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F코드 이야기 - 우울에 불안, 약간의 강박과 살아가고 있습니다
이하늬 지음 / 심심 / 2020년 10월
평점 :
F코드, 일반사람들은 잘 알지 못하는 코드다. 진단마다 코드가 있는데, 정신과 쪽은 F로 시작한다. 이 책 제목을 보자마자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표지에 있는 날씨의 이미지도 우리의 감정을 잘 이야기해주는 듯 했다.
저자는 기자로 일하고 있으며 우울, 불알, 강박과 함께 살아간다고 한다. 일단 일을 하고 있음에 놀랍다. 우울하다는 말로, 그 우울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 측정하기가 쉽지 않다. 물론 심리검사라는 것도 있긴 하지만 100명의 우울증 진단을 받은 사람을 우울증 수준에 따라 줄세우기가 어렵다는 뜻이다. 일을 하고 있다고 하니 가벼운 증상인가? 싶었는데, 책을 읽으면서 그렇지 않다는 걸 알게 되었다. 기자라는 직업이 이 책을 쓰는데 한몫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정신과적 증상이 있는 상황에서 집중해 무언가를 쓴다는 건 쉽지 않다.
저자가 본인에 대해 혹은 병에 대해 어떻게 알아가는지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써져 있다. 그 안에는 어떻게 정신과를 가게 되었는지, 어떻게 일을 유지하고 있는지, 친구들과의 관계는 어떤지, 가족과의 관계는 어떤지, 이성관계는 어떤지.....모두 내가 궁금했던 부분이다. 병원을 오는, 상담을 오는 그 짧은 시간 이외에 우울증을 가진 사람들은 일상에서 어떻게 살고 있는지에 대해서 어느 정도는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었다.
우울증 때문에 힘들어하는, 혹은 이제 막 치료를 시작한 사람들에게 너무나 추천한다. 그 이유는 저자의 이야기에는 내가 먼저 간 길에 대해서 나처럼 걱정하지 말고 따라와 보라는 힘이 실려 있다. 괜찮다는 것도 포함해서. 그리고 중간중간에 들어가 있는 정신과에 대한 정보는 매우 유용하다. 본인의 경험과 정신과의사, 사회복지사 등의 조언을 잘 정리해 넣었다. 당사자에게도 보호자에게도 도움이 될 듯 하다. 정신보건 일을 하고 있는 나에게도 여러 모로 도움이 되었다.
요즘은 일상에서도 우울, 불안, 분노, 강박 이런 것들이 심심치 않게 보인다. 어쩌면 우리 모두는 저런 감정을 스스로 컨트롤하거나 컨트롤하지 못한 채 살아가고 있는 게 아닌가 생각이 든다. 저자가 스스로에 대해 알아가는 과정이 어쩌면 꼭 진단을 받지 않더라도 우리 모두에게 필요한 것이 아닐까?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끝까지 읽고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