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소시오패스의 특징, 소시오패스를 알아보는 방법, 원인, 대처방법 등에 대해 하버드대학 정신과교수 마사 스타우트가 아주 술술 읽히도록 써놓았다. 책이 너무 잘 읽혀서 가독성도 좋았지만, 밑줄치고 싶은 문구도 많아서 수많은 포스트잇 플래그를 붙여놓기까지 했다.
소시오패시는 반사회적 인격장애를, 소시오패스는 소시오패시 증상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고 한다. 일단 가장 큰 특징은 소시오패스는 양심이 없어서 타인에 대한 배려가 없고 의무감이나 애착이 없다. 그래서 우리가 가진 상식으로는 도저히 일어날 수 없는 일들을 행하고도 아무런 죄책감을 갖지 못하는 사람들을 소시오패스라고 생각할 수 있다.
p. 161
타인에 대한 애착을 바탕으로 하는 의무감 즉, 양심이 없는 소시오패스들은 대개 사람들과의 게임, '승리', 지배를 위한 지배에 평생을 바친다. 그들의 이러한 동기는 양심을 가진 우리에게 너무나도 생소하기 때문에 개념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지는 몰라도 실생활에서 마주치면 전혀 '알아보지' 못할 때가 많다.
가끔 뉴스1면에 나오는 심각한 사건들과 가해자만 보아도 너무나도 평범한 옆집 이웃같은 사람들일 때가 많다. 그런데 실상 그들이 한 행동은 소시오패스라는 단어 외에는 이해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게 무서운거다.
p. 138
일반적인 소시오패스는 끊임없이 속이고 위장한다. (중략) 대부분의 소시오패스들은 감옥에 가지 않는다. 그들은 이 바깥 세계에서 우리와 함께 살아간다.
그렇다면 왜 소시오패시가 생기는 걸까. 뇌과학에 관심이 많던 나로서는 여기서 또 재미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p. 205
소시오패시는 대뇌피질 수준에서 감정적인 자극을 처리하는 기능에 변형이 생긴 것으로 보인다. 이런 변형이 왜 일어나는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지만 유전적인 신경 발달의 차이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 (중략) 소시오패시는 단순한 양심의 결핍이 아니라 감정적인 경험을 처리할 능력이 없음을 말한다. (중략) 왜냐하면 양심은 사랑할 수 있는 능력을 바탕으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궁극적으로 소시오패시는 사랑의 결핍에 기초한다.
양심이 없는 것보다 다른 누군가를 사랑할 수 없다는 것, 즉 감정적 유대감을 가질 수 없기 때문에 그들은 우리가 가진 상식선에서 이해되지 않는 행동들을 하는 것 같다. 소시오패스가 느끼는 원초적인 정서, 신체적인 고통과 쾌락, 단기적인 성공 등은 사실 유아기에 느끼는 감정들이다. 우리는 성장하면서 그보다 더 큰 고등 감정을 갖게 되며 양심이 작동하는 범위도 더욱 넓어지고 단련하게 된다. 하지만 그들은 거기까지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양육의 문제일까. 그것보다 문화적 특성이 더욱 관계가 깊다고 한다. 즉 개인주의가 만연한 서구보다 집단중심적인 동아시아의 소시오패스 발생률이 낮다고 한다.
p. 220
개인주의와 개인적인 통제를 극도로 강조하는 서구 문화와 달리 동아시아의 많은 문화는 종교적, 철학적으로 모든 생물의 상호연관성을 강조한다. 흥미롭게도 이 가치는 양심의 기반이기도 하다. 양심은 상호유대감을 바탕으로 하는 의무감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과거보다 개인주의를 강조하고 서구화되어가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 앞으로 소시오패스가 더 늘어난다고 볼 수 있을까?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그럴 것 같다. 1인가구가 늘어나고, 최근 코로나로 인해 비대면/언택트 시대가 되는 상황이라면 반사회적인 행동을 제어할 방법도 타인에 대한 배려도 줄어들 수 있을 것 같다. 미국의 소시오패시 유병률도 점점 증가한다고 하니, 단지 서구사회에 국한된 문제는 아닌것 같다.
그럼 어떻게 대처해야할까. 책에서는 13가지 규칙을 말하고 있는데 내가 와 닿는 것은 소시오패스를 피하라는 것이다. 위험한 사람이기 때문에 그들은 완전히 피해야할 사람들이다. 또한 소시오패스는 보편적으로 두려움을 자극하기보다는 동정심에 호소하기 때문에 계속해서 피해를 주는 사람인데도 자꾸 동정을 구한다면 그런 소시오패스에게는 냉정해야한다.
저자는 소시오패스 원인, 알아보는 방법, 그들의 특징, 대처방법 등을 이 책의 절반 정도를 할애하며 작성했지만 후반부는 인간은 어떻게 양심을 갖게 되었는지, 양심이 하는 역할 등을 통해 양심있는 우리가 소시오패스보다 더 행복하게 살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마치 양심이 없으면 마음껏 행동하며 더 행복할 것 같은데 실제로는 사랑이나 유대감을 느낄 수 없어서 허무하다는 것, 결국에는 실패한 삶이라는 것을 꽤나 많은 페이지를 할애하여 알려준다.
p. 336
사람들 사이의 유대감에 기초한 의무감이 없는 사람들 즉, 심리학자인 나라면 소시오패스라고 부를 사람들에 대한 달라이 라마의 표현은 매우 흥미로웠따. 달라이 라마는 그들을 '잘 발달된 삶을 갖추지 못한 사람들'이라고 불렀다.
꽤나 멋진 말이다. 잘 발달된 삶을 갖추지 못한 사람들. 심리학에서 표현하는 반사회적인 인격장애를 달라이라마는 불교적으로 고급지게 표현하셨네!
어쨌든 이 책은 소시오패스에 대한 설명이 기승전결 전개가 너무 매끈하게 잘 되어있는 책이다. 다만 아쉬운건 제목이랄까.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라는 한국어 제목보다는 원제목인 "The Sociopath Next Door"가 훨씬 그 의미 전달이 잘 된다. 이 책의 8장 제목인 "당신 옆의 소시오패스"가 제목으로서 의미전달은 더 명확하지 않았을까하는 개인적인 아쉬움이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