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자의 자리로 - 그 나라를 향한 순전한 여정
C. S. 루이스 지음, 윤종석 옮김 / 두란노 / 2020년 11월
평점 :
기도의 자리로에 이어서 신자의 자리로까지 읽게 되었다. 질문에 대한 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질문이 참 현실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에 비해 답은 다소 어렵다. 신앙이 쉽다면 이상한 거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답을 여러번 곱씹어 읽었다. 사실 저자는 이해를 돕기 위해 비유를 많이 들고 있는데, 이런 배려가 없었다면 곱씹어 읽어도 이해하지 못했을 것 같다.
자리로 가자는 이야기다. 기도의 자리로, 신자의 자리로 기독교 신자라면 마땅히 가져야 할 자리, 지켜야 할 자리가 있지만 개인적으로 이런 자리로 가는 건 쉽지 않다. 쉽지 않은 것이 당연하겠지만, 매순간을 깨어있어야 하는 게 당연하겠지만..... 아직 나는 많이 부족함을 느낀다.
이런 질문을 많이 받았다. 믿음이 중요하다며, 그럼 교회에 안나가고 믿음만 있으면 천국 가는 거 아닌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이다. 부모에게 목숨을 받는다 해서 가만히 있어도 목숨이 유지되는 것은 아니다. 본인이 양분을 공급하고 생명을 돌보아야 한다. 생명을 당신이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남에게 받아서 유지할 뿐임을 늘 잊지 말라. 그리스도인도 자기 안에 심겨진 그리스도의 생명을 잃을 수 있다. 그래서 힘써 지켜야 한다. 힘써 지켜야 한다는 말이 마음에 와닿는다.
기독교에서는 선과 악에 대한 내용이 많이 나온다. 창세기부터 선과 악에 대한 내용이 나오는데,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 선과 악은 둘 다 복리로 불어난다. 그래서 당신과 내가 날마다 내리는 작은 결정이 한없이 중요하다고. 날마다 내리는 작은 결정이 하나님을 위함인지, 하나님의 말씀에 근거하는 것인지에 대한 생각을 해야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악이 복리로 불어나 인생이 힘들어진다는 거다. 난 오늘 무슨 결정을 했을까?
여기서 포인트는 책의 마지막에서도 나오는 "그분은 내가 이 일에 어떻게 대처하기를 원하실까?" 이다. 삶 속에서 순간순간 혹은 매시간마다 우리는 이 질문을 해야한다는 거다. 그래야 신자의 자리로 나갈 수 있는 것이 아닐까? 내 삶에서 그리스도의 삶을 온전히 받아들인다는 건 다시 생각해도 쉬운 일은 아니다.
어쩌면 이 질문으로 인해 내 인생이 바뀔지도 모르겠다. 나의 감정이 혹은 나의 생각이, 타인하게 하는 말과 행동이 조금은 그리스도의 삶처럼 되지 않을까? "그분은 내가 이 일에 어떻게 대처하기를 원하실까?" 우리가 꼭 머리에, 마음에 새겨야 하는 질문이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끝까지 읽고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