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달동 미술관
피지영.이양훈 지음 / 행복한작업실 / 2020년 10월
평점 :
미술에 대한 책은 많다. 미술도 영어, 클래식과 마찬가지로 알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카테고리다. 미술작품을 책으로 볼 수 있다는 건 얼마나 행운인가? 미술에 대한 책을 예전에도 봤지만 대부분 미술작품과 그것을 소개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작가의 비하인드 스토리를 살짝 얹어 놓으면 읽는 사람들은 새로운 지식에 나만 아는 지식을 얻은 것 같은 느낌이 들게 만든다.
이 책도 그런 느낌일까? 예상은 보기 좋게 빗나갔다. 이 책이 예술로 분류가 되었는지, 소설로 분류가 되었는지 아니면 심리학으로 분류가 되었는지 헷갈릴 정도로 재미있는 구성이다. 개인적으로 새롭고 마음에 든다.
영달동이라는 동네에 미술관이 있다. 거기에 사는 혹은 거기에 추억이 있는 사람들 중에 몇 명만 이 미술관이 보인다. 다 각자의 해결되지 못한 문제를 가지고 사는데, 이 미술관을 만나게 되면서 터닝포인트를 찾는..... 그런 내용이다. 처음에 미술작품이 딱 나오지 않아, 이게 뭐지? 라고 생각을 하다가 소설인가? 하고 읽다보니 각 사람의 마음, 각 사람에게 맞춘 듯이 나오는 그림, 그리고 해석, 그리고 그 작품을 본 사람의 변화를 보면서 이상하게 내 마음이 위로가 된다.
미술작품을 보면서 마음이 휘몰아치는 감정을 느껴본 적이 없다. 음악보다 미술은 비용이 좀 더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접근성이 좋다고 볼 수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루트로든 우리는 미술을 접하게 된다. 개인적으로 외국에 가서도 유명한 미술작품을 본적이 있는데, 기대를 너무 많이 해서 그런지 그저그렇더라.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미술작품도 사람의 마음을 건들 수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자신의 상황, 인생에 따라 그 정도는 다르겠지만
미술작품은 한 장면이다. 그래서 전후의 사정을, 작가가 어떤 상황을 묘사했는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알기 어렵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 책에서 설명해주는 것을 읽으니 프레임 안의 그림을 어떻게 봐야하는지도 알 수 있었다. 어두움과 밝음, 사람들의 표정, 사람들의 위치나 시선, 손의 모양 등 여러가지를 보면서 여러가지를 유추해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저자는 명화를 감상하면서 깊은 감동에 빠져드는 이유는 수백 년의 시간에 걸쳐 화가들이 그림 속에 새겨 넣은 인물들이 바로 우리 자신이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우리 주변은 수없이 변화해도 사람의 감정은 시간이 지난다고 변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시대를 초월해 감정을 작품 속에 남기고, 그 작품을 보는 사람은 그 감정을 느낄 수 있는 게 아닐까?
재미있는 책이다. 시리즈가 계속 나오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미술, 소설, 심리, 인문..... 적절하게 잘 믹스된 책이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끝까지 읽고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