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저항을 넘어 전복을 꾀하다"
< 라틴아메리카 페미니즘 문학과 천운영의 '바늘' >
![](http://image.aladin.co.kr/product/42/21/cover150/8937460785_2.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52/14/cover150/8937461080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30/51/cover150/8936436619_1.jpg)
라틴아메리카 사회에서 여성은 언제나 비주류였고 나약한 소수자였다. 보수적인 스페인 문화가 이식되고 식민 시대를 거치면서, 또 지난한 혁명과 전쟁의 시기를 지나면서 여성은 점점 더 타자화되고 사회의 영역에서 소외되었다. 많은 여성들이 가정이라는 제한된 공간 안에서만 활동을 ‘허락받았으며’, 사회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싶어 한 여성들은 자신을 ‘가장 형편없는 여성’이라고 공개적으로 폄하해야 했던 소르 후아나 수녀처럼 주류 남성들에 의해 탄압 당했다. 라틴아메리카의 이러한 남성중심주의가 가장 잘 나타난 부분이 문학이었다. 많은 남성 작가들의 작품에서 여성은 가부장적 질서에 순응하는 부차적이고 전형적 인물로만 등장했고, 1970년대가 오기 전까지 문단에서는 여성 작가를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오랜 침묵의 시간 끝에 나타난 여성 작가들은 남성중심주의 사회에 대항하기 위해 기존 가치를 새롭게 받아들이는 방법을 택했다. 전통적으로 여성적 가치나 여성의 전유물이라고 여겨졌던 많은 요소들을 재해석하고 그 긍정적 측면을 강조하기 시작한 것이다.
라틴아메리카 여성 문학의 큰 흐름이자 라우라 에스키벨이나 로사리오 카스티야노스로 대표되는 “요리 문학”에 이러한 특성이 잘 나타나 있다. 에스키벨의 작품 『달콤 쌉싸름한 초콜릿』이나 카스티야노스의 작품 「요리 강습」에서는 요리와 부엌이라는 지극히 ‘여성적인’ 행위와 공간을 새롭게 해석한다. 『달콤 쌉싸름한 초콜릿』에서 주인공 티타의 요리는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억눌려 있던 여성 인물들의 욕망을 해방시키는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요리 강습」에도 주인공이 요리하는 과정을 통해 여성으로서 자신의 주체성을 인지하고 가부장제의 모순을 자각하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전통적 여성상을 대변하던 요리라는 행위를 새롭게 해석하여 긍정적인 가치를 부여한 것이다. 이사벨 아옌데의 『영혼의 집』 역시 여성 인물이 현대사의 비극을 용서하는 결말을 그림으로써 사회와 가정의 폭력으로 나타나는 남성적 가치에 대비하여 포용과 부드러움 같은 여성적 가치를 강조하고 있다.
라틴아메리카의 “요리 문학”처럼 여성의 전유물을 새롭게 해석한 작품으로는 한국 작가 천운영의 「바늘」이 있다. 이 작품의 주인공은 ‘지독히도 못생긴’ ‘여성’이라는 점에서 라틴아메리카 여성처럼 이중의 타자화를 겪고 있는 인물이다. 주인공은 자신의 외모 때문에 사회적으로는 성적 욕망을 억압당하지만 남자들에게 문신을 해 주면서 자신의 욕망을 해소한다. 여성의 성적 욕망과 그 표출에 주목했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페미니즘 문학의 궤도를 충실히 따라가고 있는 셈이다.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이 작품에서 전통적 여성상의 상징적인 사물인 ‘바늘’의 의미를 전복시켜 해석하고 있다는 점이다. 주인공의 어머니는 집에서 바늘을 쥐고 아름다운 옷을 만들던 전통적 여성이지만, 주인공은 그 바늘을 쥐고 남성들에게 문신을 해준다. 어머니의 바늘이 섬세하고 고운 옷을 만드는 지극히 여성적인 활동을 수행했다면, 주인공의 바늘은 나약한 남성들에게 문신으로 대표되는 ‘당당함’을 선사한다. 또한 이 작품에서는 여성 문학에서 흔히 상상되는 섬세한 감정 표현이나 문체를 배제하고 거칠고 직설적인 문체가 사용되고 있다. 문학에서 여성과 남성의 언어 차이는 없고 오직 경험에 바탕을 둔 주제 차이가 있을 뿐이라고 주장한 여성작가 로사리오 페레의 문제의식과도 맥을 같이 하는 대목이다.
분명 일련의 “요리 문학”과 천운영의 「바늘」은 많은 점에서 유사하다. 그러나 남성 중심의 사회를 대하는 주인공의 관점에서 두 부류의 작품은 크게 구분된다. 라틴아메리카의 “요리 문학” 작품들은 어디까지나 소극적 해방을 추구하고 있다. 아무리 이 작품에서 부엌과 요리의 긍정적 면모를 강조하면서 여성의 가치를 부각시킨다고 해도, 이는 애초에 남성들이 나누어 놓은 사회의 구획이다. 여성을 요리와 같은 가사 노동을 하는 존재로 여기고, 부엌으로 대표되는 집 안에 여성을 가두어 놓은 것 역시 사회의 주류인 남성인 것이다. 실제로 『달콤 쌉싸름한 초콜릿』에 나타나는 대부분의 여성 인물들은 가부장적인 사회 규칙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마는 수동적인 모습을 보인다. 남성 중심의 사회 질서를 깨기 위해 적극적으로 맞서기 보다는, 그 안에서 고통 받는 여성의 울부짖음이나 정체성의 자각만을 그리고 있는 것이다. 여성 인물이 기존 사회구조 안에서 단순히 자신의 욕망을 표현하는 ‘소극적 저항’만을 계속할 때, 요리와 부엌이라는 기존의 여성적 가치를 강조하려는 노력은 단순한 자기 위안에 그칠 수 있다.
그래서 오히려 「바늘」은 루이사 발렌수엘라의 단편 「무기의 교환」과 비슷한 모습을 보인다. 두 작품은 욕망을 지닌 하나의 주체로 여성을 그린다는 점에서 여성주의의 기본 이념을 충실히 따르면서도, 소극적 저항을 넘어 적극적으로 여성에 대한 남성의 주도권을 전복시킨다. 「바늘」에서 남성 인물들은 여성 주인공에게 와서 문신을 받고, ‘더욱 당당해진 모습’으로 나간다. 자신을 더욱 화려하고 강하게 꾸며주는 문신의 도움 없이는 강인함에 다가갈 수 없는, 나약하고 겁 많은 인물들인 것이다. 하얀 피부에 호리호리한 몸, 곱상한 외모를 지닌 801호 남자 역시 기존 문학의 남성성을 완전히 비튼 인물형이다. 반면 여성은 바늘을 쥐고 그러한 남성들에게 문신을 그려 줌으로써 남성을 보다 ‘강인하게’ 만들어준다. 바늘이라는 기존의 여성적 소재, 그리고 수동적인 여성상이 주도적으로 자신의 욕망을 표현하며 남성성을 더해주는 여성의 모습으로 완전히 뒤집어져 나타나는 것이다. 실제로 어머니가 스님을 죽일 때 쓰이기도 한, 그 가늘고 얇은 바늘은 이 과정에서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세상에서 가장 강한 무기’가 된다. 여성의 손에 세상에서 가장 강한 무기가 들려 있고, 남성은 수동적으로 그 여성이 창조하는 문신을 받아들임으로써 기존의 남성 중심적 질서는 전복된다.
발렌수엘라의 단편 「무기의 교환」에서도 여성이 남성과의 관계를 통해 정체성을 되찾고 마침내 주도권까지 잡게 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주인공 라우라는 게릴라 활동을 하는 인물로, 로케 대령을 암살하려다가 오히려 발각되어 심한 고문을 받고 기억 상실증에 걸린다. ‘더러운 전쟁‘시기 아르헨티나의 군부를 대표하는 로케 대령은 라우라를 자신의 아파트에 가두어 놓고 성적 노리개로 삼는다. 두 사람 사이의 관계가 계속될수록 라우라는 점점 자신의 의식을 되찾게 되고, 나중에는 로케 대령과의 성적 관계를 주도하게 된다. 남성적 폭력성으로 상징되는 군사 독재 시기, 그것도 고위직 군인과의 관계에서 여성이 주도권을 쥐게 된 것이다. 「무기의 교환」의 결말 부분에서, 로케 대령은 자신의 패배를 인정하고 완전히 자신을 되찾은 라우라의 손에 총을 들려준다. 이 총은 「바늘」의 여성이 손에 들고 있는 바늘과 같은 것일지도 모른다. 「바늘」의 여성 인물이 오히려 전통적 여성상의 상징이었던 바늘을 쥐고 주도적으로 남성 위주의 세계를 전복시킨다면, 라우라 역시 그 총을 들고 독재 군부의 폭력성이나 대령 같은 인물을 통해 대표되는 남성적 가치의 세계에서 주도권을 잡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기존 질서의 재해석과 전복의 미학은, 셰익스피어의 「템페스트」에 등장하는 식인종 ‘칼리반’에 대한 라틴아메리카 사회의 인식 변화와도 연결된다. 이 시점에서 발렌수엘라의 페미니즘 문학은 현실성과 사회성을 획득한다. 쿠바 혁명 이후 탈식민주의가 확산되면서 라틴아메리카 지식인들은 칼리반의 이미지를 주인에게 저항하는 원주민 ․ 식인종으로 새롭게 생성해냈다. 서구의 지배자 ․ 주인을 먹어치우는 식인종의 모습을 상정함으로써 라틴아메리카 원주민들을 야만적으로 보는 서구의 식인문화담론을 도발적으로 해석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칼리반의 모습은 동시에 서구 식민주의의 역사와 남아있는 서구중심주의의 잔재에 적극적으로 저항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라틴아메리카 사회의 남성중심주의를 주도적으로 전복시키는 발렌수엘라의 단편을 적용시킬 수 있는 대목이다.
발렌수엘라는 자신의 에세이 「인류학과 페미니즘」에서 남성중심적 질서의 확립 과정을 밝히고 있다. 태초에 여성은 비밀을 간직하고 있으면서 ‘가면’을 만들 수 있는, 또 언어의 주도권을 쥐고 있는 권력자였지만, 그것을 시기한 남성들이 여성들을 공격함으로써 자신들을 중심으로 권력을 확립했다는 것이다. 「바늘」과 「무기의 교환」에서 나타난 여성상은 특별한 의미가 있는 것도 그 때문이다. 그들은 집 안에서 한숨만 쉬면서 애써 가사 노동의 가치를 강조하는 소극적 저항에서 그치지 않는다. 때로는 바늘을 쥐고, 또 가끔은 권총을 쥐고 적극적인 전복과 반역을 꾀함으로써 이 여성들은 예전에 잃어버렸던 자신들의 가면과 언어를 되찾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