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언젠가 유럽 - 도시와 공간, 그리고 사람을 만나는 여행
조성관 지음 / 덴스토리(Denstory) / 2020년 6월
평점 :
유럽이라는 단어는 보기만 해도 설렌다. 그래, 언젠간 유럽을 제대로 여행하는 날이 오겠지. 책의 표지에도 이렇게 써 있다. [우리는 언제나 떠날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만 아니었다면 지금쯤 임박한 비행기티켓을 보며 설레이고 있을텐데, 이번 여름은 참으로 속이 많이 상한다. 이 책은 이런 나를 달래줄 수 있을까?
파리, 빈, 프라하, 런던, 베를린, 라이프치히 (라이프치히는 처음 들어본 곳이다) 사진과 함께 적절하게 들어있는 글은 왜 유럽이 로망인지에 대해서 다시 한 번 그렇다고 느낄 수 있게 해주었다. 유럽을 가보지 못한 사람보다는 유럽을 많이 다녀본 사람이 읽으면 더 좋겠다, 혹은 유럽여행을 할 예정이 있는 사람이 읽으면 더 좋겠다, 예술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 읽으면 더 좋겠다. 이런 생각이 들었다.
책을 읽으면서 도시, 역사, 인물, 예술이 뒤섞인 내용에는 내가 자세히 알지 못하는 부분이 많았으나, 흥미로운 내용도 있었고, 꼭 가보고 싶다고 생각했던 곳도 하나 둘씩 생겼다.
휘핑크림을 얹은 커피인 아인슈페너가 마차의 흔들림에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만들어 졌다는
저자가 강연을 할 때 가장 많이 받는 질문 중의 하나인 [어느 도시가 가장 좋았습니까?] 라는 질문에 저자는 빈, 프라하, 파리라고 대답했다는
프라하의 각 건물 입구에는 각기 다른 다양한 이미지가 있는데 이 이미지는 건물번호의 역할을 했고, 시 당국이 건물에 번호를 매기고 나서도 여전히 보존하며 편리함과 전통을 유지하고 있다는
모차르트가 죽었을 때, 빈은 모차르트를 애도하지 않았고, 죽음 자체를 알지 못했지만 프라하는 비통해 하고 추모했다는
(내가 알지 못했던) 라이프치히는 괴테와 바흐까지 품었던 도시라는, 내가 라이프치히를 가게 된다면 저자가 말한 라이프치히대학을 한 번 가보겠다는
여행한다는 건 다른 걸 보고 다른 생각을 하고 다른 느낌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 여행의 큰 매력 아니겠는가. 그 곳에 대한 지식이 방대할수록 그 곳에 대한 이해도 높아지고 봐야하는 것도 많아지고 [와, 대단하다]로 끝나지 않는 무언가를 더 가져올 수 있지 않을까? 저자는 속도를 늦추면 도시와 공간, 그리고 무엇보다 사람이 보인다고 했다. 속도는 늦추고 지적과 문화적인 지식을 높이 쌓는다면 여행의 깊은 맛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이 책은 말한다.
더워지려고 하는 여름에, 코로나19 때문에 비행기 탈 수 없는 여름에 유럽을, 그것도 6개의 도시를 잘 다녀왔다.