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근길의 마음 - 나를 잃지 않으면서 꾸준히 일하는 법에 대하여
이다혜 지음 / 빅피시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다혜 작가님 글을 좋아한다. 신간이 나오자마자 이 책을 접하게 되어 기뻤다. 그녀가 <쓰고 싶다 쓰고싶지 않다>에서도 쓰는 일에 대해서 쓴 적이 있지만, 이 책은 전적으로 일에 대한 마음, 방법, 그리고 그 가운데 자신을 잃지 않기 위해 애쓴 흔적들이 담겨 있어서 좋았다. 



대학교 전공도, 회사도 좋아서 선택한 것은 아니었다. 그냥 우연히 선택한 결과로 지금 이렇게 일을 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회사에 들어와서 좋아하는 일을 찾는 것은 어쩌면 더 어려운 일이었는지도 모른다. 전공과 무관하게 배정된 부서, 그리고 몇차례 옮겨진 이동, 지금의 일을 하기까지 모든게 나의 선택보다는 우연이 더 크게 작용했던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일을 하다보면 재미있고, 내가 더 능숙해진 것 같고, 그래서 내가 이 일을 좋아하나보다 라는 판단이 서게 된다. 그러나 생각해보면 그것은 시간과 무관하지 않다. 능동적으로 좋아하는 일을 찾았다기 보다는, 뭔가 찾아진 것 같은 느낌. 그래도 다행이다 싶다 해야하나...




주변인들 모두에게 지금 하는 일이 너랑 잘 맞는다는 이야기를 들을 때면, 누구라도 이 일을 했다면 그럴 거라고 답하기에는 너무 수동적인 인간같고, 이 일이 아니더라도 내게 주어진 일은 늘 최선을 다했을 거란 말을 하면 재수없어 보이고. 원래 내가 새로운 변화를 좋아하는 사람인가 싶으면 그건 또 아니고, 일을 하다보니 새로운 변화에 관심이 가고 호기심이 생겨서 여기까지 왔다고 대답을 해야하는데. 이러한 태도가 적성이 될 수 있나 싶나 라는 생각에 도달한다. 



직장 생활을 하면서 수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스쳐지나갔다. 그러다보면 윗사람의 이해되지 않는 결정이 내게 업무로 안겨질 때, 저런 생각을 했던 것 같다. 맥락을 이해하려고 주변 상황을 보면, 그 포지션에서 쥐고 있는 카드 패와 그렇게 결정할 수 밖에 없었다는 상황을 인지하게 된다. 물론 그 상황을 인지하게 되어도 그 결정이 이해되지 않는건 여전하다. 하지만 어쩌겠는가. 살아남기 위해 모두가 진지하게 헌신하고 있는 것인데...



그들이 오래된 경력을 갖고 있는 것은 정말 살아남아 있기 때문이고, 그 살아남아있음이 현명한 연륜을 가져다줄 것 같지만, 때로는 고집과 함께한다. 나 역시 그런 사람이 되지 않을까 두려울 때가 있다. 오래 일하는 것이 요즘 덕목은 아닌 것 같은데, 난 여전히 오래 오래 일하고 싶다. 그래서 이 작가님의 글이 마음에 와 닿았다. 




이 책의 부제는 "나를 잃지 않으면서 꾸준히 일하는 법에 대하여"다. 아마도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면서 읽을 에세이가 아닌가 싶다.


한때는 하고 싶다는 생각이 나를 움직이는 원동력이라고 생각했다. 그다음에는 해야 한다는 의무감이야말로 사회가 돌아가는 비밀이라고 믿었다. 지금은 기분이나 이유와 무관하게 하는 일이야말로 삶을 지탱한다고 스스로를 설득한다. - P17

좋아하는 일을 하세요. 이 말은 맞기도 하고 틀리기도 하다. 문제는 세상 경험이 쌓이기도 전에 하고 싶은지 하고 싶지 않은지를 고민하느라 너무 많은 시간을 써버린다는 데 있다. 어떤 일이 좋아지는 조건 중 하나는 어느 정도의 능숙함을 갖추는지인데 능숙해질 기회없이 좋아하는지 아닌지로 일을 결정하려면 피상적인 재능과 미지의 경험을 바탕으로 할 수 밖에 없다. - P18

적성에 맞아서 그 일을 잘하도록 태어났다기보다는, 어떤 일에 능숙해지면서 적성에 맞는다고 본인도 주변 사람들도 평가하게 되는 것은 아닐까. - P79

한때 멋있어 보였던 지금은 나이 든 사람들의 이해 불가한 결정들을 보게 된다. 나이를 먹으면서 알게 되었다. 세상 누구도 타인을 이해시키기 위해 살지 않는다. 자기 자신을 위해 살아갈 뿐이다. 그가 (타인의 눈에 이해 불가한) 결정을 내리는 이유 역시 타인은 잘 알 수 없다. - P196

경력이란 대체로 이런 식이다. 살아남은 사람만이 말할 기회를 얻는다. 그러면 어떻게 하면 살아남을 수 있는가? 안 죽으면 된다. 이것은 영웅적인 동기와는 상관이 없다. - P43

나는 언제나 꾸준히, 오랫동안 일하기가 목표였다. 내가 계획을 세워 이뤄낼 수 있다는 보장이 있다면, 30년 뒤에도 일할 수 있으면 좋겠다. 그러려면 숨 가쁘게 뛰는 대신, 매일의 일을 매일 하면 된다. 당시니 세울 수 있는 전략은 다른 사람도 세울 수 있다. 당신이 하는 셈이 다른 사람 눈에 안 보일 리도 없다. 하지만 꾸준함이 전략이자 셈이라면, 그것은 그냥 그 사람이 일하는 태도가 된다. 앞으로 계속 이 업계에서 생존할 사람을 허투루 대할 사람은 없다. - P23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