 않는다는 점


 이 책을 다 읽고 구글에서 존 카치오포와 스테파니 카치오포를 찾아보았다. 정말 오묘하게 닮은 분위기의 사랑 박사와 외로움 박사, 너무 잘 어울리는 신경과학자 커플 아닌가.



에세이를 좋아하신다면, 이 책을 추천하고 싶습니다. 
사랑에 관해 궁금하신가요? 그렇다면 무조건 이 책이요! 


세상이 변하고 있는 것은 맞지만 사랑도 그에 맞춰 변화하고 진화할 것이다. 융통성이야말로 사랑의 가장 멋진 점이다. 사랑은 끝도 없이 필요에 맞게 변화할 수 있지만 그렇다고 사랑이 소모품이 되어서는 안된다. 사랑은 선택사항이 아니며, 없어도 살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사랑은 생물학적 필수 요건이다. - P17

나와 존은, 다시 말해 ‘사랑 박사‘와 ‘외로움 박사‘인 우리 두 사람은 우리가 설교하는 것을 실행에 옮기지 않고 있었다. 우리 둘의 연구는 스펙트럼의 양 극단에 서 있기는 하지만 결국 인간이 사회적 관계를 얼마나 필요로 하는지를 강조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둘 다 혼자서 삶을 감당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오만함에 빠져 있었던 것이다. - P114

인간의 정체성이란 그 사람이 하는 일로만 결정될 수 없으며 생존을 위해서는 다른 사람을 사랑해야 한다는 것을 너무 늦기 전에 깨달았다. - P196

사랑이 신체의 건강에 발휘하는 진정한 힘은 무언가를 만들어 내는 것보다 어떤 일이 일어나지 않게 예방한다는 데 있다. 사랑의 가장 중요한 역할 중 하나는 만성적인 외로움으로 인해 마음이 황폐해지는 것으로부터 지켜주는 일이다. - P201

"사랑은 우연히 찾아오지 않았다. 우리가 사랑에 빠지겠다고 선택한 것이었다." - P228

삶을 롤러코스터라고 한다면, 자신이 놀이기구에 이미 타고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사람과 삶의 오르내림은 내가 어떻게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라는 사실을 인정하지 못하는 사람이 가장 고통받을 것이다. - P266

존이 나에게 말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 내가 듣고 싶어 하지 않았던 부분은, 사랑의 회로를 다시 활성화하려면 짝을 잃은데서 오는 슬픔과 고통을 직면할 강인함이 필요하다는 사실이었다. - P25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